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에서의 명품의 인상관리적 효과
Image Management and Luxury Goods in Korean Society: A Cultural Sociological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8 no.6, 2006년, pp.672 - 678  

최샛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fashion in self-expression or image management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considered in addressing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y Korean college students seek luxury goods; how they recognize the effects of using luxury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이러한 패션의 한 가지 예로서 한국사회에서의 명품과 짝퉁의 사용에 초점을 맞춘다. 대학생들의 명품 선호이유와 명품사용 시 갖게 되는 효과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짝퉁으로 불리는 물품의 구매여부와 구매이유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분석을 통해, 패션의 사용이 한국사회에서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이론적으로는 Erving Goffman의 연극학적 분석기법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 많은 행동과학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는 인상관리의 개념을 계급과 패션의 관계를 다룬 사회학적 이론들에 근거하여 개괄한다. 또한 2005년 수집된 한국의 대학생 1,419명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명품과 짝퉁이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들을 더 많이 구입하고 인상관리에 보다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논문에서는 계급과 패션과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어떤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가진 대학생들이 명품과 짝퉁을 소비하는지 그리고 이들 대학생들에게 한국사회에서 명품과 짝퉁을 소비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사회에서 명품과 짝퉁을 소비하는 것이 인상관리에 있어 사회적 경제적으로 상층집단의 기호를 차용하여 자신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논문은 이러한 패션의 한 가지 예로서 한국사회에서의 명품과 짝퉁의 사용에 초점을 맞춘다. 대학생들의 명품 선호이유와 명품사용 시 갖게 되는 효과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짝퉁으로 불리는 물품의 구매여부와 구매이유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분석을 통해, 패션의 사용이 한국사회에서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소비의 혁명의 중심에는 의상, 패션이 자리 잡고 있다. 이 논문은 최근들어 사회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의상 또는 패션이 한국사회에서 자기표현 또는 인상관리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패션을 인상관리에 보다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명품과 짝퉁의 사용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광수 . 최원일 . 공희숙 (2004) 소비자 행동특성이 이미테이션 브 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12(1 ), 177-202 

  2. 김병서 (1987)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연극적 시회분석론'. 경문사, 서울 

  3. 문경자 (2000)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산, 서울 

  4. 박미정 . 엄숙자 . 이승희 (2002) 과시적 소비성향과 정장수입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3-14 

  5. 안강호 .이학식 (1992)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법문사, 서울 

  6. 이동원 . 함인희 . 박선웅 . 장미혜 (2001) 의복의 소비문화와 계급정 체성. 가족과 문화, 13(1), 133-155 

  7. 이상률 (1996) '문화와 소비: 소비재와 소비행위의 상징적인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접근'. 문예출판사, 서울, pp.1-334 

  8. 이선영 . 김정화 . 이정순 (2004) 패션 명품에 대한 의식 및 구매 태도 -대전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927-934 

  9. 이승희 . 이랑 .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 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10. 정수용 (1983) '유한계급론'. 동녘, 서울, pp.1-378 

  11. 최샛별 (2004) '현대문화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pp.1-342 

  12.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13. Barber, B. (1957) 'Social Stratification'. Harcourt, Brace & Co, New York, pp.1-540 

  14. Baudrillard, J. (1998) 'The Consumer Society: My the and Structures'. Sage, London, pp.1-208 

  15. Blumer, H. (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Sociological Quarterly, 10(Summer), 275-91 

  16. Bocock, R. (1993) 'Consumption'. Routledge, New York, pp.1-131 

  17.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London, pp.1-226 

  18. Giacalone, R.A. (1989) Image control: the strategies of impression management. Presonnel. 66(5), 52-55 

  19. Giacalone, R.A and Rosenfeld, P. (1991) 'Applied Impression Management'. Sage, London, pp.1-254 

  20. Grossman, G.M. and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March), 59-75 

  21. Jones, E.E. and Pittman, T.S. (1982) Toward a General Theory of Strategic Self-presentation. Ed. by J. Suls(E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 1'. Hillsdale, NJ: Erlbaum. pp.231-262 

  22. King, C.W. (1981) Fashion Adoption: A Rebuttal to the Trickle Down Theory. Ed, by George B.S., 'Perspectivesof Fashion'.Minueapolis: Burgess. pp. 31-39 

  23. Leary, M.R (1995) 'Self-Presentation: Impression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Behavior'. Westview, Boulder, pp.1-343 

  24. Leary, M.R and Kowalski, R.M. (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1), 34-47 

  25. Leary, M.R, and Schlenker, B.R (1981) The Social Psychology Shyness: A Self-presentational Model. Ed. by J. T. Tedeschi,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Academic Press, New York, pp.335-358 

  26. Mason, R.S. (1981) 'Conspic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St. Martin's Press, New York, pp.1-252 

  27. McKendrick, N. (1982) The Commercialization of Fashion. Ed. by Neil McKendrick, John Brewer, J. H. Plumb.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pp.34-98 

  28. Robinson, D.E. (1961) The economic of fashion demand.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75(3), 376-394 

  29. Schlenker, B.R. (1980) 'Impression Management: The Self-concept, Social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rooks/Cole, Monterey, pp.1-286 

  30. Schneider, D.J. (1981) Tactical Self-Presentation: Toward a Broader Conception. Ed. by J.T. 'Iedeschi,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Academic Press, New York, pp.23-40 

  31. Simmel, G. (1997) 'Simmel on Culture: Selected Writings'. Sage, London, pp.1-3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