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의 해면지형 계산에 의한 지형류의 흐름 추정
Estimation of Geostrophic Current Calculated from Sea Surface Topography in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4 no.2, 2006년, pp.159 - 165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동하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위성고도계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평균해면모델인 CLS_SHOM과 지구중력장 모델인 EGM96으로부터 평균해면고와 지오이드고를 계산하여 해면지형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형류의 흐름을 추정하였다 지형류의 추정을 통하여 해양의 물리학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류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동해에서의 지형류 흐름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동해지역에 대한 해면지형의 평균은 약 37cm로 계산되었고, 지형류 속도는 평균 -0.028m/sec로 계산되었다. 지형류의 흐름은 태평양 해수가 대한해협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한 후에 일본열도의 외측단을 따라서 동북동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속도로 흐르다가 좁은 Tsugaru 해협과 Soya 해협을 통하여 유출되며, 한반도의 동해안을 따라서 북쪽으로 흐르다가 Soya해협과 북동북으로 향하여 Okhotsk해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of geostrophic current using the sea surface topography calculated from the geoidal height from EGM96 geopotential model and the mean sea surface height from CLS_SHOM mean sea surface model. The CLS_SHOM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altimetry data set. The es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평균해면모델들 중에서 CLS_SHOM 모델을 사용하여 평균해면고를 계산하고, EGM96 모델로부터 지오이드고를 계산하여 해면지형을 계산하고자 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지형류(geographical current)의 흐름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 이 모델의 개발목적은 T/P, ERS-I 및 Geosat 위성들의 궤도운동을 반복적으로 추적하여 고정밀도의 SSH 를 제공하는 것이며, 통일된 기준면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CLS_SHOM 모델은 1993년부터 1995년까지의 위성 고도계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전 지구 해양의 평균해면 모델로서 모델 개발에 사용된 데이터들은 T/P, Geosat 및 ERS-I의 개선된 고도계 데이터들이다.

가설 설정

  • 지형류의 균형은 코리올리힘이 수평압력 경사와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형류의 흐름이 가속도가 없다고 가정 (쁳= 쯔= 零= °)하고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지형류의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수평속도가 연직 속도보다 크고(u> <<u, v), 마찰력이 매우 작으며, 외력은 중력뿐이라는 가정 하에서 지형류의 방정식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zenhofer, M., Gruber T. and Rentsch M. (1996), Global High Resolution Mean Sea Surface Based on ERS-135 and 168 Day Cycles and TOPEX Data, In: Rapp, Cazenave, Nerem(ed.), Global Gravity Field and Its Temporal Variations, lAG Symp. 166, Springer Berlin 

  2. Bilitza, D. (1990),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1990, Report 90-22,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Greenbelt, Maryland, USA 

  3. Boomkamp, H. J. and Moore, P. (1997), A gravity field solution based on unified ERS-1 and TOPEX/Poseidon altimetry, 3rd ERS Symposium on Space at the service of our Environment, Florence, Italy, 14-21 March, pp. 1567 

  4. Dobslaw, H., Schwintzer, P., Barthelmes, F., Flechtner, F., Reigber, C., Schmidt, R., Schoene, T. and Wiehl, M. (2004), Geostrophic Ocean Surface Velocities from TOPEX Altimetry, and CHAMP and GRACE Satellite Gravity Models, Scientific Technical Report, ISSN 1610-0956, GeoForschungsZentrum Potsdam(GFZ) 

  5. Hernandez, F. and Schaeffer, P. (2000), Altimetric Mean Sea Surfaces and Gravity Anomaly maps Inter-Comparisons, Technical report, AVI-NT-011-5242-CLS, AVISO, France 

  6. Lemoine, F. G., Smith, D. E., Smith, R., Kunz, L., Pavlis, E. C, Pavlis, N. K., Klosko, S. M., Chinn, D. S., Torrence, M. H., Williamson, R. G., Cox, C. M., Rachlin, K. E., Wang, Y. M., Kenyon, S. C, Salman, R., Trimmer, R., Rapp, R. H. and Nerem, R. S. (1997), The development of the NASA GSFC and NIMA Joint Geopotential Model, Gravity, Geoid and Marine Geodesy, IAG Sympo. No. 117, Springer-Verlag, pp. 461-469 

  7. Park, J. H. and Watts, D. R. (2006), Internal tides in the southwestem Japan/East Sea,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Vol. 36, No. 1, pp. 22-34 

  8. Pavlis N. K. (2000), On the modeling of long wavelength systematic errors in surface gravimetric data, in: K. P. Schwarz (Ed.) Proceedings of IAG Symposium 121, Geodesy Beyond 2000: The Challenges of the First Decade, Springer, Berlin, pp. 131-136 

  9. Pond, S. and Pickard G. L. (1983), Introductory dynamical oceanography, 2nd edn. Pergamon Press, New York 

  10. Tapley, B. D. (1982) The Seasat Altimeter Data and its Accuracy Assess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87, No. C5, pp. 3179-3188 

  11. Verges, G. S. (2002) Sea Surface Topograp,hy, Bathymetry and Marine Gravity Field Modelling, UCGE Report No. 20157, Department of Geomatics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gary, Canada 

  12. Wellenhof, B. H. and Moritz, H. (2005), Physical Geodesy, Springer Wien,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