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성적 사고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천: 프로젝트접근법을 통해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Project Approach in Classroom Context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2 = no.216, 2006년, pp.13 - 23  

안효진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6 preservice teachers'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children and teaching while they implemented the Project Approach. Us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and group reflections,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videotap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과교육지식의 중요성과 맥락 속에서의 반성과 해석에 대한 사전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예비교사들이 교사교육과정에서 배운 교과교육지식을 어떻게 인식하여 실제에 적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 접근 방법을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 교수 방법이 교사와 유아 간, 그리고 동료교사 간에 이루어지는 긴밀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유아의 흥미와 능력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이며(Katz & Chard, 1989), 예비교사들이 상황에 따라 순발력 있고 융통성이 있는 판단력으로 대처해야 하는 상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둔 프로젝트 접근법을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교육적인 맥락 속에서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두 번째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이론과 실제를 어떻게 정립해가는 지 이야기(narrative)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야기(narrative)는 개개인이 의미를 만들어가는 도구로 이야기를 통해 개인의 존재가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해석된다(Bruner, 1996).
  • 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미국의 예비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우리나라의 예 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2000년 1월 봄 학기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떻게 자신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와 연결시키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 동의를 얻어 “유아교육에서 원리와 실천”이 진행되는 교실을 본 연구자가 각 학기별 일주일에 3번씩 8주 동안 약 50일 동안 관찰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을 나갔던 유아원의 교실을 8주 동안 3회 2시간씩 실습현장의 행동들을 관찰하였고, 그 중 1회는 비디오를 촬영하였다.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이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습현장에서 실행하면서, 학습과 가르침에 대한의미와 어떤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둔 프로젝트 접근법을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교육적인 맥락 속에서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다음의 예는 예비교사가 경험한 사건이었다. 새로운 지식에 대해 일방적으로 전달하기 보다는 유아들이 아는 지식을 이용하는 질문을 하였다. 유아들의 사전지식을 무시하고 새로운지식들을 제공하기 보다는 유아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연결 시 키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 실제 교실상황에서 예비교사들은 동료 예비교사들과 함께 교육과정을 짜는 과정에서 유아들에게 도움을 주는 방법을 함께 연구하는 것을보았다.
  • 예비교사들은 프로젝트 접근을 실행하면서 갈등을 느끼면 다시 기본 원리에 비추어서 다시 지식을 상황에 맞게 구성하면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차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다음은 한 예비유아교사가 느꼈던 것이다. 우리는 유아의 관점에서 보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실습을 하는 동안 이러한 것들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알게 되었다.
  • 나는 그녀가 처음으로 집 에 관한 프로젝트와 관련된 관심 행동을 보여 기뻤다. 우리는 함께 부엌에 가서 장비를 탐색하고 사용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다. (교실에 돌아와서) 그녀가 관찰한 오븐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다(카렌의 인터뷰, 2000년 4월).
  • 제언을 할 수 있다. 우선, 반성적인 저널은 예비교사들을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제공해주었다. 예비교사들이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지적인 안목, 즉 자신이 어떠한 사고의 형식을 가지고, 어떠한 것들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하도록 도와야 한다.
  • 이러한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있는한 4년제 대학의 예비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이 인식한 유아에 관한 교수 학습 방법을 살펴보고, 새로운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리고 교사로서 어떻게 정체성을 구성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미국의 예비유아교사교육프로그램을 우리나라의 예 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 노력을 하였다(박은혜, 1999). 이전에 인식하지 못하였던 사건들이나 익숙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예비교사들은 혼돈스러움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면서 그 원인이나 상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음의 예는 교사가 가르침에 대한 생각이 맥락 속에서 변화해 가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 예비교사들은 한 가지 지식만이 절대적으로 옳고, 다른 것이 절대적으로 틀리다고 구별 할 수 없다는 것과 오히려 다른 지식이나 가치에 대해 맥락적 합당함(reasonableness)을 인식하였다. 즉, 유아들에 대한 성인들의 기대와 교사가 해야 하는 역할을 살펴보면서, 익숙한 잘못된 가르침에 대해 대체하거나 수정을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갖도록 자극하고, 겸손과 용인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 프로젝트 접근법을 배우면서 이해한 내용과 실습 현장에서 적용하면서 나타난 이들의 민속교육관과 교사 정체성을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 프로젝트 접근법을 직접 현장에서 적용을 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학습과 교수법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 주로 프로젝트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교사의 역할과 인식에 대한 연구나 프로젝트 접근 실시 현황에 관한 연구들(김성은, 1998; 최수경, 1999)이 많이 있지만, 실제 예비교사들이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습현장에서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들이 드물다. 프로젝트접근법이라는 새로운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며, 그 의도를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을 하는 지 해석학적 입장에서 예비교사들이 프로젝트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이 유아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 지에 대한 지식과 방법을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학습은 항상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유아들이 자신들이 알고 있던 것과 연결시키고, 의미를 부여하는 순간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성은(1998). 2-3세 유아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전개과정 및 교사의 역할. 동국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은혜(1999). 유아교사교육에서 수업사례 활용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61-78 

  3. 배소연(1993). 유아교사 교육에 있어 교생 실습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논문집, 11, 603-631 

  4. 이명순(2000). 유치원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원희(2002).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6. 정현숙(2002). 표상 및 초임유아교사의 교사로서의 자아상 형성과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최수경(1999). 유치원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Bruner, J.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9. Cole, M. (1996). Cultural psychology: A once and future disciplin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0. Denzin, N. K. (1989). Interpretive interactionism. Newbury Park, CA: Sage 

  11. Donaldson, M. (1979). Children's mind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2. Driscoll, M. P. (1994).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13. Duffy, T. M., & Cunninghaham, D. J. (1996). Constructivism: Implication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instruction. In D. H. Jonassen(ed.)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case studies in instructional desig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4. Dunkin, M. J.(Eds.) (1987).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Oxford: Pergamon press 

  15. Graue, M. E., & Walsh, D. J. (1995). Children in context: Interpreting the here and now of children's lives. In J. A. Hatch (E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ettings (pp. 135-154). Westport, CT: Praeger 

  16. Graue, M. E., & Walsh, D. J. (1998).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CA: Sage 

  17. Gudmunsdottir, S. (1991). The narrative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341 991) 

  18. Kagan, D. M. (1992). Implication of research on teacher beliefs. Educational Psychologist, 27, 65-90 

  19. Katz, L. (1987). The nature of professions. In L. Katz & K. Steiner(Eds.),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V. &, 1-16, Norwood: Albex, 192-208 

  20. Katz, L. G., & Chard, S. C. (1989). Engaging children's mind. New York: Ablex 

  21. Killion, J., & Todnem, G.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22. Kitayama, S., Markus, H. R., Matsumoto, H., & Norasakkunkit, V. (1997). Individual and collective processes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Self-enhancement in the Untied States and self-criticism in Ja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6), 1245-1267 

  2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24. Lortie, D. C. (1975).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진동섭 (역). 교직 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25. Oliva, P. F., & Kennith, T. H. (1980). What are the essential generic teaching competence? Theory into Practice, 19(2), 20-31 

  26. Olson, D. R., & Bruner, J. (1996). Folk psychology and folk pedagogy. In D. R. Olson, & N.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15, 4-14 

  27.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 In S. John., & E. Guyto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p. 102-119). New York: Macmillan 

  28.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15, 4-14 

  30. Shweder, R. A., Goodnow, J., Hatano, G., Levine, R. A., Makus, H., & Miller, P. (1998). The cultural psychology of development: one mind, many mentalities. In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5th ed., pp. 865-937),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Silin, J. (1988). On becoming knowledgeable professionals. In B.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s (Eds.)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pp. 117-134).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2. Sparks-Langer. G., & Colton, A.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37-44 

  33. Torff, B. (1999). Tacit knowledge in teaching: Folk pedagogy and teacher education. In B. Toff, & R. J. Sternberg (Ed.),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intuitive mind: student and teacher learning (pp. 95-211). NJ: Lawrence Erlbanum 

  3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35. Zeicher, K. M. (1999). The new scholarship in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Reserach, 28(9), 4-1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