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체타액의 보관이 DNA 분리와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rage of Human Saliva on DNA Isolation and Stability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1 no.1 = no.62, 2006년, pp.1 - 16  

김용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 교실) ,  김영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진단분야에 있어서의 가장 획기적인 진보로는 향상된 진단 술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면역 화학물질과 분자생물학적 시약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이와 더불어 진단용 기구의 수준 향상으로 가능해진 미세 술식의 발달에 따른 결과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상검사용 검체 뿐만 아니라 DNA의 공급원으로서의 타액의 진단학적 가치를 고려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체의 타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이를 혈액 및 협점막 swab에서 분리한 genomic DNA와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타액 검체의 진단학적 활용도를 살펴보고, 타액 검체의 다양한 보관 과정이 genomic DNA의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으며, 또한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을 시행하였다. 1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29.9{\pm}9.8$ 세)를 대상으로 혈액, 비자극성, 자극성 전타액 및 협점막 swab을 채취한 후 이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여러 다양한 보관조건이 genomic DN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2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32.3{\pm}6.6$ 세)를 대상으로 자극성 전타액을 채취하여 실온, $4^{\circ}C$, $-20^{\circ}C$, $-70^{\circ}C$, 자연 건조 및 동결 건조 상태에서 1, 3, 5 개월 동안 보관한 후 genomic DNA를 분리,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989-bp의 $\beta$-globin 유전자를 증폭한 후 전기영동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타액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타액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극성 전타액과 이를 동결 건조한 검체에서 분리한 genomic DNA의 순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협점막 swab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의 순도는 타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2.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1 개월 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며, 3 개월과 5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각각 p<0.05, p<0.01). DNA의 순도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3 개월과 5 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DNA의 순도는 신선한 타액과 1 개월 동안 보관된 타액 검체의 순도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타액 검체를 $4^{\circ}C$$-20^{\circ}C$에서 보관한 후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3 개월의 보관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보관 기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4. 타액을 $-70^{\circ}C$에서 보관한 검체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보관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관 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DNA의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타액을 자연 건조한 후 즉시 genomic DNA를 분리한 결과, 신선한 타액에 비하여 약 60%의 DNA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 건조한 후에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농도는 보관 2 주 만에 급격하게 감소되었다(p<0.05). 6.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타액의 경우 보관 기간 5 개월까지의 모든 검체에서 가능하였으며, 보관 기간 1 개월을 기준으로 보았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st important progress in diagnostic sciences is the increas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agnostic procedur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icromethodologies and increasing availability of immun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reagents. The technological advances led to consider the diagn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 years). Collection of saliva was carried out between 9:00 am - 12:00 am to minimize effects of the diurnal variability in salivary compositions. Sample from the subjects was collected into the chilled sterile 15 mL polypropylene tube before meals or at least two hs after meal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yophilization on genomic DNA, lyophilized stimulated whole saliva was prepared. Aliquots of stimulated whole saliva, 600 μL drawn into 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DNA from saliva with those from blood and buccal swab,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enomic DNA in saliva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f saliva samples, and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DNA from saliva stored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by PCR analysis. Gender and age differences were not incorporated in this study, because yield of salivary DNA was not influenced by either gender or ethnic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genomic DNA extracted from saliva with those from blood and buccal swab,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enomic DNA in saliva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f saliva samples, and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DNA from saliva stored under various storage conditions by PCR analysis.

대상 데이터

  • For the examination of extraction rate of genomic DNA from saliva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20 mL of stimulated whole saliva were collected from 20 healthy adults (mean age: 32.3 ± 6.6 years). Salivary aliquots were made by distribution of each 600 μL saliva into steri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lavkin HC. Understanding human genetics. J Am Dent Assoc 1996;27:266-267 

  2. Fredricks DN, Relman DA. Applic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the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Clin Infect Dis 1999;29(3):475-488 

  3. Elnifro EM, Ashshi AM, Cooper RJ, Klapper PE. Multiplex PCR: optimization and application in diagnostic virology. Clin Microbiol Rev 2000;13(4):559-570 

  4. Nissen MD, Sloots TP. Rapid diagnosis in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Pediatr Infect Dis J 2002;21(6):605-612 

  5. Weedn VW. Forensic DNA tests. Clin Lab Med 1996;16(1):187-196 

  6. Offit K, Gilewski T, McGuire P, Schluger A, Hampel H, Brown K, Swensen J, Neuhausen S, Skolnick M, Norton L, Goldgar D. Germline BRCA1 185delAG mutations in Jewish women with breast cancer. Lancet 1996;347:1643-1645 

  7. Witt DR, Schaefer C, Hallam P, Wi S, Blumberg B, Fishbach A, Holtzman J, Kornfeld S, Lee R, Nemzer L, Palmer R. Cystic fibrosis heterozygote screening in 5161 pregnant women. Am J Hum Genet 1996;58:823-835 

  8. Slavkin HC. Recombinant DNA technology and oral medicine. Ann N Y Acad Sci 1995;758:314-328 

  9. Kornman KS, Crane A, Wang HY, di Giovine FS, Newman MG, Pirk FW, Wilson TG, Jr Higginbottom FL, Duff GW. The interleukin-1 genotype as a severity factor in adult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1997;24:72-77 

  10. Boyle JO, Mao L, Brennan JA, Koch WM, Eisele DW, Saunders JR, Sidransky D. Gene mutations in saliva as molecular markers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m J Surg 1994;168:429-432 

  11. Gill P, Jeffreys AJ, Werret DJ. Forensic application of DNA 'finger printing'. Nature 1985;318:577-579 

  12. Kanter E, Baird M, Shaler R, Balazs I. Analysis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in deoxyribonucleic acid (DNA) recovered from dried bloodstains. J Forensic Sci 1986;31(2):403-408 

  13. Giusti A, Baird M, Pasquale S, Balazs I, Glassberg J. Application of deoxyribonucleic acid (DNA) polymorphisms to the analysis of DNA recovered from sperm. J Forensic Sci 1986;31(2):409-417 

  14. Linch CA, Smith SL, Prahlow JA. Evaluation of the human hair root for DNA typing subsequent to microscopic comparison. J Forensic Sci 1998;43(2):305-314 

  15. Lee HC, Ladd C, Scherczinger CA, Bourke MT. Forensic applications of DNA typing: part 2: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DNA evidence. Am J Forensic Med Pathol 1998;19(1):10-18 

  16. Lee JC, Chang JG. ABO genotyping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J Forensic Sci 1992;37(5):1269-1275 

  17. Sensabaugh GF. Isozymes in forensic science. Isozymes Curr Top Biol Med Res 1982;6:247-282 

  18. Sensabaugh GF. The utilization of polymorphic enzymes in forensic science. Isozymes Curr Top Biol Med Res 1983;11:137-154 

  19. Mandel ID. The diagnostic uses of saliva. J Oral Pathol Med 1990;19:119-125 

  20. van Schie RC, Wilson ME. Saliva: a convinient source of DNA for analysis of bi-allelic polymorphisms of Fc receptor IIA (CD32) and Fc receptor IIIB (CD16). J Immunol Methods 1997;208:91-101 

  21. Walsh DJ, Corey AC, Cotton RW, Forman L, Herrin GL Jr, Word CJ, Garner DD. Isolation of deoxyribonucleic acid (DNA) from saliva and forensic science samples containing saliva. J Forensic Sci 1992;37:387-395 

  22. Malamud D. Saliva as a diagnostic fluid. Br Med J 1992;305:207-208 

  23. Farkas DH, Drevon AM, Kiechle FL, DiCarlo RG, Heath EM, Crisan D. Specimen stability for DNA-based diagnostic testing. Diagn Mol Patho 1996;15(4):227-235 

  24. Kan YW, Golbus MS, Dozy AM. Prenatal diagnosis of alpha-thalassemia. Clinical application of molecular hybridization. N Engl J Med 1976;295(21):1165-1167 

  25. Lahiri DK, Schnabel B. DNA isolation by a rapid method from human blood samples: effects of MgCl2, EDTA,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on DNA yield and quality. Biochem Genet 1993;31(7-8):321-328 

  26. Madisen L, Hoar DI, Holroyd CD, Crisp M, Hodes ME. DNA banking: the effects of storage of blood and isolated DNA on the integrity of DNA. Am J Med Genet 1987;27(2):379-390 

  27. Cushwa WT, Medrano JF. Effects of blood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on DNA yield and quality. Biotechniques 1993;14(2):204-207 

  28. Albarino CG, Romanowski, V. Phenol extraction revisited: a rapid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reservation of human genomic DNA from whole blood. Mol Cell Probes 1994;8(5):423-427 

  29. DeSalle R, Gatesy J, Wheeler W, Grimaldi D. DNA sequences from a fossil termite in Oligo-Miocene amber and their phylogenetic implications. Science 1992;257(5078):1933-1936 

  30. Paabo S. Molecular cloning of Ancient Egyptian mummy DNA. Nature 1985;314(6012):644-645 

  31. Takahashi R, Matsuo S, Okuyama T, Sugiyama T. Degradation of macromolecules during preservation of lyophilized pathological tissues. Pathol Res Pract 1995;91(5):420-426 

  32. Huckenbeck W, Bonte W. DNA fingerprinting of freeze-dried tissues. Int J Legal Med 1992;105(1):39-41 

  33. Weisberg EP, Giorda R, Trucco M, Lampasona V. Lyophilization as a method to store samples of whole blood. Biotechniques 1993;15(1):64-68 

  34. Hagerman RJ, Wilson P, Staley LW, Lang KA, Fan T, Uhlhorn C, Jewell-Smart S, Hull C, Drisko J, Flom K, Taylor AK. Evaluation of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for fragile X syndrome utilizing buccal cell FMR-1 testing. Am J Med Genet 1994;51(4):474-481 

  35. Meulenbelt I, Droog S, Trommelen GJ, Boomsma DI, Slagboom PE. High-yield noninvasive human genomic DNA isolation method for genetic studies in geographically dispersed families and populations. Am J Hum Genet 1995;57(5):1252-1254 

  36. Freeman B, Powell J, Ball D, Hill L, Craig I, Plomin R. DNA by mail: an inexpensive and noninvasive method for collecting DNA samples from widely dispersed populations. Behav Genet 1997;27(3):251-257 

  37. Walker AH, Najarian D, White DL, Jaffe JM, Kanetsky PA, Rebbeck TR. Collection of genomic DNA by buccal swabs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biomarker assays. Environ Health Perspect 1999;107: 517-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