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은퇴축과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빈도와 분포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gingival recession and dentine hyper-sensitivity 원문보기

대한치주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v.36 no.1, 2006년, pp.51 - 60  

박기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김성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최점일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이주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gival recession is clinically manifested by an apical displacement of the gingival tissue and dentin hypersensitivity is often used to describe a painful condition in which exposed dentin is unduly sensitive to intraoral stimuli.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primarily to investigate the prev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온 도, 촉각, 삼투압 혹은 화학적 자극에 반응해 노출된 상아질로부터 나타나는 짧고, 날카로운 동통으로 정 의된다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상아세관이 넓고, 많이 존재하는 노출된 상아질면에서 개방된 상아세 관의 존재 때문으로 고려되는데, 보통 상아질 노출 의 주 원인인 치근 노출을 야기하는 것은 치은 퇴축 이다. 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성인의 4-74%에서 나타 나는데m 질환 진행의 일부로 치근면이 노출되는 만 성 치주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흔히 발견 된다气 그럼에도 치주질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인 치은 퇴축과 상아질 지각과민증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고, 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제한된 수의 보 고만이 존재하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자에 서의 치은 퇴축과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빈도와 분포 양상, 치은 퇴축과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 우리가 치주염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가장 흔 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치은퇴축과 상아질 지각과민 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에서의 치은 퇴축 및 상 아질 지각과민증의 빈도와 분포 양상 치은 퇴축량 과 상아질 지각과민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oshipura KJ, Kent RL, DePaola PF. Gingival recession: Intraoral distribution and associated factors. J Periodontol 1994; 65: 864-871 

  2. Barer DL, Seymour GJ. The possible pathogenesis of gingival recession. J Clin Periodontol 1976; 3: 208-219 

  3. Loe H, Anerud A, Boysen H. The natu¬ral history of periodontal disease in man: Prevalence, severity and extent of gingival recession. J Periodontol 1992; 63: 489-495 

  4. Litonjua LA, Andreana S, Bush PJ, Cohen RE. Toothbrushing and gingival recession. Int Dent J 2003; 53: 67-72 

  5. Calsina G, Ramon JM, Echeverria JJ. Effect of smoking on periodontal tissue. J Clin Periodontol 2002; 29: 771-776 

  6. Kassab MM, Cohen RE. The etiology and prevalence of gingival recession. J Am Dent Assoc 2003; 134: 220-225 

  7. Smith RG. Gingival recession. Reappraisal of an enigmatic condition and a new index for monitoring. J Clin Periodontol 1997; 24: 201-205 

  8. Lawrence HP, Hunt RJ, Beck JD. Three-year root caries incidence and risk modeling in older adults in North Carolina. J Public Health Dent 1995; 55: 69-78 

  9. Al-Wahadni A, Linden GJ. Dentin hypersensitivity in Jordanian dental attenders. A case control study. J Clin Periodontol 2002; 29: 688-693 

  10. Addy M, Urquart E. Dentine hypersensitivity: Its prevalence, aet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Dent Update 1995; 22: 407-412 

  11. Pees JS, Addy M. A cross-sectional study of dentine hypersensitivity. J Clin Periodontol 2002; 29: 997-1003 

  12. Chabanski MB, Gillam DG, Bulman IS & Newman HN. Clinical evaluation of cervical dentine sensitivity in a population of patients referred to a specialist periodontology department: a pilot study. J Oral Rehabil 1997; 24: 666-672 

  13. Susin C, Haas AN, Oppermann RV. Gingival recession: Epidemiology and risk indicators in a representative urban Brazilian population. J Periodontol 2004; 75:1377-1386 

  14. Albandar JM, Kingman A. Gingival recession, gingival bleeding, and dental calculus in adults 30 years of age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1988-1994. J Periodontol 1999; 70: 30-43 

  15. Kitchin PC. The prevalence of tooth exposure and the relation of the extent of such exposure to the degree of abrasion in different age classes. J Dent Res. 1941; 20: 565-581 

  16. Gorman WJ. Prevalence and etiology of gingival recession: J Periodontol. 1967; 38: 316-322 

  17. Brown LJ, Oliver RC, Loe H. Evaluation periodontal status of US employed adults. J Am Dent Asso. 1990; 121: 226-232 

  18. Addy M, Mostafa P, Newcombe RG. Dentine hypersensitivity: the distribution of recession, sensitivity and plaque. J Dent 1987; 15: 242-248 

  19. Orchardson R, Collins WJN. Clinical features of hypersensitive teeth. Br Dent J 1987; 162: 253-256 

  20. Flynn J, Galloway R & Orchardson R. The incidence of hypersensitive teeth in the West of Scotland. J Dent 1985; 13: 230-236 

  21. Graf H & Galasse R. Morbidity, prevalence and intraoral distribution of hypersensitive teeth. J Dent Res 1977: A162,; abstr. no. 479 

  22. Absi E, Addy M & Adams D. Dentine hypersensitivity. A study of the patency of dentinal tubules in sensitive and non-sensitive cervical dentine. J. Clin. Periodontol. 1987: 14: 280-284 

  23. Liu HS, Lan WH & Hsieh CC.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cervical dentine hypersensitivity in a population in Taipei, Taiwan. J of Endod 1998; 24: 45-47 

  24. Fischer C, Fischer RG & Wennberg A.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cervical dentine hypersensitivity in a population in Rio de Janeiro, Brazil. J Dent 1992; 20: 272-276 

  25. 한수부, 정희선, 문혁수, 황광세. 치은 퇴축과 치경부 마모의 연령군에 따른 유병률. 대한치주과학회지. 1995; 25: 459-468 

  26. 김은정, 정진형, 임성빈. 치은 퇴축과 치경부 마모의 임상적 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1; 31: 243-254 

  27. Taani Q, Awartani F. Clinical evaluation of cervical dentin sensitivity (CDS) in patients attending general dental clinics (GDS) and periodontal specialty clinics (PSC). J Clin Periodontol 2002; 29: 118-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