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Stream Ecosystem Assessments, based on a Biological Multimetric Parameter Model and Water Chemistr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9 no.2 = no.116, 2006년, pp.198 - 208  

배대열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환경 평가기법 즉, '생물통합지수'라 불리는 다변수 모델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4년 8월 ${\sim}$ 2005년 9월까지 갑천에서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자료와 함께 환경부에서 제공되는 장기간의 수진자료와 물리적 서식지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어류 군집에 기반으로 한 하천의 생몰학적 건강도 평가를 위하여 Karr(1981)가 제시한 12메트릭 모델을 국내 실정에 맞게 10메트릭 모델로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US EPA(1993)와 Karr(1981)의 기준에 따르면 갑천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4.0 (범위: 20 ${\sim}$ 30, n=5)으로 보동${\sim}$악화 상태를 나타내었다. 장마기간에 조사된 4차 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 중 상류부(SI~S3)와 하류부(S4, S5)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6.0${\sim}$24.0으로 나타난 반면 4차 조사는 상류부와 하류부가 각각 21.0과 20.0을 기록하였다. 이는 장마로 인한 교란현상을 시사하며 또한 하류부보다는 상류부가 장마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는 75(보통)${\sim}$148(양호)상태를 보였다. 53은 75점을 기록하여 다른 지점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P=0.001, n=5)를 보였으며 생물학적 건강도 평가 지수 역시 24를 기록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총인, 총질소의 네 항목은 상류에 비하여 하류에서 3${\sim}$8배 가랑 상승하였으며, 이는 생물학적건강도 지수가 이 ${\cdot}$ 화학적 수질과 물리적 서식지를 모두 반영하는 결과라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생물학적건강도 평가기법은 하천생태계를 현재를 진단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 하천생태계와 수질을 회복하는데 핵심도구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to apply a multi-metric approach, so called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s a tool for biological evaluations of water environments, to a wadable stream. For the study, we surveyed 5 sampling locations in Kap Stream during August 2004 ${\sim}$ September 200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환경 평가기법 즉, ‘생물통합지수’라 불리는 다변수 모델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4년 8월~2005년 9월까지 갑천에서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 즉, 서로 다른 수체들을 비교 •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하천들의 건강도를 생물을 주체로 하여 알아보고, 나아가서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생태하천복 원사업에도 현재의 하천 건강도와 복원 이후의 건강도를 비교 할 수 있어 향후 행하여지는 수환경 평가에 있어 건강도 측면을 대표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기법으로 사 료되는 바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를 활용 한 수질평가 기법인 IBI Score를 실제하천에 적용하여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가늠해 보고, 둘째, 기존의 화학적 방법에 의거한 수질 항목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물 리적 서식지 평가지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를 활용하여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와의 연 계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공동수. 2002.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및 접근방안. 환경생물 20(special issue): 38-49 

  2. 교육부.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629p 

  3.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 한국 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352p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김정수, 구태회. 2002. 양재천에서 생태적 복원구간과 비복원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비교.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 1-11 

  6. 대구지방환경청. 2000. 금호강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7. 박배경, 박석순, Karen N. Erstfeld, Keith R. Cooper. 1996. 송사리 알의 초기 발생과정을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 독성 도 평가. 환경생물 14: 55-61 

  8. 배연재, 원두희, 이웅재, 승현우. 2003. 하천생태계에 대한 환경 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환경생물 21: 223-233 

  9. 서울특별시. 1999. 한강조류발생 방지대책 및 수질개선 방안연구 

  10. 서울특별시. 2004. 청계천 복원사업. 환경백서 제7장 4절 

  11. 신재기, 조경제. 2000. 소하천 수질평가를 위한 부착생물 조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9: 109-117 

  12. 신정이. 1999. 자연형 하천 공법 적용후의 식생변화분석 -서울 시 양재천의 학여울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 10-17 

  13. 신진철. 2002. 전주천, 1950년대로 역류하다 -전주천 자연형하 천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53: 98-103 

  14. 안광국. 2000. Dynamic changes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육수지 33: 213-221 

  15.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육수지 38: 361-371 

  16.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a. 생물보전지수의 신속한 생물평 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육수지 19: 261-269 

  17.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홍영표. 2003. 어류군의 다변수 접근 방식에 의거한 생물보존지수 산정에 의한 생태학적 하천 건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p. 548-552 

  18.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 341-351 

  19.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b.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 지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 153- 165 

  20.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 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평 가. 환경생물 18: 215-226 

  21. 우원재, 정동양. 1998. 수변식재에 따른 갑천의 수위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 3-17 

  22. 윤일병, 공동수, 이상협. 199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금호강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육수지 25: 177-183 

  23. 이충렬. 2001. 갑천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환경생물 19: 292-301 

  24. 정부합동. 2000. 호남의 생명수 지키기 대역사 -영산강수계 물 관리종합대책- 환경부 

  25. 정영훈, 이충성, 김형수, 심명필. 2005. 갑천 유역의 빈도별 갈수 유량에 따른 필요유량 산정. 대한토목학회지 25: 97-105 

  26. 최기철. 1994. 우리민물고기 백가지. 현암사. 532p 

  27.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 한국 담수어 도감. 향문사, 서울, 277p 

  28. 최지용. 2005. 합리적 하천환경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하천정비 방안 제시. 국토연구원. 국토 286: 168-169 

  29. 홍영표. 1994. 자연환경기본계획; 담수어류. 대전직할시. pp. 1- 17 

  30. 환경부. 2006. http://water.nier.go.kr/weis 

  31. An, K.-G., S.-S. Park and J.-Y. Shin, 2002, An evaluation of a river health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along with relations to chemical and habitat conditions, Environ. Int. 28: 411-420 

  32.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3. Walton, B.M., M. Salling, J. Wyles and J. Wolin, 2006, Biological integrity in urban streams: Toward resolving multiple dimensions of urbaniz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30 January 2006 

  34. Ganasan, V. and R.M. Hughes. 1998. Application of index od biological integrity (IBI) to fish assemblages of the river Khan and Kshipra (Madhya Pradesh), India. Freshwater Biol. 40 

  35. Harris, J.H. 1995. The use of fish in ecological assessment. Aust. J. Ecol. 20: 65-80 

  36. Bohmer, J., C. Rawer-Jost, A. Zenker, C. Meier, C.K. Feld, R. Biss and D. Hering. 2004. Assessing streams in Germany with benthic invertebrates: Development of a multimetric invertebrate based assessment system. Limnologica 34: 416-432 

  37.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38.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 

  39. Koizumi, N. and Y. Matsumiya. 1997. Assessment of stream fish habitat based on Index of Biotic Integrity. Bull. Jap. Soc. Oceanogr. 61: 144-156 

  40. Kolkwitz, R. and M, Marsson. 1902. Grundsatze fur die biologische Beurteilung des Wassers nach seiner Flora Serreinig 1: 33-72 

  41. Bervoets, L., G. Knaepkens, M. Eens and R. Blust. 2005. Fish community responses to metal pollution. Environ. Pollut. 138: 338-349 

  4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43. Oberdorrff, T. and R.M. Hughes. 1992.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characterize rivers of the Seine Basin, France. Hydrobiologia 228: 117-130 

  44.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45.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46. Kovacs, T.G., P.H. Martel and R.H. Voss. 2002. Assessing the biological status of fish in a river receiving pulp and paper mill effluents. Environ. Pollut. 118(1): 123- 140 

  47.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 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48. US EPA. 1993. Fish field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9. You, S.J., J.G. Kim, T.Y. Kwan and S.M. Lee, 1999. A study on the eutrophication in the Keum river. J. of Korean Env. Sci. Soc. 8: 15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