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동적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f the Kinetic Characteristics of Methane Hydrate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26 no.2, 2006년, pp.19 - 25  

김남진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천원기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ane hydrate, non-polluting new energy resource, satisfies requirement and considered as a precious resource that can prevent the global warming. Fortunately, there are abundant resources of methane hydrate distribute in the earth widely. Therefore, developing the techniques that can utilize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이와 같은 특징을 역으로 이용할 경우 메탄가스를 인공적으로 하이드레이트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메탄가스로 이루어진 천연가스의 수송 및 저장의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하이드레이트로 만들어 고체화 수송을 할 경우 액화 수송보다 24 %의 비용절감이 이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상업적인 생산을 개시할 때 고체상태로 존재하는 하이드레이트를 분해시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기존의 액화방법 대신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하여 수송하고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그러나 하이드레이트를 인공적으로 만들 경우 물과 가스의 반응률이 낮아 하이드레이트 생성시간이 길고, 가스충진율도 낮다.
  • 그러나 하이드레이트를 인공적으로 만들 경우 물과 가스의 반응률이 낮아 하이드레이트 생성시간이 길고, 가스충진율도 낮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이드레이트를 빨리 만들며 가스충진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3절의 실험은 반응기 내에 증류수를 주입한 후 메탄가스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는 가스와 증 류수의 접촉면적이 작다. 따라서 본 실험은 반응 기 내에 먼저 메탄가스를 주입한 후 증류수를 분 사시켜 접촉면적을 넓게하여 하이드레이트 변환량 을 증가시키고자 수행한 실험이다. 그림 7과 같이 과냉도변화에 따른 하이드레이트 변환량 측정 실험에서 24시간 동안 소모된 가스 총량을 진공 상태인 반응기 내에 주입한 후 27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Sloan, E.D., 1998, Clathrate hydrates of natural gases, MarcelDekker, inc.,New York, 1-318 

  2. Kvenvolden, K.A., 1988, Methane hydrate-a major reservoir ofcarbon in the shallow geosphere?, Chem Geol., Vol. 71, pp41-51 

  3. Okuda, Y., 1996, Exploration research on gas hydrates in Japan, 5th Petroleu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ymposium, pp. 62-98 

  4. Gudmundsson, J.S., Andersson, V. and Levik, O.I., 1997, Gas storage and transport using hydrates, Offshore Mediterranean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