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4 no.1 = no.36, 2006년, pp.29 - 41  

조홍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통계자료는 비록 공간상 모든 위치에 그 값이 존재하나, 실제 우리는 모든 지점에서 공간자료를 수집하지 못한다. 따라서 몇 개의 대표 지점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미관측 지역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공간보간 기법이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강우자료에 대해 공간보간을 실시하고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총 373 개의 강우관측소의 2004 년도 연 총강우량에 대해 공간보간을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이론적 베리오그램으로 가우시안 함수를 사용한 일반 크리깅이 가장 높은 정확성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보간기법에 비해 크리깅 기법은 비교적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결과에 있어서는 예측값의 분포 범위가 좁은 일반화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향면 분석(local trend surface analysis), IDW, RBF의 경우 강우자료에 대한 예측값의 범위가 크리깅에 비해 매우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으로는 인접한 지역의 예측값이 크리깅에 비해 급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statistical data are obtained only at selected sites even though they are potentially available at any location In a continuous su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unknown values at unsampled locations based on observation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5 spatial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산술 평균법은 유역 내의 강우관측소의 정보를 단순히 산술평균하는 방법으로 대상유역및 호우의 물리적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아 타 기법에 비해 강우를 과소 또는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티센 기법의 경우 관측소의 지배면적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등우선법은 일반적으로 유역경계선상에서 등우선이 걸치는 경우 경계 처리가 임의적일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최용규, 2001). 따라서 미관측 지점의 강우량을 계산하기 위해 합리적인 방법이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공간분석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간보간 기법을 평가하였다.
  • 그러나 지금까지 환경 분야에서 적용된 공간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는 공간보간에 사용될 기법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에 기초하지 않고 단순히 공간보간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기본 설정을 이용하여 미관측지점의 값을 예측하는 미흡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보간 기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공간데이터에 대한 적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구체적인 공간데이터로는 강우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몇 개의 대표 지점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미관측 지역까지 확장한 후 사용 하게 되는데, 이때 공간보간 기법이 이용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는 강우자료에 대해 공간보간을 실시하고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총 373개의 강우관측소의 2004 년도 연강우량에 대해 공간보간을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이론적 베리오그램으로 가우시안 함수를 사용한 일반 크리깅이 가장 높은 정확성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설정

  • 단순 크리깅은 공간적 확률과정이 2차 정상성(stationarity)을 만족하며, 평균값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2차 정상성은 평균이 위치에 무관하게 상수로 일정하다는 것과 공분산이 자료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단지 주어진 자료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함수임을 의미한다.
  • 정규 크리깅은 모집단의 평균을 사전에알 수 없지만, 그 값은 고정되어 있다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순 크리깅은 추정식이 편향되어 있어 추정식의 평균이 모집 단의 평균과 일치하는 않는 문제점이 있다(최종근, 200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