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랑질 변연으로 이루어진 복합레진 수복물의 체적과 C-factor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FACTOR AND VOLUME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WITH ENAMEL MARGINS 원문보기

大韓齒科保存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perative Dentistry, v.31 no.6, 2006년, pp.452 - 459  

구봉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신동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동벽과 복합레진 수복물이 접착될 때, 복합레진의 치질에 대한 접착력과 레진 자체의 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응력이 상충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응력의 크기는 와동의 형태요소 (C-factor)와 수복물의 체적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단일 병 접착제를 사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법랑질 변연만으로 이루어진 와동의 C-factor와 체적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 전류 측정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연마기를 이용하여 40개의 건전한 우치 협면에 편평한 법랑질 표면을 형성하였다. 각각 10개의 치아에 원통형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와동의 깊이와 직경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 I군: 1.5 mm ${\times}$ 2.0 mm, II군: 1.5 mm ${\times}$ 6.0 mm, III군: 2.0 mm ${\times}$ 1.72 mm, IV군: 2.0 mm ${\times}$ 5.23 mm). 각기 와동의 C-factor는 4, 5.62, 2, 2.54를 보였다. 산 부식 후 단일 병 접착제인 BC Plus$^{TM}$ (Vericom, Korea)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고,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인 Denfil$^{TM}$(Vericom)을 충전하였다. 40초씩 광중합 후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을 이용하여 연마하였고, 5$^{\circ}$C와 55$^{\circ}$C범위에서 500회 열순환을 시행하였다. 이후 미세전류 측정을 위해 치수강 내에 증류수를 채우고 치근단공을 통해 0.018 stainless wire를 삽입한 후 sticky wax로 근첨부를 밀봉하였으며, nail varnish를 수복물의 변연에서 1 mm를 제외한 전체 치면에 2회 도포하였다. 미세누출의 측정은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95% 유의 수준의 Two-way ANOVA로 검증하여 ,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 수복물의 체적이 적은 것이 큰 것에 비해 미세누출도가 적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와동 형태와 연관된 C-factor는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법랑질 변연을 갖는 와동에 단일 병 접착제를 사용한 본 실험에서는 복합레진의 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복물의 체적과 C-factor가 미세누출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는 법랑질과 접착시스템과의 강력한 접착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etition will usually develop between the opposing walls as the restorative resin shrinks during polymerization. Magnitude of this phenomenon may be depended upon cavity configuration and volume. The purpose of this stur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avity configuration and volume on microle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건전한 40개의 단 근관을 가진 우치 (bovine tooth)를 이용하여 , 각 치아의 치근단 3mm를 절단, 제거하고 file을 이용하여 치수를 제거한 다음, 5% 차아염소산 나트륨에 보관하여 잔존 치수를 제거하였다.
  • 미세 전류 즉정을 위해 근첨부를 통하여 증류수를 치수강 내에 채우고 0.018 stainless steel wire를 치수벽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 뒤, sticky wax로 근첨부를 밀봉하고 nail varnish를 와동의 변연에서 1 mm 떨어지게 하여 2회 도포하였다.
  • 산 부식 처리 후 BC Plus™>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2회 도포한 다음 20초간 광중합하였다. 이후 DenfillTM을 단일충전 (bulk filling)하고 광중합기 (XL2500, 3M ESPE, St.
  • )를 이용하여 600 mW/atf의 광도로 40초간 광중합 하였다. 수복물 경화를 위해 모든 시편을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으며, Sof-Lex (3M ESPE, St. Paul, U.S.A.)를 사용하여 연마하고 5°- 50℃로 각 온도에서 30초씩 500회 열순환 (thermocy- cling) 을 시행하였다.
  • 수축응력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C-factor와 복합레진의 체적이, 법랑질 변연만으로 이루어진 와동에서 미세누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순면의 법 랑질을 삭제하여 평활한 표면을 노출시킨 다음, 체적 4.71 ㎣을 만들기 위해 각기 직경 2 mm/깊이 1.5 mm 와 직경 1.73 mm/깊이 2.0 mm의 원통형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체적 42.4 ㎣을 만들기 위해 직경 6 mm/깊이 1.5 mm와 직경 5.2 mm/깊이 2.0 mm의 원통형 와동을 형성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기 와동의 C-factor는 4, 5.
  •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랑질 변연으로만 이루어진 와동에서 단일 병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합레진으로 수복할 때 와동의 C-factor와 체적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 전류 측정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 기존색소 침투법의 경우, 평가를 위해 시편을 파괴해야 하며, 절단된 면만을 평가할 수 있고,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전기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미세누출을 측정하였다. 전기 화학적 방법은 접착 계면에 미세누출이 존재할 경우 미세전류가 매질을 통해 흐르게 된다는 사실을 이용한 방법이다.
  • 다음 20초간 광중합하였다. 이후 DenfillTM을 단일충전 (bulk filling)하고 광중합기 (XL2500, 3M ESPE, St. Paul, MN, U.S.A.)를 이용하여 600 mW/atf의 광도로 40초간 광중합 하였다. 수복물 경화를 위해 모든 시편을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으며, Sof-Lex (3M ESPE, St.
  • A)를 사용하였다. 전류를 흐르게 한 다음 0T0분까지 20초 간격으로 측정한 30개 측정치의 평균값을 시편의 미세전류 측정치로 인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단일 병 접착 시스템인 BC Plus™(Vericom, AnYang, Kyunggi, Korea)와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인 DenfilfM (Vericom) 을 사용하였다.
  • 또한 Nakano23)는 외부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높은 전압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Delivanis 와 Chapman24)은 20V보다는 10V 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미세누출 연구들과의 상관성이 더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10V의 직류전기를 사용하였다.
  • QA)를 측정하였다. 일정한 전압을 부여하기 위해 직류 공급원인 TOE 8841 (TOELLNER electronic instrument GMBH, Germany)을 이용하였고, 미세전류 측정에는 6514 system Electrometer (Keithley Co., Cleveland, Ohio, U.S.A)를 사용하였다. 전류를 흐르게 한 다음 0T0분까지 20초 간격으로 측정한 30개 측정치의 평균값을 시편의 미세전류 측정치로 인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각 군간의 미세전류 측정치에 대한 유의성은 Two-way ANOVA test로 95 % 유의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Dentin bonding systems: an update. Council on Dental Materials. Instruments. and Equipment. J Am Dent Assoc 114(1) :91-95, 1987 

  2. Nakabayashi N, Kosima K, Masuhara E. Promotion of adhesion by infiltration of monomer into tooth substrates. J Biomed Mat Res 16:265-273. 1982 

  3. Bowen RL. Properties of a silica-reinforced polymer for dental restoration. J Am Dent Assoc 66:57-64, 1963 

  4. Lavella R, Lambrechts P, Van Meerbeek B, Vanherle G.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elasticity of flow able composite and filling adhesive. Dent Mat 15: 128-137. 1999 

  5. Brannstrom M. Communication between the oral cavity and the dental pulp associated with restorative treatment. Oper Dent 9:57-68, 1984 

  6. Jorgensen KD, Asmussen E, Shimokobe H. Enamel damage by contracting restorative resin. Scand J Dent Res 83:120-122,1975 

  7. Sheth JJ, Fuller JL, Jensen ME. Cuspal deformation and fracture resistance of teeth with dentin adhesives and composites. J Prosthet Dent 60(5) :560-569, 1988 

  8. Choi KK, Ryu GJ, Choi SM, Lee MJ, Park SJ, Ferracane JL. Effects of cavity configuration on composite restoration. Oper Dent 29(4) :462-469. 2004 

  9. Davidson CL, de Gee AJ. Relaxation of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ed by flow in dental composite. J Dent Res 63:146-148,1984 

  10. Feilzer AJ, de Gee AJ, Davidson CL.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tress reduction by flow in composite restoration. Dent Mat 6: 167-171. 1990 

  11. de la Macorra JC, Gomez-Fernandez S. Quantification of the configuration factor in Class I and II cavities and simulated cervical erosions,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4(1) :29-33, 1996 

  12. Miguel A, de la Maccora JC. A predictive formula of the contraction stress in restorative and luting materials attending to free and adhesive surface. volume and deformation. Dent Mat 17:241-246. 2001 

  13. Ferracane JL. Mitchem JC.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e contraction stress and leakage in class V cavities. Am J Dent 16:239-243, 2003 

  14. Pashley DH, Ciucchi B, Sano H, Horner JA.Permeability of dentin to adhesive agents. Quintessence Int 24(9) :618-631, 1993 

  15. Van Meerbeek B, Inokoshi S, Braem M, Lambrechts P, Vanherle G. Morphological aspects of the resin-dentin interdiffusion zone with different dentin adhesive systems, J Dent Res 71 (8): 1530-1540, 1992 

  16. Van Meerbeek B, Peumans M, Verschueren M, Gladys S, Braem M, Lambrechts P, Vanherle G. Clinical status of ten dentin adhesive systems. J Dent Res 73(11):1690-1702.1994 

  17. Gladys S, Van Meerbeek B, Lambrechts P, Vanherle G. Microleakage of adhesive restorative materials. Am J Dent 14(3): 170-176, 2001 

  18. Hannig M, Friedrichs C. Comparative in vivo and in vitro investigation of interfacial bond variability, Oper Dent 26(1):3-11.2001 

  19. Eick JD, Welch FH. Dentin adhesives-do they protect the dentin from acid etching? Quintessence Int 17(9):533-544, 1986 

  20. Johnston WM, Leung RL, Fan PL. A mathematical model for post-irradiation hardening of photo activated composite resins. Dent Mat 1(5): 191-194. 1985 

  21. Iwami Y, Yamamoto H, Ebisu S. J A new electrical method for detecting marginal leakage of in vitro resin restorations. J Dent 28(4):241-247.2000 

  22. Mattison GD, von Fraunhofer JA. Electrochemical microleakage study of endodontic sealer/cements. Oral Burg Oral Med Oral Pathol 55(4):402-407, 1983 

  23. Nakano Y. A new electrical testing method on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Japan J conserv Dent 8(4): 1183-1198, 1985 

  24. Delivanis PD, Chapman KA. Comparison and reliability of techniques for measuring leakage and marginal penetration. Oral Burg Oral Med Oral Pathol 53(4) :410-416, 1982 

  25. Buonocore MG. A simple method of increasing the adhesion of acrylic filling materials to enamel surfaces. J Dent Res 34(6):849-853, 1955 

  26. Gwinnett AJ, Matsui A. The physical relationship between enamel and adhesive. Arch Oral Biol 12(12):1615-1620, 1967 

  27. Retief DH. Effect of conditioning the enamel surface with phosphoric acid. J Dent Res 52 (2): 333-341, 1973 

  28. Silverstone LM. Fissure sealants. Laboratory studies. Caries Res 8(1) :2-26, 1974 

  29. Gwinnett AJ. Histologic changes in human enamel following treatment with acidic adhesive conditioning agents. Arch Oral Biol 16(7):731-738, 1971 

  30. Eick JD, Robinson SJ, Cobb CM, Chappell RP, Spencer P. The dentinal surface: its influence on dentinal adhesion. Quintessence lnt 23(1) :43-51. 1992 

  31. Eick JD, Gwinnett AJ, Pashley DH, Robinson SJ. Current concepts on adhesion to dentin. Crit Rev Oral BioI Med 8(3) :306-335, 1997 

  32. Swift EJ Jr, Perdigao J, Heymann HO. Bonding to enamel and dentin: a brief history and state of the art. Quintessence Int 26(2) :95-110, 1995 

  33. Bastos PA. Retief DH. Bradley EL, Denys FR. Effect of etch dur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microfilm composite resin to enamel. Am J Dent 1(4): 151-157, 1988 

  34. Barkmeier WW, Shaffer SE, Gwinnett AJ. Effects of 15 vs 60 second enamel acid conditioning on adhesion and morphology. Oper Dent 11(3):111-116,1986 

  35. Mitchem JC. The use and abuse of aesthetic materials in posterior teeth. lnt Dent J 38(2): 119-125, 1988 

  36. Frankenberger R, Kramer N, Petschelt A. Long-term effect of dentin primers on enamel bond strength and marginal adaptation. Oper Dent 25(1):11-19,2000 

  37. Franco EB, Gonzaga Lopes L, Lia Mondelli RF, da Silva e Souza MH Jr, Pereira Lauris JR. Effect of the cavity configuration factor on marginal microleakage of esthetic restoration materials Am J Dent 16(3):211-214,2003 

  38. Mallmann A, Zovico F, Soares M, Placido E, Ferrari M, Cardoso PE. Microtensile dentin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nd single-bottle adhesive system in different cavity configurations. J Adhes Dent 5(2): 121-127, 2003 

  39. Armstrong SR, Keller JC, Boyer DB. The influence of water storage and C-factor on dentin-resin composite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pathway utilizing a filled and unfilled adhesive. Dent Mat 17(3) :268-276, 2001 

  40. Barnes DM, Thompson VP, Blank LW, McDonald NJ. Microleakage of Class 5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 comparison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Oper Dent 18(6) :237-245, 1993 

  41. Abdalla AI. Davidson CL.Comparison of the marginal integrity of in vivo and in vitro Class II composite restorations. J Dent 21(3): 158-162, 1993 

  42. Ferrari M. Yamamoto K. Vichi A. Finger WJ.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adhesive restorative systems. Am J Dent 7(4) :217-219, 1994 

  43. Momoi Y, Iwase H. Nakano Y, Kohno A, Asanuma A, Yanagisawa K. Gradual increases in marginal leakage of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with thermal stress. J Dent Res 69(10): 1659-1663. 1990 

  44. Kemp-Scholte CM, Davidson CL. Complete marginal seal of Class V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effected by increased flexibility. J Dent Res 69(6):1240-1243.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