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안녕
Productiv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6 = no.220, 2006년, pp.35 - 45  

성혜영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정책본부) ,  조희선 (성균관대학교 가족경영.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ductive activities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As people grow older,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decreased. But We verified maintaining productive activities could make buffering effect on psy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체로 생산적 활동이 노년기 심리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하위 영역 및 성별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산적 활동의 하위 영역 중 무엇이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주는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변수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생산적 활동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적 활동 유형 및 심리적 안녕의 종류, 그리고 노인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윤순덕, 한경혜, 2004) 본 연구에서는 생산적 활동이 심리적 안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남성 노인, 여성 노인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김기태, 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들을 중 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53-168 

  2. 김미옥(2003).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1, 73-97 

  3. 김선희(1996). 시부모 부양 며느리의 안녕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수연(1987). 도시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옥수(1987).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관한 연구. 중앙 의학, 58(8), 517-524 

  6. 박광희, 한혜경(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11, 43-61 

  7. 박인옥, 김진세, 이강중, 정인과(1998). 한국노인의 우울요인. 노인정신의학, 2(1), 47-63 

  8. 박충선(1990). 여성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115-153 

  9. 서병숙, 오경숙(1990). 활동을 중심으로 한 노후 적응. 한국노년학, 10, 125-145 

  10. 오흥식 역(2002). 노년에 관하여. 서울: 궁리 

  11. 윤순덕, 한경혜(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4(2), 57-77 

  12. 이선미, 김경신(2002). 노년기 부부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39-157 

  13. 이철우, 장현(1996). 노인 생활만족도에 관한 시간적 차원의 연구. 한국노년학, 16(2), 137-150 

  14. 이호성(2005).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25(3), 123-138 

  15. 정태연, 조은영(2005).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 25(1), 55-71 

  16. 정혜정, 김태현, 이동숙(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2), 49-70 

  17. 차미숙(2000). 노인들의 건강상태, 일상생활 활동능력이 우울중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19.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20. Beauvoir, S. (1970). La Vieillesse. Les Editions Gallimard, Paris; 홍상희, 박혜영 역(2002). 노년. 서울: 책세상 

  21. Blaum, C. S., Liang, J., & Lie, X. (1994). The relationship of choronic disease and health status to the health services utilization of older America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2, 1087-1093 

  22. Chou, K. L., & Chi, I. (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 1-14 

  23.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lif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4. Dupuy, H. J. (1978). Self-representation of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of American Adults. Los Angeles, Ca.: Paper Presented at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Meeting 

  25. Everard, K. M.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s for activity and older adults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8, 325-340 

  26. Glass, T. A, Seeman, T. E., Herzog, A R., Kahn, A, & Berkman L. F. (1995). Change in productive activity in late adulthood: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Th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0(2), 65-76 

  27. Hall, E. (1983). A conversation with erik erikson. Psychology Today, June. 22-33.; 한성역 편역(2000). 노년기의 의미와 즐거움. 서울: 학지사 

  28. Herzog, A R., Franks, M. M., Markus, H. R., & Holmberg, D. (1998). Activities and well-being in older age: Effects of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ttainment. Psychology and Aging, 13, 179-185 

  29. Herzog, A. R, Kahn, R L., Morgan, J. N., Jackson, J. S., & Antonucci, T. C. (1989).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Th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4(4), 129-138 

  30. Lawton, M. P., Winter, L., Kleban, M. H., & Ruckdeschel, K. (1999). Affect and quality of life: objective and subjective.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1(2), 169-198 

  31. Lemon, N., Bengtson, V., & Peterson, J.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e theory of aging: Active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4), 511-523 

  32. Lennartsson, C., & Silverstein, M. (2001). Does engagement with life enhance survival of elderly people in sweden? The role of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Th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6, 335-342 

  33. Leviatan, U. (1999). Contribution of social arrangement to the attainment of successful aging- the experience of the israeli kibbutz. Th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 205-213 

  34. McAuley, E, Elavsky, S., Motl, R W., Konopack, J. F., Hu, L., & Marquez, D. X. (2005).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nd self-esteem: Longitudinal relationships in older adults.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0, 268-275 

  35. McDowell, I., & Newell, C. (1990).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36. Menec, V. H. (2003). The relation between everyday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A 6-year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8, 74-82 

  37.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38. Rodin, J., & McAvay, G. (1992). Deter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The Journal of Gerontology, 47, 373-384 

  39. Rowe, J., & Kahn, R. (1997).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37, 433-440 

  40. Rowe, J., & Kahn, R.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41. Seeman T. E., Rodin, J., & Albert, M. (1993). Selfe-fficac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high-functioning older individual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4), 455-474 

  42. Skinner, B. F. (1983). Enjoy old age living fully in your later years, Cambridge Massachusetts.; 주영숙 역(1987). 노년을 즐기는 지혜. 서울: 배영사 

  43. Strawbridge, W. J., Walihagen, M. I., & Cohen, R. D. (2002).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 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The Gerontologist, 42(6), 727-733 

  44. Tate, R B., Lab, L., & Cuddy, T. E. (2003).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by elderly canadian males: The manitoba follow-up study. The Gerontologist, 43(5), 735-744 

  45. Wong, P. T. (1989).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30(3), 516-525 

  46. 대통령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2004).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47. 삼성경제연구소(2005). 고령화. 저성장 시대의 기업 인적 자원관리방안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