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및 최대화염 높이의 예측을 위한 반응표면방법론의 활용성 고찰
The Applicable Investig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for the Prediction of the Ignition Time, the Heat Release Rate and the Maximum Flame Height of the Interior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0 no.2 = no.62, 2006년, pp.14 - 20  

하동명 (세명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내장재의 발화시간과 열방출율을 예측하고자 한다. 반응표면방법론(RSM)과 문헌자료를 사용하여 건축내장제의 새로운 발화시간과 열방출율의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재료의 두께와 밀도에 의한 발화시간의 예측값과 문헌값의 A.A.P.E.는 4.35초, A.A.D.는 1.57초 그리고 상관계수는 0.987이였다. 버너의 폭과 열량에 의한 순열방출율의 예측값과 문헌값의 상관계수는 0.983이였으며, 버너의 폭과 열량에 의한 총열방출율의 예측값과 문헌값의 상관계수는 0.999였다. 또한 버너의 폭과 열량에 의한 최대 화염높이의 상관계수는 0.999로서, 제시한 예측식들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ignition times and the HRR(heat release rate)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s. By using the literature data and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new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ignition time and the HRR of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re proposed.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현상은 여러가지 변수(독립변수)가 변화함으로 해서 응답(종속변수, response 혹은 solution variable)에 미치는 영향이 여러가지 상태로 나타난다.30 이러한 변수와 응답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학문이 발달해 왔고, 우리는 화재의 잠재적 위험성평가를 위해 변수 와 응답의 관계를 응용하고자 한다.
  • 제시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다른 물질의 화재 특성 예측에 도움을 주고, 새로운 내장재의 연소 특성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경우 실험의 효 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반응표면방법론을 통해 모델의 불확실성 (uncertainty) 연구에 이용하여 성능위주설계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ISO 9705의 실험방법에 의한 vinyl ester/glass 마감재의 화재 위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문헌 자료16)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독립변수가 변화함으로 해 서 응답(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방법인 반응표면방법론(RSM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3-5) 을 이용하여, 건축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그리고 최대화염 높이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여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다른 물질의 화재 특성 예측에 도움을 주고, 새로운 내장재의 연소 특성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경우 실험의 효 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도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발화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발화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여러 예측 모델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최적화된 예측식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독립변수가 변화함으로 해 서 응답(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방법인 반응표면방법론(RSM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3-5) 을 이용하여, 건축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그리고 최대화염 높이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여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다른 물질의 화재 특성 예측에 도움을 주고, 새로운 내장재의 연소 특성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경우 실험의 효 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반응표면방법론을 통해 모델의 불확실성 (uncertainty) 연구에 이용하여 성능위주설계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FPA, 'SFPE Handbook Fire Protection Engineering',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ssachusetts(1995) 

  2. M. Brandyberry and G. E. Apostolakis, 'Response Surface Approximation of Fire Risk Analysis Computer Code',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29, pp.1534-184(1990) 

  3. D. M. Ha,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ashover time and Heat Release Rate(HRR)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s',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18, No. 3, pp.30-38(2004) 

  4. G. E. P. Box and N. R. Draper, 'Empirical Model-Building and Response Surface', John-Wiley & Sons, Inc.(1987) 

  5. D. M. Ha and S. K. Lee, 'A Study Flash Point of a Flammable Substances - Focused on Prediction of Flash Points in Ternary System by Solution Theory-',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15, No. 3, pp.14-20(2001) 

  6. C. J. Hilado, 'Flammability Handbook for Plastics', 3rd ed., Technomic Publishing Company(1982) 

  7. J. H. Koo et al., 'Flammability Studies of Thermally Resistant Polymers Using Cone Calorimetry', Fire and Materials, Vol. 24, pp.209-218(2000) 

  8. G. Gallina et al., 'Application of Cone Calorimeter for the Assessment of Class of Flame Retardents for Polypropylene', Fire and Materials, Vol. 22, pp.15-18(2000) 

  9. G. W. H. Silcock and T. J. Shields, 'A Protocol Analysis of Time-to-Ignition Data from Bench Scale Tests', Fire Safety Journal, Vol. 245, pp.75-95(1995) 

  10. A. Tewarson et al., 'Flammability Evaluation of Clean Room Polymeric Materials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y', Fire and Materials, Vol. 25, pp.31-42(2001) 

  11. T. Harada,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and Fire Endurance Time of Wood in Cone Calorimeter Test', Fire and Materials, Vol. 25, pp.161-167(2001) 

  12. T. Hakkarainen and T. Oksanen, 'Fire Safety Assessment of Wooden Facades', Fire and Materials, Vol. 26, pp.7-27(2002) 

  13. S. L. Thompson and G. E. Apostolakis, 'A Response Surface Approximation Bench Scale Peak Heat Release Rate from Upholstered Furniture Exposed to Radiant Heat Sources', Fire Safety Journal, Vol. 22, pp.1-24(1994) 

  14. D. M. Ha, 'Interrelationship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for Chlorinated Hydrocarbons', J.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Vol. 17, No. 4, pp.126-132(2002) 

  15. T. D. Tsantraidis et al., 'Fire Protection of Wood by Different Gypsum Plasterboards', Fire and Materials, Vol. 23, pp.45-48(1999) 

  16. T. Ohlemiller et al., 'Effect of Ignition Condition on Upward Flame Spread on a Composite Material in a Conner Configuration', Fire Safety Journal, Vol. 31, pp.331-344(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