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에 일면 노출된 콘크리트부재의 손상깊이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teriorated Concrete Member Exposed One Side at High Temperatur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18 no.3, 2006년, pp.431 - 438  

이중원 (안산공과대학) ,  최광호 (남서울대학교) ,  홍갑표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 피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존 손상도 평가 방법은 명확한 손상 깊이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가 어렵고, 특히 코아 압축강도 테스트는 콘크리트 깊이별로 수열온도 따라 손상도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손상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구조체 압축강도 저하의 대표 값으로 사용하게 되어 손상 깊이의 판단이 어려운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피해를 입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나 벽체 부재의 손상 깊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공시체를 대상으로 전기로에서 일면 가열한 후, 2cm 두께로 절편화시켜 색조분석, 흡수율 및 할렬인장강도실험에 의한 압축강도를 분석함으로써 공시체 깊이별 손상 깊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실험기법을 제안하고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특성변화를 고찰함으로써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손상도 평가기법은 가열조건 및 강도별로 공시체 깊이에 따른 잔존강도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화재를 경험한 슬래브나 벽체의 보수보강 범위를 선정하는 판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termination of the depth of deteriorated concrete is one of the main problems in the structural assessment of concrete structures that have been subjected to a fire. This inform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order to optimize the future operations of repair/strengthening, or in decision-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해 슬래브나 벽체와 같이 고온에 일면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손상 깊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색조분석, 흡수율과 할렬 인장강도시험에 의해 압축강도 잔존률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특성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정량적인 손상도 평가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일면가열 공시체를 대상으로 색조분석, 공시체 깊이 별 흡수율 분석 및 할렬 인장강도법에 의한 압축강도 잔존율을 추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오창희, 강병희, '고온수열콘크리트의 성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I)'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권 6호, 1987. 12, pp.163- 171 

  2. 김흥열, 이세현, 서치호, '고온 가열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 권11호, 2002. 11, pp.77-84 

  3. 송훈, 문경주, 소양섭, '고온하의 시멘트 경화체의 물리적 특성 및 공극구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1호, 2004.01, pp.107-114 

  4. 한국콘크리트학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특성', 콘크리트특집도서, KCI SP4, 2005. 03, pp.13-14 

  5. G. A. Khour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a reassessment', Mag. of concrete research, 1992, 44, No.161, Dec. pp.291-309 

  6. J. R. dos Santos, F. A. Branco and J. de Brito, 'Assessment of concrete structures subjected to fire', Mag. of concrete research, 2002, 54, No.3, June, pp.203-208 

  7. Y. Ichikawa, G. L .England, 'Prediction of moisture migration and pore pressure build-up in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004. 06, pp. 245-259 

  8. Nabi Yuzer, Fevziye Akoz, Leyla Dokuzer Ozturk, 'Compressive strength-color change relation in mortars at high tempera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04, pp.1-5 

  9. ACI 216R-89, 'Guide for Determining the Fire Endurance of Concrete Elements', 2001, pp.15-20 

  10. BS1, 'Section four. Fire resistance', BS8110 part2, 1989, pp.1-11 

  11. R. Park and T. Paulay,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ohn wiley & Sons, 1975, pp.15-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