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1 no.2 = no.63, 2006년, pp.127 - 139  

정진숙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허윤경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최재갑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사이의 동통의 정도나 기간의 차이, 그리고 수면질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61명의 환자는 관절강 내 통증을 가진 환자 24명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37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환자들은 첫 내원 시 맥길 통증설문지(McGill Pain Questionnaire),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F-36 (Medical Outcome Study 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을 작성하고 치과적 병력과 의과적 병력을 기록한 후, 전반적인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는 동통의 강도나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6개월 이상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지는 환자 중에서는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보다 SF-36의 평균과 정신적인 부분에서의 점수에서 낮은 수치를 보인다(p<0.05).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에서는 평사시의 수면 효율면에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1.9459{\pm}0.8481$)가 관절강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 ($1.375{\pm}0.9237$)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군에서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의 총점이 5이상인 나쁜 수면질을 가지는 군은 맥길 통증 설문지, SF-36에서 높은 동통 정도와 낮은 삶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는 전체적인 삶의 질을 나타내는 SF-36에서는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역할의 제한, 생활력, 신체적 동통에서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삶의 질이 특히 정신적인 면에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explor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o evaluate it in terms of source and duration of the pain. Methods: A total of 61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pain source,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ost of the patients in this study had pain of a more chronic nature, and the fac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psychosocial fact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lso, the clinicians must be recognized that these distress have decrease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MD, these results have suggested the value of evaluating these domains in the management of TMD.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of TMD patients, those with MMP versus ICP, and to compare these differences in terms of pain severity, sleep quality, and life qual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eimer MA, Flemons WW. Quality of life in sleep disorders. Sleep Med Rev 2003;7(4);335-349 

  2. Geigle R, Jones SB. Outcomes measurement: a report from the front. Inquiry 1990;27;7 

  3. Ware JE,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ry(SF-36). Med Care 1992;30; 473-483 

  4. Katz N. The impact of pain management on quality of life; proceediings from the roundtable on 'the role of coxibs in successful pain management'. Jour of Pain and Symp Management 2002;24;38-47 

  5. Mauro G, Tagliaferro G, Montini M, Zanolla L. Diffusion model of pain language and quality of life in orofacial pain patients. J Orofac Pain 2001;15;36-46 

  6. Wittink H, Turk DC, Carr DB, et al. Comparison of the redundancy,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to change among SF-36, Oswestry Disability Indes, and Multidimensional Pain Inventory. Clin J Pain 2004;20;133-142 

  7. Cureje O, Von Korff M, Simon GE, et al. Persistent pain and well-being: A World Health Organization study in primary care. JAMA 1998;280;147-151 

  8. Joke AM, Christel W, Alice AJ, et al. Stability of pain parameters and pain-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persistent pain: a three-year follow-up. Clin J Pain 2002;18;99-106 

  9. Hunfeld JA, Perquin CW, Duivenvoorden HJ, et al. Chronic pain and its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J Pediatr Psychol 2001;26;145-153 

  10. Berker N, Thomasen AB, Olsen AK, et al. Pain epidemiolog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non-malignant pain patients referred to a Danish multidisciplinary pain center. Pain 1997;73;3 93-400 

  11. Lindroth JE, Schmidt JE, Carlson CR. A comparion between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 and intracapsular pain patients on behavioral and psychosocial domains. J Orofac Pain 2002;16;277-283 

  12. Dworkin SF, LeResche L, Von Korff MR.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J Cranio Disor Fac & Oral Pain 1992;6(4);327-334 

  13. Carlson CR, Reid KI, Curran SL, et 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masticatoy muscle pain. Pain 1998;76;297-307 

  14. Korszum A, HindersteinB, Wong M. Comorbidity of depression with chronic 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Radiol Endod 1996;82;496-500 

  15. Epder J, Gatchel RJ. Coping profile differences in the biopshchosocial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Psychosom Med 2000; 62;69-75 

  16. Yatani H, Studts J, Cordova M, Carlson CR, et al. Comparison of sleep quality and clinical and psychologic characteristics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ofac Pain 2002;16;221-228 

  17. Hagberg C, Hagberg M, Kopp S.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Acta Odontol Scand 1994;52;170-177 

  18. Smith MT, Perlis ML, Smith MS, Giles DE, Carmody TP. Sleep quality and presleep arousal in chronic pain. J Behav med 2000;23(1);1-13 

  19. Nicassio P, Wallston KA.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ain, 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in rheumatoid arthritis. J Abnorm Psychol 1992;101(3); 514-520 

  20. Buysse DJ, Reynolds III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a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8;28;193-213 

  21. Melzack R.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major properties and scoring methods. Pain 1975;1;277-299 

  22. Ware JE. SF-36 health survey update. Spine 2000;25; 3130-3139 

  23. Elliott TE, Renier CM, Palcher JA. Chronic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correlation and predictive value of the SF-36. Pain Med 2003;4(4); 331-339 

  24. Rudy TE, Turk DC, Kubinski JA, et al. Differential treatment responses of TMD patients as a functi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in 1995;61;103-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