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형수생식물이 팔당호의 물질 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crophytes on Budget of Matters in Lake Paldang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9 no.1 = no.115, 2006년, pp.85 - 92  

박혜경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정동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총량관리연구부) ,  변명섭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일차생산과 영양염류의 흡수량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8월부터 11월까지 애기부들, 줄, 갈대, 마름, 연 및 생이가래 등 6종의 우점 대형수생식물종을 선정하여 서식면적과 건중량,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팔당호 전체에서 6종의 대형수생식물이 서식하는 총 면적은 약 1.37 $km^2$이었고 그 중 애기부들이 팔당호 연안수역 식생면적의 46.7%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는 남한강의 대형수생식물 서식면적이 0.458 $km^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북한강, 경안천 및 합류 수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대형수생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체내 탄소, 질소, 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각 대형수생식물별 탄소함량은 정수식물인 줄, 애기부들 및 갈대에서 다른 생활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특히 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마름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 종별 질소 함량은 부유식물인 생이가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수식물인 애기부들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종별 인 함량은 마름이 가장 높았고 정수식물인 줄과 갈대가 다른 대형수생식물군보다 적은 인 함량을 보였다.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2004년도 연간 물질순생산량을 산정한 결과 1차생산량은 758.4 ton C ${\cdot}$ $yr^{-1}$로 나타났고, 질소의 순흡수량은 16,921 kg ${\cdot}$ $yr^{-1}$, 인의순흡수량은 1,841,0 kg P ${\cdot}$ $yr^{-1}$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에 조사된 팔당호의 물질 수지와 비교한 결과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1차생산량 및 물질 흡수량은 전체1차생산량 및 유입량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다.원에서 오폐수처리를 통해 하천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11}C]raclopride$ PET을 이용하여 비흡연 정상인에서 흡연에 의한 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uptake of macrophytes in Lake Paldang, this study investigate the vegetation areas of six dominant aquatic plants including Typha angustifolia, Zizania latifolia, Phragmites australis, Trapa japonica, Nelumbo nucifera and Savinia natans, and contents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심이 얕고 연안대가 발달한 팔당호에서 주요 1차생산자인 대형수생식물의 서식현황을 조사하고 수생식물에 의한 연간 탄소 및 인, 질소의 흡수량을 측정하여 팔당호의 물질 수지에서 수생식물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공동수, 정원화, 전선옥. 1999. 생활형 및 생육환경에 따른 대형수생식물의 생산성과 영양물질 제거능. Kor. J. Limnol. 32(3): 216-228 

  2. 국립환경연구원. 1996. 호소내 오염하천 유입부의 식물에 의한 정화처리 연구(II). NIER No. 96-17-448 

  3. 김준호, 민병미, 조강현. 1988. 팔당상수원 보호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I). NIER No. 88-15-540 p. 220 

  4. 김준호, 조강현. 1996.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상수원 수질의 개선 : 팔당호의 연구사례. 한일지방간 생태공학적 수질개선 공법에 관한 심포지움 초록집.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p. 3-17 

  5.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1998.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기법 연구(I) 

  6.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1999.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기법 연구(II) 

  7. 오경환. 1987. 정양호 생태계에 있어서 수생관속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순환. 서울대학교 이학박사학 위논문 

  8. 이규승, 김문규, 변종영, 이종식. 1985.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 오염원 제거에 관한 연구, 제2보 부레옥잠의 영양염류 및 중금속 제거효과. 한국잡초학회지 5: 149-154 

  9. 이병헌, 이남희, 김정숙. 1992. 조류성장이 부레옥잠을 이용한 폐수처리공법의 유출수에 미치는 영향. 환경과학회지 1: 81-92 

  10. 임용석, 마선미, 나성태, 최홍근, 신현철. 2005. 팔당호 연안생태계의 수생식물상과 생태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1): 30-44 

  11. 조강현, 박상규, 김준호, 1994. 팔당호 연안대에서 저토와 수체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반작용. 한국육수학회지 27(1): 59-67 

  12. 최홍근, 김호준, 신현철. 1996. 한강유역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 375-381 

  13. 최홍근. 2000. 수생관속식물. 정행사 

  14.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4. 수중생태계 물질순환 및 에너지 흐름 조사.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15. 함종화, 윤춘경, 김형철, 구원석, 신현범. 2005. 식생피도가 인공 습지의 질소 및 인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식물의 조성 및 관리. 한국육수학회지 38(3): 393-402 

  16. 환경부. 1997. 수질오염공정시험법 p. 208-209 

  17. Brix, H. 1997. Do macrophytes play a role in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 Wat. Sci. Tech. 35(5): 11-17 

  18. Cho, K.H. and J.H. Kim. 1994. Distribution of aquatic mac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dang, Korea. Kor. J. Ecol. 17: 435-442 

  19. Hill, B.H. 1986. The role of aquatic macrophytes in nutrient flow regulation in lotic ecosystem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p. 157- 167 

  20. Kadlec, R.H. and R.L. Knight. 1996. Treatment wetlands. CRC press, FL 

  21. Nam, G.S., B.H. Park, J.O. Kim, K.S. Lee, G.J. Joo and S.J. Lee. 2002.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hydraulic conditions in an artificial wetland system. Korean J. Limnol. 35(4): 285-294 

  22. Wetzel, R.G. 2001. Limnology (3rd ed.), p. 559. Academic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