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열성 플라스틱 광섬유 코어재료의 열적 및 광학적 성질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Heat-Resistant Core Materials in Plastic Optical Fiber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2, 2006년, pp.158 - 161  

이규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센터) ,  조원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센터) ,  박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센터) ,  이현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하이브리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하의 반응기내에서 일차 아민(primary amine)과 PMMA의 이미드화 반응을 유도하여 내열성 플라스틱 광섬유(plastic optical fiber, POF) 재료인 polyglutarimide(PGI)를 제조하였다. 에틸 아민과 이소프로필 아민, 두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반응시 함량을 다르게 하여 합성한 후 PGI의 여러 가지 물성을 비교하였다. $^1H$ NMR과 FTIR을 사용하여 PGI의 이미드 전환율을 비교하였고, DSC와 TGA를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에틸 아민을 사용하여 합성된 PGI 화합물들이 높은 이미드 전환율을 보이면서 향상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POF재료로서 필수적인 광학적 성질은 분광광도계와 아베굴절계로 굴절률과 광 투과율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PGI는 PMMA 수준의 광 투과율을 유지하였으며, 보다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합성된 PGI가 POF 코어물질로써 우수한 광 효율 및 내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application of plastic optical fiber (POF) in automotives and planes demands the heat-resistant and high refractive index con materials. We synthesized polyglutarimides (PGIs) via imidization of PMMA with primary amines under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and investigated therm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핵자기 공명 분광겨K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H NMR)와 적외선 분광기(attenuated total reflection fburier transformed inflated spectroscopy, FER)를 통해 구조를 분석하고 시차주사 열량계(di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와 열중량 분석계(thermogravimetrical analyzer, TGA)로 열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 troscopy)와 아베굴절계(ABBE reftactometer)로 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POF의 코어와 클래드간의 접착력을 알아보기 위한 peel test도 수행하여 POF 코어재료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PMMA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일차 아민을 이용한 이미드화 반응을 통해 단순한 선형 구조인 PMMA 사슬에 고리 구조를 도입하였다. 핵자기 공명 분광겨K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H NMR)와 적외선 분광기(attenuated total reflection fburier transformed inflated spectroscopy, FER)를 통해 구조를 분석하고 시차주사 열량계(di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와 열중량 분석계(thermogravimetrical analyzer, TGA)로 열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Park, J. K. Kim, and M. S. Lee, Pros. of Ind. Chem., 3, 27 (2000) 

  2. W. Damn, J. Krauser, P. E. Zamzow, and O. Ziemannn, PDF-Polymer Optical FIbers for Data Communication, Springer, Ch3, pp 73 (2001) 

  3. M. Y. Jin, K. H. Park, and H. K. Chung, Polym. Sci. and Tech., 13, 180 (2002) 

  4. M. J. Jung, Y. F. Kim, J. B. Kim, M. S. Lee, M. Y. Jin, and M. Park, J. of the Korea Fiber Society, 40, 335 (2003) 

  5. I. Sasaki, K. Nishida, M. Morimoto, H. Anzal, and H. Makino, US. Patent, 4,908,402(1990) 

  6. H. M. Zidan and M. Abu-Elnader, Physics, B, 355, 308 (2005) 

  7. Y. Takezawa and S. Ohara, J. Appl. Polym. Sci., 49, 169 (1993) 

  8. E. Tampellini, L. Canova, P. Cinquina, and G. Gianotti, Polymer, 35, 367 (1994) 

  9. T. M. Trinka and R. H. Grubbs,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34, 18 (2001) 

  10. Y. Kita, K. Kishino, and K .Nakagawa, Appl. Polym. Sci., 63, 1055 (1997) 

  11. R. Madan, A. Srivastava, R. A. Anand, and I. K. Varma, Prog. Polym. Sci., 23, 663 (1998) 

  12. H.Cherdron, M. J. Brekner, and F. Osan, Angewandte Chemie, 223, 121(1994) 

  13. Y. C. Lee, H. W. Choi, I. J. Chin, H. Y. Won, and Y. S. Kim, Polymer (Korea), 3, 76 (1995) 

  14. R. M. Kopchik, US. Patent 4,246,374 (1981) 

  15. M. P. Hallden-Abberton and M. Glen, U.S. Patent 1,874,824(1989) 

  16. R. E. Jerman, W. T. Freed, L. A. Cohen, L. F. Buhse, and G. W. Miller, U.S. Patent 5,159,058 (1992) 

  17. S. Isao, N, Kozi, and F. Masaharu, U.S. Patent 5,132,371 (1992) 

  18. G. B. Butler,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Edition., 38, 3451 (2000) 

  19. Technology roadmap, lTEP, pp 23-33, pp 174-177 (2001) 

  20. H. Anzai, H. Makino, I. Sasaki, K. Nishida, and M. Morimoto, U.S. Patent 4,745,159 (1988) 

  21. C. E. Brown, C. A. Wilkie, J. Smukalla, R. B. Cody, Jr., and J. A. Kinsinger,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4, 1297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