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천수에서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 양상
Survival of Food-born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Hot Spring Wa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1 no.1, 2006년, pp.36 - 40  

쩡찌옌삔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안용선 (순창군 장류개발사업소) ,  정도영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김용석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개발 및 산업화 연구 센터) ,  신동화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천수에는 각종 무기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2가 이온들이 많이 들어있고 살균력을 갖춘 유황 성분이 있어,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온천수의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Escherichia coli, 피부병 원인균인 Candida albicans와 Trichophyton mentogrophytes, 위장병 원인균인 Helicobacter pylori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온천수는 먹는물 수질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불소함량이 기준치 1.5mg/L보다 높은 14.1 mg/L로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나 그 외 항목은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였다. 몇 가지 식중독 미생물이 온천수에서 생존하는 양상을 관찰한 결과 S. aureus 및 E. coli의 생존에 대해서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 cereus의 균수는 감소시키는데 이는 온천수의 온도($41^{\circ}C$와 관계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 albicans와 T. mentagrophytes등 피부병균과 위염 원인균(H. pylori)에 대해서도 온천수는 뚜렷한 증식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T. mentagrophytes는 온도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온천수는 식중독균이나 피부질환 혹은 위염 원인균에 뚜렷한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일부 고온($41^{\circ}C$)에 의한 균수의 감소 효과는 인정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t spring water against the survival of food-born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which are food-borne microorganisms, Candida albican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which are s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온천수의 성분 분석을 통흐}여 함유 된 성분을 정확히 밝히고 이들 성분들이 몇 가지 식중독 및 부패성 미생물과 함께 피부질환 및 위장질환 미생물에 대한 살균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법제처. 온천법. 법률 6842호 (2002. 12. 30) 

  2. Park, R.J.: The studies of actual condition and therapeutic effects of hot spring water in Korea. J. Korean Soc. Phys. Ther. 12(3), 369-377 (2000) 

  3. Park, R.J., Han, D.W, Park, C.G and Lee, H.K.: The effects of artificial balneotherapy on osteoarthritis. J. Korean Soc. Phys. Ther. 15(2), 379-389 (2003) 

  4. Park, R.J., Lim, J.S., Han, D.W, Lee, J.O. and Oh, J.L.: The effect of blood flow and improvement of dry and lipid skin by artificial balneotherapy. J. Korean Soc. Phys. Ther. 16(2), 185-200 (2004) 

  5. Lim, J.S. and Park, R.J.: The effects of blood circulation and improve acne by artificial spa water. J. Kor. Soc. Cosm. 11(2), 153-159 (2005) 

  6. Kim, J.H. and Choi, Y.W: Water chemistry and age dating of thermal spring in Chullabukdo region. J. Korean Chem. Soc. 40(2), 10 1-108 (1996) 

  7. 김도희.: 우리나라 주요온천의 수질특성과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8. Lee, D.J., Zamora, O.B. and Chae, J.C.: Effect of geothermal water on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 in rice. J. Crop Sci. 41(1), 53-61 (1996) 

  9. Nam, E.S., Choi, J.W, Cha, S.K and Ahn, J.K.: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rmostable $\beta$ -glycosidase-producing microorganism from hot spring of volcanic area at Atagawa in Japa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2), 151-156 (2002) 

  10. Chung, Y.T., Choi, H.S., Kim, S.H., Choi, M.K. and Park, S.T.: A study on the epilithic algae in streams of hot springs in Chollabuk-Do, Korea. Wonkwang J. Environ. Sci. 6, 65-76 (1997) 

  11. Lee, D.B., Lee, K.B., Kim, MY, Kim, B.H., Choi, M.K. and Park, S.T.: Influence of spa sewage on the water qualit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near stream. Wonkwang J. Environ. Sci. 7, 135-147 (1998) 

  12. Choi, H.S. and Yu, C.M.: a study on the epilithic algae in a stream drained from hot springs. Kor. J. Env. Hlth. Soc. 24(3), 131-136 (1998) 

  13. 환경부: 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환경부 고시 제2002-91호). (2002) 

  14. Brock, T.D. and Freeze, H.: Thermus aquaticus gen. n. and sp. n., a nonsporulating extreme thermophile. J. Bacteriol. 98, 289-297 (1969) 

  15. Manaia, C.M. and da Costa, M.S.: Characteristics of halotolerant Thermus isolates from shallow marine hot springs on S. Miguel, Azores. J. Gen. Microbiol. 137, 2643-2648 (1991) 

  16. Williams, R.A.D., Smith, K.E., Welch, S.G, Micallefand, J. and Sharp, R.J.: DNA relatedness of Thermus strains, description of Thermus brokianus sp. nov., and proposal to reestablish Thermus thermophilus (Oshiam and Imahori). Int. J Syst. Bacterial. 45, 495-499 (1995) 

  17. Albert, B., Bray, D., Kewis, J., Raft; M., Robert, K. and Watson, J.D.: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2nd ed., Carland Publishing. Inc. New York, USA (1989) 

  18. 성호경, 이인묘, 이상복.: 인체생리학. 형설출판사. 서울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