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관련 특성과 변인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y Strengths and Related Variabl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4 = no.218, 2006년, pp.23 - 38  

현은민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임보래 (태화어린이집) ,  장경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ngths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the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family strength approach.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ood communication, family bond, children's adjustment and coping ability were characteristics of single-pa...

주제어

참고문헌 (74)

  1. 강해구(1988). 결손가정 고교생과 정상가정 고교생의 가족 및 자아에 대한 개념비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성혜, 한유진(1995). 편모가정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 한국청소년개발원, 20, 60-73 

  3. 공선영(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4. 김미숙, 박민정, 이상험, 홍석표, 조병은, 원영희(2000).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5. 김선영(1991). 미망인의 가족 스트레스와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6.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7.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8. 김영희(1998). 요보호 모자세대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모자보건센터 

  9. 김오남(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85-118 

  10. 김오남, 김경신(1998).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07-123 

  11. 김형진(1999). 편부모 가족의 현황과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2. 매일신문(2004). 신부부'편부편모 가정'4월 27일자 

  13. 박재규(2003). 여성가구주의 빈곤화와 빈곤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제 4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노동연구원 

  14. 보건사회부(1994). 전국 부자가정 실태조사 보고서 

  15. 성은현, 박현경(2001). 어머니의 내외통제신념 및 자녀에 대한 교육행동과 자녀의 학업성취와의 관계. 호서대학교 논문집 인문과학편, 20, 165- 188 

  16. 신건희(1995). 부자가정의 의미와 문제점 및 대응책. 대전대 사회과학 논문집, 22, 63-98 

  17. 신수자(1995). 부자가정의 특성과 대책. 대구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8. 신화용, 조병은(1996). 편모가 인지한 자원과 편모의 심리적 적응. 가족학 논집, 8, 57-76 

  19. 안명자(1994). 친족자원과 사별한 편모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 어은주(1996). 한국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연구.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1.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5 

  22. 여성가족부(2005). 여성과 정책. 여름호 

  23. 오승환(2001).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2, 109-133 

  24. 유영주, 서동인, 홍숙자, 전영자, 이정연, 오윤자, 이인수 (2000). 현대 결혼과 가족. 서울: 신광출판사 

  25. 이삼연(2002). 이혼가정 청소년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37-66 

  26. 이소영, 옥선화(2002). 자녀의 정서적 지원과 모-자녀간 의사소통 특성 지각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 가장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감. 대한가정학회지, 40(7), 53-68 

  27. 이애재(1999). 편부모 가족 기능에 따른 자녀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 박사학위논문 

  28. 이애재(2000). 편부모 가족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7(1), 69-93 

  29. 이은경(2000). 편모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30. 이주옥(1995). 어머니의 내외통제신념, 자녀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포항전문대 사회경제연구소 논문집, 21(12), 129-151 

  31. 장혜경, 송다영, 김영란, 김정훈(2001). 여성 한부모 가족을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정책자료 

  32. 정영숙(1999). 편부모가족의 경제생활실태 및 변동추이와 복지정책적 함의. 소비문화연구, 2(2), 223-243 

  33. 정현숙(1993). 이혼과 자녀문제의 이론적 고찰. 이혼과 가족문제. 서울: 하우 

  34. 정현숙, 서동인(1996). 편부모 가족의 자녀가 인지한 가족환경 및 사회 심리적 적응, 늘어나는 편부모가정. 서울특별시 가정복지 세미나 

  35. 조병은, 서동인, 신화용, 정현숙(1998).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1), 13-21 

  36.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1997).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37.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5).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38. 조희선(1991). 모자가족과 부부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비교 연구. 성신여대 박사학위논문 

  39. 최선애(1984). 부친부재가 자녀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40. 최선희(1999). 한국인의 가족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41. 최해경(1997). 사회적 지지망 구조가 편부모 가족의 심리적복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3, 377-395 

  42. 최희경, 이인숙(2005). 비정형가족의 특성과 가족복지에의 함의. 한국가족복지학, 15, 245-283 

  43. 통계청(2004). 인구주택 총 조사서 

  44. 한경혜(1993). 한국 이혼부부의 적응과 관련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혼과 가족문제. 서울: 하우 

  45. 한국가족관계학회(1998). 가족생활교육-이론 및 프로그램. 서울: 하우 

  46. 한국여성민우회 가족과 성 상담소(1999). 새로 짓는 우리집 

  47. 현은민, 최선남(1999). 시설보호 편모가족의 대처행동과 경제적 복지감. 대한가정학회지, 37(2), 41-54 

  48. Amato, P. R. (1993). Children'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i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1), 22-35 

  49. Barnes, H., & Olson, D. (1982).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In D. Olson(Ed).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50. Booth A., & Amato, R. (1991). Divorce and psychological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2, 396-407 

  51. Curran, D. (1983). Traits of a healthy family. MI: Winston Press, Inc 

  52. Doherty, W. J. (1983). Locus of control and marital interaction. In H. M. Lefcourt (Ed.), Research with the locus of control construct: Development and social problems. New York: Academic Press 

  53. Galvin, K. M., & Brommel, B. J. (1986).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Illinois: Scott, Foresman and Co 

  54. Gongla, P., & Thompson, E. (1987). Single-parent families. In Sussman and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ew York: Plemun Press 

  55. Hanson, S. M. H. (1986). Healthy single parent families. Family Relations, 35, 125-132 

  56. Hawley, D. R., & Dehaan, L. (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 283-298 

  57. Hetherington, E. M., Law, T. C., & O'Conner, T. G. (1993). Divorce: Challenges, change, and new chances. In Walsh, F. (Ed.), Normal Family Processes, Guilford, 185-205 

  58. Komarovsky, M. (1988). The new feminist scholarship; Some precursors and pole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585-594 

  59. McLanahan, S., & Booth, K. (1989). Mother-only families: Problems, prospects and polit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557-580 

  60. Melissa, A. B. (1994).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household responsibilities in divorced single-parent famil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61. Morrison, N. C. (1995). Successful single-parent familie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22, 205-219 

  62. Norton, A. J., & Glick. P. C. (1986). One parent families: A social and economic profile. Family Relations, 3, 9-17 

  63. Nowicki, S., & Brissett, M. (1977). Internal versus external of reinforcement and reaction of frust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5, 35-44 

  64. Olson, D. H., & Defrain, J. (2003). Marriage and families-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McGrawhill 

  65. Olson, M. R., & Haynes J. A. (1993). Successful single parents. Families in Society, 74, 259-267 

  66. Olson, D., Russell, D., & Sprenkle, D.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4 

  67. Otto, H. A. (1962). What is a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68. Peterson, R. R. (1989). Women, work and divorc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9. Richards, L. N., & Schmiege, C. J. (1993). Problems and strengths of single parent Families. Family Relations, 42, 277-285 

  7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1. Satir, V. M. (1967).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lif; Science and Behavior Books 

  72. Schmidt-Denter, U., & Beelmann, W. (1995). Familiare bisiehyung nach trennun and scheidung. Univeritat Koln 

  73. Skinner, H. A., Steinhauer, P. D., & Santa-Barbara, J. (1983). The family assessment measure. Canadian Journal of Community Mental Health, 2 

  74.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