$\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학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1 = no.215, 2006년, pp.1 - 10  

오미형 (경운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부) ,  최보가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access a creative home environme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296 children aged 5 to 6 years(148 males and 148 females) and their parents.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included item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기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 환경적 요인들을 범주화하고 요인들 간의 구조를 밝히는 시도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토대로 취학전 아동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그러나 창의성과 관련한 가정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들은 부모의 양육태도나 일반적인 가정환경척도 혹은 물리적 가정환경 척도 등이 사용되고 있어 창의성 발달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가정환경 척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기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행해진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변인들을 살펴보면 먼저 Wright와 Wright (1986)는 창의적 가족 환경으로 세 가지 (three-pronged) 모델, 즉 아동을 존중하기, 독립심을 자극하기, 그리고 풍부한 학습 환경의 요인들을 제시하였으며 Santrock(1997)는 부모의 낮은 수준의 권위주의, 독립성의 장려 등의 요인을, Kemple과 Nissenberg(2000)는 부모의 훈육방식, 부모의 거부, 가족의 압력 등의 요인이 아동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권지연(2002).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수연(2003).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영미(2002). 어머니 아동간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숙희(1991). 가정환경, 인지양식, 창의성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성은현(2001). 심상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 심리학회지: 발달 14(1), 161-180 

  6. 송인섭, 김혜숙(1999). 창의성 개념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3), 93-117 

  7. 이지현(2002).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경원(1998). 창의성과 동기유발. 서울: 창지사 

  9.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357-376 

  10. Amabile, T. M. (1985). Motivation and creativity : Effects of motivational orientation on creative writ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393-399 

  11.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pp. 130-138). New York: Crown 

  12. Amabile, T. M. (1996). Creative in the Context(pp. 26-42). Colorado: Westview Press, Inc 

  13. Baldwin, A. (1949).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on nursery school behavior. Child Development, 20, 49-61 

  14. Barron, F. X.,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 439-476 

  15. Csikszentmihalyi, M. (1985). Emergent motiv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self. In D. Kleiber & M. H. Maehr (Eds.), Motivation in adulthood (pp. 93-113). Greenwich, CT: JAI Press 

  16. Csikszentmihalyi, M. (1988a).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pp. 325-33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17. Csikszentmihalyi, M. (1988b). Motivation and creativity: Towards a synthesis of structural and energistic approaches to cognition. New Ideas in Psychology, 6, 159-179 

  18. Dacey, J. S. (1989).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of highly creative adolescent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3(4), 263-271 

  19. Dewing, K., & Taft, R. (197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of creative -year olds. Journal of Personality, 41, 71-85 

  20. Domino, G. (1969). Maternal personality correlates of son's creativ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180-183 

  21. Freeman, J. (1985). The early years: Preparation for creative thinking.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3(2), 100-104 

  22. Gardner, K. G., & Moran, J. D. (1990).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4), 281-286 

  23. Harrington, D. M., Block, J. W., & Block, J. (1987). Testing aspects of Carl Rogers' theory of creative environments: Child rearing antecedents of creative potential in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851-856 

  24. Henne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pp. 1-38).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Hills, T. W. (1987). Children in the fast lan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 265-273 

  26. Hirsh-Pasek, K. (1991). Pressure or challenge in preschool? How academic environments affect children.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3, 39-46 

  27. Hyson, M. C. (1991). Building the hothouse: How mothers construct academic environment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3, 31-37 

  28. Hyson, M. C., Hirsh-Pasek, K., Rescorla, L., Cone, J., & Martell-Boinske, L. (1991). Ingredients of parental 'pressure'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Applied evelopmental Psychology, 12, 347-365 

  29. Kristen M. K., & Shari A. N. (2000). Nurturing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milies Are Part of I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8(1), 67-71 

  30. MacKinnon, D. (1961).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potential. American Psychologist, 17, 484-495 

  31. Michel, M., & Dudek, S. Z. (1991).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3), 281-286 

  32. Perkins, D. N. (1988). Creativity and the quest for mechanism. In R. J. Sternberg & E. E. Smith(Eds.), The psychology of human thought (pp.309-336) 

  33.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e model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pp. 125-148).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Sternberg, R. J., & Dess, N. K. (2001). Creativity for the new millenium. American Psychologist, 56, 332 

  35.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8 

  3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Tegano, D., Moran, J., & Sawyers, J. (1991).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pp. 57-72).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Press 

  38. Torrance, E. P. (1966).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Directions manual and scoring guide(Figure test booklet A). Bensenville, IL : Scholastic Testing Service 

  39. Walberg, H., Rasher, S., & Parkerson, J. (1979). Childhood and eminenc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 225-231 

  40. Wright, C. (1987). Nurturing creative potential : An interactive model for home and school.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12(1), 31-38 

  41. Wright, C., & Wright, S. (1986).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family's influence on creativity. Family Perspective, 20, 127-1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