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의 치료 방법 연구
A Study on Treatment Way of a Malicious Code to injected in Windows System File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誌 = KSCI review, v.14 no.2, 2006년, pp.255 - 262  

박희환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보안학과) ,  박대우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 정보의 탈취에 필요한 악성코드Phishing, Pharming메일,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Vishing, 모바일 금융을 위장한 SMiShing등에 이용되어진다. 악성코드의 삭제나 치료는 앤티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런데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여 기생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인 lsass.exe, winlogon.exe, csrss.exe와 연계되어 있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하여 임의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려 한다면 운영체제 시스템 전체가 리부팅이 발생하거나 블루 스크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하는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치료를 위한 Thread에 종료함수를 임의로 삽입하고 Thread를 제어하여 기생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함수가 가지는 Thread를 다시 Injection 한 후 KILL DLL 클릭하여 삭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한 치료방법과 해결하는 방안은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유비쿼터스보안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licious code is used to SMiShing disguised as finance mobile Vishing, using Phishing, Pharming mail, VoIP service etc. to cap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 Malicious code deletes in Anti-Virus Spyware removal programs. or to cure use. By the way, the Malicious cord which is parasitic as use a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치명적인 시스템의 다운이나, 리부팅과 디지털 증거 의 무 결성 확보를 위한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같은 악영향으로부터 중요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을 이용하는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하고, 제안방법을 구현하여, 악성코드가 치료됨을 증명한다.
  •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실험을 통해 특정 프로세스에 기생되어져 실행되는 악성코드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하고 치료를 실험하여 성공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치명적인 시스템의 다운이나, 리부팅과 같은 악영향으로부터 중요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을 이용하는 악성코드의 증상을 분석하고, CPU 점유율이 증가, 트래픽이 유발과 같은 감염 피해 분석을 한다.
  • 새로운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결과는 신종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백신 분석과 치료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방법의 결과는 신종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백신 분석과 치료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의 악성코드의 이름 악성코드 파일 이름은 jhbn.exe이다. 바이러스를 분류하는 회사에 따라서 악성코드의 이름은 다르게 불린다.
  • 1) 해킹으로 인한 변조된 웹사이트 접속 시 사용자 PC에 유입된다.
  • 2) ActiveX Controller에 의해 설치된다.
  • 2) 파일을 제어하려 하면 아래와 같이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면서 리부팅 된다.
  • 3) 또 다른 악성코드에 의해 생성되거나 다운로드 및 설치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