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article I visually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luminous source and color, and analyzed subjective recognition of color by light source and image of color, aiming at giving guidelines in selecting source of light suitable for each purpose,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quality of life. F...
In this article I visually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luminous source and color, and analyzed subjective recognition of color by light source and image of color, aiming at giving guidelines in selecting source of light suitable for each purpose,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I subjectized, by applying a quantitative method, the objective measurement that employs sensory evaluation method for 14 categories of color, light and feelings in visual perception of textile colors (blue, green and yellow) by color of light source (color temperature of 2800K, 4200K and 6500K),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derived form this study. Colors of textile were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source. When examining common recognition of textiles in blue, green and yellow, 2800K was said to give dirty, soft and blurred image, as for 4200K clear, wide and fine feelings were said, and pure, vivid, refined and bright image were marked for 6500K. As for 2800K, it got the most low appraisals compared with others. In conclusion, image and feeling of the same colors can differ according to light source,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selection of light source for purpose of use. As for yellow, the number of assessment result tha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smallest among the three color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we consider the recognition of color in mixing different colors, mixing with yellow can result in difficulty in visually perceiving difference of colors.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more considerable attention is required when dealing with yellow color.
In this article I visually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luminous source and color, and analyzed subjective recognition of color by light source and image of color, aiming at giving guidelines in selecting source of light suitable for each purpose,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I subjectized, by applying a quantitative method, the objective measurement that employs sensory evaluation method for 14 categories of color, light and feelings in visual perception of textile colors (blue, green and yellow) by color of light source (color temperature of 2800K, 4200K and 6500K),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derived form this study. Colors of textile were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source. When examining common recognition of textiles in blue, green and yellow, 2800K was said to give dirty, soft and blurred image, as for 4200K clear, wide and fine feelings were said, and pure, vivid, refined and bright image were marked for 6500K. As for 2800K, it got the most low appraisals compared with others. In conclusion, image and feeling of the same colors can differ according to light source,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selection of light source for purpose of use. As for yellow, the number of assessment result tha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smallest among the three color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we consider the recognition of color in mixing different colors, mixing with yellow can result in difficulty in visually perceiving difference of colors.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more considerable attention is required when dealing with yellow col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광원과 색과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평가하여 광원에 따른 색의 주관적 지각과 그것으로 인한 색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의도에 상응하는 광원의 사용을 유도하고 실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의도에 상응하는 광원의 사용을 유도하고 실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광원과 색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평가 하여, 광원에 따른 색의 주관적 지각과 색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의 색(blue, green, yellow)의 지각에 있어서 색과 빛, 감정에 관한 감성형용사 14항목에 대하여 관능평가 수법을 사용한 주관적 평가를 정량화 함으로써 객관화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실험직물의 색은 시판되는 컬러 가운데에서 시장조사를 통하여 최근 많이 팔리는 색과 기본색을 합하여 purple, blue, green, yellow, red계의 5색을 먼저 선정하고, 그 중 blue와 red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있어((財)日本色彩硏究所, 1991), 본 연구에서는 purple, green, yellow의 3색으로 했다.
직물은 종이와 달리 직조나 재질에 따라 표면의 형태가 다르며 직물의 표면형태가 빛의 반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같은 직물이라도 방향에 따라 색이 달라 보이므로, 시료는 직물의 식서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고, 크기는 B5사이즈로 하였으며, 시료의 안쪽에는 직물의 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N7의 하드보드지로 고정했다. 시료의 수는 각 색별로 3장씩 9장을 작성했다.
booth는 가로 100 cm, 세로 60 cm, 높이 100 cm의 booth를 3개 만들고, 내부에 N7의 켄트지를 붙였다. 주위의 조건이 시료의 색에 영향을 미치므로 5종류의 N7 종이에 대해서 2차원 반사곡선을 구한 결과, 켄트지가 다른 종이에 비해 빛의 반사가 가장 작았으므로 booth 벽지로 켄트지를 선정했다. 광원은 색의 종류가 많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형광등을 선정했다.
booth 전면에는 암막천을 붙여 바깥의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했다. 암막천은 중심을 7cm겹치도록 하고, booth 속을 들여다보고 관찰하도록 했다.
조명의 밝기는 KS 규격의 관찰조건이 1000 lx 이상이며, 의류매장의 밝기를 30개소에서 측정한 결과 그 평균치가 1428 lx 이었으므로 1400 lx 전후로 했다. 또 형광등을 켰을 때는 밝기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림 2와 같이 1분마다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가 안정하는 시간을 검토한 결과, 조명을 켠 30분 후에 비교적 안정한 상태가 되었으므로 30분 후부터 관측했다
각 색 별로 평가 항목에 따라 인공 광원하의 직물 색의 지각에 대한 평가에 순위를 매김으로써 각 항목별 광원의 차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순위법을 채택하였다.
광원에 따라 시료의 색이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인공광원의 색에 따른 색의 지각이 직물의 색에 따라 어떤 정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ㆍ검토하였다.
평가는 동일 색의 시료를 3종류의 서로 다른 광원으로 만들어진 booth 중앙에 놓고 그것을 관찰한 후 평가항목별로 우선 순위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각각의 피험자가 판정한 결과에 의미가 있는지를 알기 위한 검증을 했다. 이 연구에서 행한 순위법의 검증에는 피험자 상호간의 판정에 있어서 일치의 정도를 나타내는 일치성의 계수(W, coefficient of concordance), (三浦 외, 1970)를 이용하였고, 피험자의 판정이 시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검토했다.
각각의 피험자가 판정한 결과에 의미가 있는지를 알기 위한 검증을 했다. 이 연구에서 행한 순위법의 검증에는 피험자 상호간의 판정에 있어서 일치의 정도를 나타내는 일치성의 계수(W, coefficient of concordance), (三浦 외, 1970)를 이용하였고, 피험자의 판정이 시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검토했다. 또한 그 판정이 유의한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프리드맨(Fridman) 의 검정식(天坂·長, 2000)에 의해 검정했다.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에 대한 색의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관한 평가를 다음과 같이 3항목으로 나누어 분석ㆍ검토 하였다.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색의 이미지에 있어서 피험자 상호간의 평가가 얼마나 일치하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료별로 3개의 광원의 색에 대한 피험자 상호간의 판정의 일치정도를 나타내는 일치성의 계수 W를 구하고, 프리드맨의 검정식에 따라 검정한 결과를 Table 2에 나타냈다.
의도에 상응하는 광원의 사용을 유도하고 실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광원과 색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평가 하여, 광원에 따른 색의 주관적 지각과 색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의 색(blue, green, yellow)의 지각에 있어서 색과 빛, 감정에 관한 감성형용사 14항목에 대하여 관능평가 수법을 사용한 주관적 평가를 정량화 함으로써 객관화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실험직물은 직물구조상 가장 일반적인 평직으로, 평직 중에서는 광택이 있는 면 브로드를 선정하였다.
booth는 가로 100 cm, 세로 60 cm, 높이 100 cm의 booth를 3개 만들고, 내부에 N7의 켄트지를 붙였다. 주위의 조건이 시료의 색에 영향을 미치므로 5종류의 N7 종이에 대해서 2차원 반사곡선을 구한 결과, 켄트지가 다른 종이에 비해 빛의 반사가 가장 작았으므로 booth 벽지로 켄트지를 선정했다.
주위의 조건이 시료의 색에 영향을 미치므로 5종류의 N7 종이에 대해서 2차원 반사곡선을 구한 결과, 켄트지가 다른 종이에 비해 빛의 반사가 가장 작았으므로 booth 벽지로 켄트지를 선정했다. 광원은 색의 종류가 많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형광등을 선정했다. 광원의 색은 색온도 2800K의 전구색(L-EDL), 4200K의 백색(W-SDL), 6500K의 주광색(D-EDL)의 3종류로 같은 모양을 선정했다.
광원은 색의 종류가 많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형광등을 선정했다. 광원의 색은 색온도 2800K의 전구색(L-EDL), 4200K의 백색(W-SDL), 6500K의 주광색(D-EDL)의 3종류로 같은 모양을 선정했다.
광원색의 선정은 색온도 2800K(A광원)와 6500K(D65광원)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 표준광에 가까운 광원으로 색의 관측, 측정에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선정했다. 또한 현재 현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광원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증할 필요가 있으므로, 백화점의 설비 담당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의류매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색온도 4200K를 선정했다.
연색지수는 색온도 2800K와 6500K에 대해서는 색 비교의 연색지수 Ra>90을 사용하고(東京商工會議所, 2000), 색온도 4200K에 있어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연색지수 Ra84를 사용했다.
평가조건은 광원의 색으로 비춰진 직물의 색에 대한 평가이므로 평가시간을 자연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일몰 이후로 하였고, 피험자는 20대 여자대학생 20명으로 했다
이론/모형
관찰조건은 KS A 0065에서 정한 관찰조건「시료면에 대해 법선 방향에서 조명하여 45o 방향에서 관찰 한다」로 하고(한국표준협회, 2005), 광원은 직접 보이지 않도록 설정했다.
본 연구는 광원에 따른 색의 이미지 평가이므로, 직물에 대한 색의 지각에 대한 평가는, 인간의 감각을 계측기로 하여 평가하는 방법인 관능 평가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실험 방법으로써 관능평가를 사용하고, 관능평가 수법으로는 순위법을 채택했다(佐藤信, 1978).
이 연구에서 행한 순위법의 검증에는 피험자 상호간의 판정에 있어서 일치의 정도를 나타내는 일치성의 계수(W, coefficient of concordance), (三浦 외, 1970)를 이용하였고, 피험자의 판정이 시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검토했다. 또한 그 판정이 유의한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프리드맨(Fridman) 의 검정식(天坂·長, 2000)에 의해 검정했다.
성능/효과
광원색의 선정은 색온도 2800K(A광원)와 6500K(D65광원)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 표준광에 가까운 광원으로 색의 관측, 측정에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선정했다. 또한 현재 현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광원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증할 필요가 있으므로, 백화점의 설비 담당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의류매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색온도 4200K를 선정했다.
본 연구는 광원에 따른 색의 이미지 평가이므로, 직물에 대한 색의 지각에 대한 평가는, 인간의 감각을 계측기로 하여 평가하는 방법인 관능 평가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실험 방법으로써 관능평가를 사용하고, 관능평가 수법으로는 순위법을 채택했다(佐藤信, 1978).
able 2의 일치성 계수에서 알 수 있듯이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색의 지각에 관한 평가는 색계통, 평가항목에 따라 유의차가 있음을 인정할 수 있는 것과 인정할 수 없는 것이 있었다.
평가 항목별로 살펴보면 모든 색에 있어 유의차가 인정되는 항목은 밝다, 맑다, 좋다, 우아하다, 예쁘다 등이었다. 따라서 이들 항목은 피험자간의 평가에 균일성이 크고 비교적 광원의 색에 대한 직물색의 지각에 뚜렷이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 색별로 purple은 부드럽다, 지저분하다, 흐릿하다의 항목에서는 2800K, 밝다, 선명하다, 뚜렷하다, 화사하다, 좋다, 우아하다, 좋아하다, 세련되다, 예쁘다, 넓다의 항목에서는 4200K, 맑다 에서는 6500K가 각각 평가가 가장 높았다(1위).
이들 순위의 경향을 종합하면, purple은 4200K가, green과, yellow는 6500K가 1위인 항목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직물색에 대한 각 항목별 평가가 광원색에 따라서 다르게 지각됨을 알 수 있다.
단, yellow는 광원 별로 1위인 항목의 수에 차가 작아 뚜렷한 차이가 나는 광원이 없었다. 3색을 통합해서 검토해보면 2800K는 지저분하다, 부드럽다, 흐릿하다, 4200K는 선명하다, 넓다, 좋다, 맑다, 뚜렷하다, 세련되다, 밝다 등의 이미지 평가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3위인 항목이 가장 많은 광원은 2800K였다.
전체적으로 3위인 항목이 가장 많은 광원은 2800K였다. 광원에 따른 색 이미지를 평가한 결과, 2800K 색 온도 광원이 많은 항목의 평가에서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순위 사이의 차의 크기를 광원별로 검토 하면 색온도 4200K와 6500K 사이의 차이보다 4200K와 2800 K 사이의 차이가 크다. 그 결과 색온도 2800K는 색온도 4200K와 6500K에 비하여 평가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을알 수 있다.
1. 항목별로 모든 색에 있어 유의차가 인정되는 항목은 밝다, 맑다, 좋다, 우아하다, 예쁘다 등으로, 이들 항목은 피험자간의 평가에 균일성이 크고, 비교적 광원의 색에 따른 직물색의 변화가 뚜렷하다고 할 수 있다. 직물색별로는 yellow가 유의차가 인정되는 항목이 가장 적었다.
3. 각 항목별 순위간 차의 평균치는 1위와 2위 사이 보다 2위와 3위 사이에서 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많은 항목이 1위와 2위는 광원의 색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고 2위와 3위 간은 차이가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평가 항목에 따라 같은 색이라도 광원에 따라 평가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의도에 상응하는 광원 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색의 지각을 색의 혼색과 대응 하여 고려한다면, yellow와의 혼색은 색별 차를 시각적으로 지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한치, 상한치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1위와 2위의 차이보다 2위와 3위의 차이가 컸으며, 이것은 2위와 3위의 평가에서 피험자간의 평가에 균일성이 작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항목별로 보면 하한치와 상한치 차는 흐릿하다, 지저분하다, 부드럽다, 화사하다 등의 항목에서 큰 차이가 보였다.
또한, 하한치, 상한치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1위와 2위의 차이보다 2위와 3위의 차이가 컸으며, 이것은 2위와 3위의 평가에서 피험자간의 평가에 균일성이 작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항목별로 보면 하한치와 상한치 차는 흐릿하다, 지저분하다, 부드럽다, 화사하다 등의 항목에서 큰 차이가 보였다. 이 항목들은 빛에 관한 항목으로 빛에 관한 이미지는 개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riksen C.W. (1952) Location of objects in a visual display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dimensions on which the objects differ. J. Exp. Psychol, 44, 56-6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