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농업인의 농업생산 기여도와 기여도에 대한 인적자본요소의 영향
The Contribution toward Farming Productivity of Rural Women and its Effects of Human Capital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3 = no.217, 2006년, pp.153 - 161  

임찬영 (숭실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과) ,  최윤지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김경미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이진영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farming product function of rural women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uman capital. The data was based on 300 husbands and wives from 150 farms with crops of high female input time rate such as house-cucumbers, house-strawberries, roses, agaric mushro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시설오이 시설딸기, 장미, 느타리버섯, 사과 등 5개 작목의 150가구 부부, 총 300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인적 자본요소와 작목별 농작업단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농가의 농업생산함수를 추정하고 농업생산의 기여도에 대한 인적 자본요소의 영향을 찾고자 하였다.
  • 그러나 현재 농업관련 연구는 여전히 자료 수집의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나타난 자료의 문제를 보완하고자하였으며, 농업인의 인적자본 투자상황, 작목 특성, 작목별 농작업단계 등의 변수를 사용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 농업인력의 농업노동가치의 평가를 위해 최근 인적자본이론의 가정 하에서 농업부문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농업생산의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지고 있는 인적 자본투자 관련 변수들, 즉 농업노동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여 농가의 여성과 남성의 농업생산함수를 추정하고, 농업노동 가치(working value)에 미치는 인적자본요소의 영향을 찾고자 한다. 노동자들에 대한 학교교육, 기술교육, 직 업 훈련, 건강 등의 인적자본투자는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고 이는 다시 소득(임금)수준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 이에 근거하여 성별 농업생산 기여도를 추정하여 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영옥, 안소영, 정금나(2001). 여성농업인의 취업유형별 소득전망과 정책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 이기웅, 오스번(1992). 교육수준 차이에 따른 미국 농가소득의 분석적 연구. 순천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11, 1-15 

  3. 임선희(2001). 여성농업인의 교육훈련 활성화 방안. 교육발전논총, 22(2), 37-56 

  4. 조관일, 전운성(1997). 농촌개발과 농촌여성 노동력의 성격변화에 관한 고찰. 산업과 경제, 7(2), 109-124 

  5. 최윤지, 유소이, 최현자(2002). 여성농업인 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에 관한 소고. 한국지역생활과학회지, 13(1), 25-40 

  6. Becker, G. S. (1975).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2th e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7. Fafchamps, M., & Agnes R. Q. (1997). Human Capital, Productivity, and Labor Allocation in Rural Pakistan. Working paper 

  8. Gallacher, M. (2001). Education as an Input in Agricultural Production. CEMA Working Papers, 189 

  9. Marshall, A. (1974). Principles of Economics. 8th, ELBS 

  10. Mclntosh, J. (1998). Wage Determination and Employment in Traditional Agriculture. Discussion Papers, 98-02 

  11. Pinckney, T. C. (1994). Human Capital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Working paper 

  12. Schultz, T. W. (1971). Investment in Human Capital. New York, Free Press 

  13. Tianyou Li, J. Z. (1988). Returns to Education under Collective and Household Farming in China.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56(2), 307-335 

  14. Tiwari, K. K. (1998). Education and Training for Rural Women. Employment News, 23(23), 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