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감응성 수화젤을 이용한 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Using Thermo-Sensitive Hydrogel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3, 2006년, pp.196 - 201  

김선경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현훈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김순희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윤선중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  이종문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강길선 (전북대학교 BK21 고분자 BIN 융합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기본으로 하는 다이블록 및 트리블록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들은 비독성과 생체적합성 그리고 생분해성 특징 때문에 조직공학 분야 및 주사제형의 약물전달체에서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솔-젤 전이 현상을 갖는 고분자를 평균분자량 750 g/mole의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과 카프로락톤을 실온에서 HCl $Et_2O$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in vivo상에서 골수간엽줄기세포와 골유도물질인 덱사메타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골분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조직을 파라핀으로 고정시켜 슬라이드를 제조한 후 hematoxylin & eosin, 본쿠사 및 오스테오칼신 염색을 통하여 골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덱사메타손이 함유된 젤이 골형성에 도움을 주지만 젤만으로는 강한 골형성을 유도할 수 없으므로 줄기세포나 다른 골형성 유도재료를 사용하면 우수하게 골형성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 (ethylene glycol)-based diblock and triblock thermo- sensitive polyester copolymers were investigated for application on tissue engineering and injectable biomaterials in drug delivery system due to their nontoxicity,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We synthesized the diblock copolym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서 덱사메타손은 BMSCs의골분화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생리활성물질이다.3"4°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in vivo 상에서 골수 간엽 줄기세포와 골 유도물질인 덱사메타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골분 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MPEG-PCL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새로운 솔-젤 상전이 거동을 보이는 온도 감응성 재료를 합성하였으며 NMR을 통해분자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합성된 공중합체에 BMSCs를 파종시키고 덱사메타손을 투여하여 골조직 공학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저분자량 MPEG(Mn=750 g/mole)를 개시 제로 하여 lCL의 개환 중합을 통해 수용액 상에서 새로운 솔-젤-솔 상전이 거동을 보이는다이블럭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이를 수용 액상에서 3 ~20 wt% 로 용해시켜 실온에서 솔 상태를 유지하고, 31-53 ℃의 범위에서 젤을 형성하며, 53 ℃ 이상에서는 다시 솔 상태의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G. Khang and H. B. Lee, in Methods of Tissue Engineering, A. Atala, and R. Lanza, Editors, Academic Press, p.771 (2001) 

  2. G. Khang, I. W. Lee, J. M. Rhee, and H. B. Lee, Polymer Sci. Tech., 12, 239 (2001) 

  3. G. Khang, S. J. Lee, C. W. Han, J. M. Rhee, and H. B. Le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M. Elcin, Editor, Kluwer-Plenum Press, London, Vol. 657, p.235 (2003) 

  4. G. Khang, S. J. Lee, I. W. Lee, and H. B. Lee, Polymer Sci Tech., 13, 4 (2002) 

  5. G. Khang, M. S. Kim, S. H. Cho, I. W. Lee, J. M Rh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9 (2004) 

  6. G. Khang, M. S. Kim, and H. B. Lee, Chem. World, 45, 24 (2005) 

  7. G. Khang, S. K. Kim, K. D. Hong, W. Y. Jang, M. S. Kim, C. W. Han, I. W. Lee,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1, 136 (2004) 

  8. H. S. Kim, J. W. Lee, J. M. Lee, C. W. Han, J. H. Sung, M. Y. Park, G. Khang, and H. B. Lee, J. Korea Soc. Endocrinology, 17, 206 (2002) 

  9. G. Khang, E. J. Kim, S. H. Kim, K. S. Park, C. W. Han, Y. S. Yang, M. S. Kim,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20 (2005) 

  10. S. J. Lee, D. H. Lee, G. Khang, Y. M. Lee, and H. B. Lee, Macromol. Chem. Symp., 15, 201 (2002) 

  11. J. W. Jang, B. Lee, C. W. Han, I. W. Lee, H. B. Lee, and G. Khang, Poiymer(Korea), 27, 226 (2003) 

  12. S. J. Lee, I. W. Lee, Y. M. Lee, H. B. Lee, and G. Khang, J. Biomater. Sci, Polym. Ed., 15, 1003 (2004) 

  13. J. W. Jang, B. Lee, C. W. Han,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382 (2004) 

  14. J. W. Jang, K. S. Park, S. H. Kim, C. S. Park, M. S. Kim, C. W. Han, J. M. Rhee, G. Khang, and H. B. Lee, Tissue Eng. Regen. Med., 2, 34 (2005) 

  15. K. S. Seo,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211 (2004) 

  16. K. S. Seo, S. K. Chon,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232 (2004) 

  17. M. S. Kim, K. S. Seo, G. Khang, S. H. Cho, and H. B. Lee, J. Biomed. Mater. Res., 70A, 154 (2004) 

  18. K. S. Seo, M. S. Kim, K. J.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328 (2004) 

  19. K. S. Seo, C. S. Park, M. S. Kim, S. H. Ch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28, 344 (2004) 

  20. M. S. Kim, K. S. Seo, S. Y. Jeong, G. Khang, S. H. Cho, and H. B. Lee, Polymer Preprints, 45, 1054 (2004) 

  21. M. S. Kim, K. S. Seo, G. Khang, S. H. Cho, and H. B. Lee, J. Polym. Sci.; Part A: Chem. Ed., 42, 5784 (2004) 

  22. K. S. Seo, M. S. Kim, G. Khang, S. H. Cho, and H. B. Lee, Polymer Preprints, 46, 820 (2005) 

  23. M. S. Kim, K. S. Seo, G. Khang, and H. B. Lee, Macromol. Rapid Commun., 26, 643 (2005) 

  24. M. S. Kim, H. S. Seong, S. H. Cho, H. B. Lee, K. S. Chae, J. S. Lee, and G. Khang, Bio-Med. Mater. Eng., 15, 229 (2005) 

  25. Y. H. Bae, T. Okano, R. Hsu, and S. W. Kim, Makromol. Chem. Rapid Common., 8, 481 (1994) 

  26. H. Feil, Y. H. Bae, J. Feijen. and S. W. Kim, Macromolecules, 25, 5440 (1992) 

  27. R. Yoshida, K. Uchida, Y. Kaneko, K. Sakai, A. Kikuchi, Y. Sakurai, and T. Okano, Nature, 372, 240 (1995) 

  28. C. S. Brazel and N. A. Peppas, Macromolecules, 28, 8016 (1995) 

  29. S. R. Park, B. H. Min, S. H. Park, and H. J. Lee, Tissue Eng. Regen. Med, 2, 77 (2005) 

  30. G. H. Chen and A. S. Hoffman, Nature, 373, 49 (1995) 

  31. J. L. Thomas, H. You, and D. Tirrell, J. Am. Chem. Soc., 117, 2949 (1995) 

  32. J. Yang, S. Pickard, N. J. Deng, R. J. Barlow, D. Attwood, and C. Booth, Macromolecules, 24, 670 (1994) 

  33. B. Jeong, Y. H. Bae, D. S. Lee, and S. W. Kim, Nature, 388, 860 (1997) 

  34. R. Bhardwaj and J. Blanchard, J. Pharm. Sci., 85, 915 (1996) 

  35. Y. J. Kim, S. Choi, J. J. Koh, M. Lee, K. S. Ko, and S. W. Kim, Pharm. Res., 18, 548 (2001) 

  36. B. Jeong, Y. H. Bae, and S. W. Kim. J. Biomed Mater. Res., 50, 171 (2000) 

  37. F. Berglund, Acta Physiol. Scand, 73, 20 (1968) 

  38. J. S. Temenoff, E. S. Steinbis, and A. G. Mikos, Orthopaedic Tissue Engineering: Basic Science and Practice, New York, Marcel Dekker, p.77 (2004) 

  39. C. G. Bellow and J. N. M. Heersch, Dev. Biol., 140, 132 (1990) 

  40. D. Benayahu, A. Fred, D. Zipori, and S. Wientroub, Calcif Tissue Int., 49, 202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