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당호 퇴적물 오염 현황 조사
Survey on the Contaminated Sediments on Lake Paldang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8 no.4, 2006년, pp.49 - 58  

정용준 (환경관리공단 유역관리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팔당호의 총 40개 지점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를 대상으로 토질, 영양염류, 중금속 및 용출시험 (공기주입, 공기무주입) 등을 조사하였다. 퇴적물내 COD, 강열감량, T-N 및 T-P의 농도분포는 입도분포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Sand의 분포율이 높은 지역은 Silt 및 Clay의 분포율이 높은 지역보다 농도분포가 낮았다. 퇴적물내 인의 존재형태별 농도분포는 Adsorbed-P가 $7{\sim}58{\mu}g/g$, NAI-P가 $13{\sim}411{\mu}g/g$, Apatite-P가 $52{\sim}482{\mu}g/g$, Residual-P가 $75{\sim}894{\mu}g/g$으로 조사되었다.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분포는 Cd $N.D.{\sim}0.44{\mu}g/g$, Cr $0.2{\sim}4.2{\mu}g/g$, Cu $1.6{\sim}20.7{\mu}g/g$, Hg 1.4~78.0ng/g, Pb $2.1{\sim}18.9{\mu}g/g$, Zn $1.8{\sim}99.5{\mu}g/g$로 검출되었으나, 용출시험 결과로 미루어보면 용 출 등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5개 지점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공기주입 및 공기미 주입에 의한 용출 실험에서 중금속과 영양염류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tent and degree of contaminated sediments on lake Paldang were analyzed at 40 sites for organic matters, nutrients and heavy metals. COD, T-N and T-P were fairly correlated with the grain size of sediments, and the sites which were most distributed with sand were less contaminated with the 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9년도에 수행한 팔당호 및 경안천 일대 40개 지점의 토질 특성, 퇴적물의 오염도 및 용출 특성 등의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장래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한 계획수립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이 오염되면 피해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팔당호는 1973년도에 발전용 댐으로 완공된 하천형 인공호수였으나, 1979년부터 상수원수로 사용함에 따라 수질에 대한 수도권 시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활문화의 향상과 산업의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오염물질의 유입 요인이 증가하게 되어 수질악화의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일단 수자원이 오염되면 피해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유입 오염물질들이 최종 적으로 입자상태의 물질로 변화하거나, 퇴적물의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물리 화학적 조건변화에 수반하여 상부 수층으로 장기간에 걸쳐 재이동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 팔당호 퇴적물의 오염도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상층에서 0.8~9.8 φ, 중층에서 0.6~7.1φ, 하층에서 0.6~ 7.8φ로 나타났으며, Silt성분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퇴적물내 COD, 강열감량, T-N 및 T-P 의 농도분포는 입도분포와 밀접한 상관관 계를 가지기 때문에 Sand의 분포율이 높은 남 북한강 합류부와 소내섬 위 팔당본 류, 광동교 상류는 Silt 및 Clay의 분포율이 높은 소내섬부근과 광동교에서 선착장에 이르는 구간의 농도 분포 보다 낮았다. 3) 광동교~선착장~소내섬아래에 이르는 구간은 영양염류 등의 오염도가 높아 수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퇴적오염물질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4) 퇴적물내 인의 존재형태별 농도분포는 Adsorbed-P 7~58㎍/g, NAI-P 13~ 411㎍/g, Apatite-P 52~482㎍/g 및 Residual-P 75~894㎍/g으로 조사되었 다. 5)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분포는 Cd N.D.~0.44㎍/g, Cr 0.2~4.2㎍/g, Cu 1.6~20.7㎍/g, Hg 1.4~78.0ng/g, Pb 2.1~18.9㎍/g 및 Zn 1.8~99.5㎍/g로 검출되었으나, 용출시험 결과로 미루어보면 용출 등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6) 5개 지점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공기주입및 공기미주입에 의한 용출 실험에서 중금 속과 영양염류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염물질의 용출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향후 다각적인 방향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에 따른 연구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팔당호란? 팔당호는 1973년도에 발전용 댐으로 완공된 하천형 인공호수였으나, 1979년부터 상수원수로 사용함에 따라 수질에 대한 수도권 시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활문화의 향상과 산업의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오염물질의 유입 요인이 증가하게 되어 수질악화의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일단 수자원이 오염되면 피해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유입 오염물질들이 최종 적으로 입자상태의 물질로 변화하거나, 퇴적물의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물리 화학적 조건변화에 수반하여 상부 수층으로 장기간에 걸쳐 재이동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