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Comparison of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and analysis of lateral facial photograph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6 no.1 = no.114, 2006년, pp.74 - 83  

임성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조주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최갑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김광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래 전부터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골격 및 치열 관계와 안모를 분석하기 위한 필수적인 진단 자료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심미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좀 더 정량화된 연조직 분석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좀 더 사실적인 연조직 측모를 얻기 위해서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는 측모 사진이 더 유용할 것이다. 아직까지 측모 사진을 계측, 분석하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측모 사진의 계측 분석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연조직과 경조직 분석이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 그 대체 가능성을 시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치인 ANB를 기준으로 I급 부정교합$(0^{\circ}{\sim}4^{\circ})$ 32명, II급 부정교합$(4^{\circ}{\leq})$ 32명, III급 부정교합$(-5^{\circ}{\sim}0^{\circ})$ 31명을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측모 사진을 각각 촬영하여 수평적, 수직적 계측 항목을 설정한 후 각 계측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 변수 Z를 이용한 t-test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에서 세 그룹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치들이 측모 사진에서도 유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측모 사진의 Su-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상, 하악골의 전후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ANB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측모 사진의 N'-Sn/S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NA/APg (facial convexity)을, 그리고 측모 사진의 N'-Tra-Me'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FH-MP (mandibular plane)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cephalogram) has been used routinely to evaluate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hips, but analysis of the lateral facial photograph has not been used frequently for evaluation of skeletal relationships. As concerns about harm of X-ray irradiation increases...

주제어

참고문헌 (36)

  1. Angle EH. Treatment of malocclusion of the teeth, 7th edition. Philadelphia: SS White Co.; 1907 

  2. Sarver DM, Graber TM, Vanarsdall RL Jr. Orthodontics, Current principles and techniques. St Louis: Mosby; 2000. p. 3-109 

  3. Broadbent BH. A new X -ra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a. Angle Orthod 1931;1:45-6 

  4. Merrifield LL. The profile line as an aid in critically evaluating facial esthetics. Am J Orthod 1966;52:804-22 

  5. Peck H, Peck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70;40:284-318 

  6. Burstone CJ, Integumental profile. Am J Orthod 1958;44:1-25 

  7. Ricketts RM. A foundation for cephalometric communication. Am J Orthod 1960;46:330-57 

  8. Holdaway RA. Changes in relationship of point A and B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m J Orthod 1952;42:176-93 

  9. Stoner MM. A photometric analysis of the facial profile. A method of assessing facial change induced by orthodontic treatment. Am J Orthod 1955;4:453-69 

  10. Farkas LG. Anthropometry of the head and face in medicine. New York: Elsevier North Holland Inc.; 1981 

  11. Powell N, Humphreys B. Proportions of the aesthetic face. In: Smith JD editor. New York: Thieme-Stratten Inc.: 1984. p. 72 

  12. Moorrees CA. New norms for the mesh diagram analysis. Am J Orthod 1976;69:57-71 

  13. Epker BN. Adjunctive esthetic surgery in the orthognathic surgery patient. In: McNamara JA, Carlson OS, Ferrara A editors. Esthetics and the treatment of facial form monograph No 28. Craniofacial Growth Series, Center for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1992. p. 187-216 

  14. Arnett GW, Bergman RT. Facial keys to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Part I.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3:299-312 

  15. Arnett GW, Bergman RT. Facial keys to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Part II.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3:395-411 

  16. Ackerman JL, Proffit WR, Sarver DM. The emerging soft tissue paradigm in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Clin Orthod Res 1999:2:49-52 

  17. Gottlieb EL, Brazones MM, Malerman AJ, Moskowitz EM, Phipps GS, Sarver DM. Early orthodontic treatment, part 1. J Clin Orthod 2004;38:79-90 

  18. Riedel RA. The relation of maxillary structures to cranium in malocclusion and in normal occlusion. Angle Orthod 1952:1:45-66 

  19. Subtelny JD. A longitudinal study of soft tissue facial structures and their profile characteristics defined in relation to underlying skeletal structures. Am J Orthod 1957;45:481-507 

  20. Burstone CJ, Lip pos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reatment planning. Am J Orthod 1967:53:262-84 

  21. Hitchcock HP. A cephalometric description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m J Orthod 1973:63:414-23 

  22. 모덕진, 정규림. Angle II급 1류 부정교합의 안면두개골의 골격특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8;18:141-54 

  23. McNamara JA Jr. Components of Class II malocclusion in children 8-10 years of age. Angle Orthod 1981;51:177-202 

  24. Henry RG. A classification of th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ngle Orthod 1957:27:83-92 

  25. Renfroe EW. A study of the facial patterns associated with Class I, Class II, division 1, and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Angle Orthod 1948;18:12-5 

  26. Drelich RC. A cephalometric study of untreated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Angle Orthod 1948;18:70-5 

  27. Altemus LA. Horizontal and vertical dentofacial relationships in normal and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in girls 11-15 years. Angle Orthod 1955;25:120-37 

  28. Maj G, Luzic C, Lucchese P. A cephalometric appraisal of CI II and CI III malocclusion. Angle Orthod 1960;30:26-34 

  29. Jarabak F. Technique and treatment with light-wire edgewise appliance. St Louis: C.V. Mosby; 1972 

  30. 김선해, 서정훈.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법에 의한 혼합치열기 아동의 연조직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5:15:229-37 

  31. 이동근, 서정훈. 성인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구조 및 치열궁 형태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7:27:359-72 

  32. 김경호, 최광철, 윤희선. 한국 성인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의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2002;32:241-55 

  33. Downs WB. Variations in facial relationships; their significance in treatment and prognosis. Am J Orthod 1948;34:812-40 

  34. 오천석, 유영규. 한국인 악안면 연조직에 관한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82;12:79-91 

  35. 이정화, 남동석. 성인 정상 교합자의 연조직 비율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4;24:405-18 

  36. Femandez-Riveiro P, Smyth-Chamosa E, Suarez-Quintanilla D, Suarez-Cunqueiro M, Paula FR, Ernesto SC. Angular photogrammetric analysis of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Eur J Orthod 2003;25:39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