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잔적 및 붕적모재 토양의 점토광물 특성구명
Clay Mineral Composition of the Soils Derived from Residuum and Colluvium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9 no.5, 2006년, pp.245 - 252  

장용선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손연규 (농업과학기술원) ,  정석재 (농업과학기술원) ,  이계준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김명숙 (농업과학기술원) ,  김선관 (농업과학기술원) ,  이주영 (농업과학기술원) ,  편인환 (서산시농업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토양의 분류체계를 보완하고 점토광물 조성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390개 토양통 중 잔적 및 붕적토에서 유래된 26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토양 층위별료 시료를 채취하여 집적층을(B층)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토양 중 점토의 광물조성과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잔적 및 붕적모재별로는 화강암과 화강편마암, 회장암에서 유래된 토양에서 kaolin과 quartz, 유문암, 3기층, 석영반암, 응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에서 quartz과 kaolin, 석회암, 혈암, 사암, 역암 등 퇴적암에서 유래된 토양에서 illite와 chlorite가 주요한 점토광물이었다. 토양통별 점토광물조성을 군집분석 (CA, 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1) illite, kaolin, vemiculite를 주광물로 하는 혼합점토광물군 (MIX), (2) kaolin을 주광물로 illite가 많은 kaolin군 (KA), (3) chlorite와 illite가 주광물인 chlorite군 (CH), (4) kaolin과 illite를 주광물로 smectite가 함유된 smectite군 (SM) 등 4개의 점토광물 조성군으로 구분하였다. 우리나라 토양의 대부분은 kaolin을 주광물로 하는 토양과 illite, kaolin, vemiculite가 함유된 토양이었으며, illite와 kaolin을 주광물로 하는 토양에서 CEC가 낮았고 vemiculite와 smectite가 함유된 점토에서 규반비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of clay mineral and to replenish the soil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Soil lay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6 residuum and colluvium soil series out of 390 soil series in Korea, and then analyzed for soil physical a...

주제어

참고문헌 (23)

  1. Birkeland, P.W. 1994. Variation in soil-catena characteristics of moraines with time and climate, South Island, New Zealand. Quaternary Res. 42:49-59 

  2.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recent deep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 Soc. Am. Bull. 76:803-831 

  3. Bohor, B.R., and R.E. Hughes. 1971.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clays and clay minerals. Clays clay Miner. 19:49-54 

  4. Borchardt, G.A. 1977. Montmorillonite and other smectite minerals. P293-330. In J.B Dixon, and S.B. Weed(ed). minerals in soil environments. Soil Sci. Am. Madison, WI 

  5. Chesworth, W. 1973. The parent material effect and the genesis of soils. Geoderma 10:215-225 

  6. Choi, D.K., G.L. Jeong, and S.Y. Choi. 1999. Middle cambrian trilobites from the Sambangsan formation in Yongwol area, Korea. J. Paeont. Soc. Korea. 15(2):134-144 

  7. Chung, F.H. 1974.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mixtures. I. Matrix flushing method for quantitative multi-component analysis. J. Appl. Crystallog. 7:519-525 

  8. Dewan, HC., K.H. Kim, and Y.S. Lee. 1968. 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wo Low-Humic Gley Soils of Korea. J. Korean Soc. Soil Sci. Fert., 1:129-136 

  9. Grim, R.E. 1968. Clay mineralogy. Mcgraw-Hill Book Company. Inc 

  10. Heath, G.R., and N.G. Pisias. 1979. A method for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clay minerals in North Pacific deep sea sediments. Clays Clay Miner. 27:175-184 

  11. Kang, Y.P. 2001. The characteristic of red soil and karst landforms in South Korea. Geomorphological Union. 22(3):381-389. (in Japanese) 

  12. Kim, K.H. 1990. Paleomagnetism and northward drift of South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1(1):67-73 

  13. Marsan. F.A., D. C. Bain, and D. M. L. Duthie. 1988. Parent material uniformity and degree of weathering in a soil chronosequence. northwestern Italy. Catena 15:507-517 

  14. 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s 

  15. Ottner, F., S. Gier., M. Kuderna, and B. Schwaighofer. 2000. Results of 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methods for quantitative clay analysis. Applied Clay Science 17:223-243 

  16. Park, C.S., K.Y. Jung, J.J. Kim, and S.J. Cho. 1984. Relative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to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andy soils. J. Korean Soc. Soil Sci. Fert. 17(4):337-342 

  17. Rebertus, R.A., and S.W. Buol. 1985. Iron distribution in a developmental sequence of soils from mica genesis and schist. Soil Sci. Soc. Am. J. 49:713-720 

  18. Shin, J.S., and R. Tavernier. 1988. Composition and genesis of volcanic ash soils in Jeju Island. II. Mineralogy of sand, silt and clay fractions. Mineral Society of America 1(1):40-47 

  19. Smith, D.K. 1989. Computer analysis of diffraction data. Ch. 7 : in Modern Powder Diffraction, D.L. Bish and J.E. Post, eds., Reviews in Mineralogy 20,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369 pp 

  20. Song, K.C., and S.H. Yoo. 1994.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II.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J. Korean Soc. Soil Sci. Fert. 27(3):149-157 

  21. Templin, E.H., I.L. Martin, and R.S. Dyal. 1951. Red-yellow podzolic soil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I & II. Agronomy J. 43:476-487 

  22. Wilke, B.M., V.K. Mishra, and K.E. Rehfuess. 1984. Clay mineralogy of a soil sequence in slope deposits derived from Hauptdolomit (dolomite) in the Bavarian Alps. Geoderma 32:103-116 

  23. Zhang, Y.S., Y.H. Kim, K.C. Song, and S.K. Kim. 2002.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ro and Miag series soils developed on the cinder cones in Jeju Island. J. Korean Soc. Soil Sci. Fert. 35(3):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