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청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심성암 복합체의 하나로 산출되는 섬장암체에 대한 Rb-Sr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11{\pm}23(2\sigma)$ Ma의 연대와 $0.70598{\pm}0.00060$$^{87}Sr/^{86}Sr$ 초기치를 구했다. 이러한 연대는 산청 섬장암이 중생대의 삼첩기-쥬라기 경계시기 부근에 형성된 암체임을 확인한다. 또한 낮은 $^{87}Sr/^{86}Sr$ 초기치는 산청 섬장암의 생성과정에 오래된 지각물질의 영향이 적었음을 의미한다. 산청-마천 지역과 바로 인접한 북측의 함양-거창 지역에서 산출되는 동시기의 심성암체들 암상은 각각 섬장암-석록암-반려암과 화강암-화강섬록암으로 대조적이다. 또한 $^{87}Sr/^{86}Sr$ 초기치 역시 대조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차이는 국지적인 지구조적 환경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r isotopic compositions are determined from the syenite of Sancheong area, yielding age of $211{\pm}23(2\sigma)$ Ma and $^{87}Sr/^{86}Sr$ initial ratio of $0.70598{\pm}0.00060$. Such result confirms that Sancheong syenite was emplaced during the Mesozoic arou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산청-마천 지역의 섬장암-섬록암-반려암 복합체 중에서 산청지역 에 분포하는 섬장암을 대상으로 Rb-Sr 연대측정을 수 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 암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대자 료를 제시하고, Sr 동위원소 초기치를 남한의 다른 화 성암들과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암체의 기원물질 등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상원, 김용준, 1995, 경남 함양-산청지역에 분포하는 심성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 28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100 

  2. 강상원, 유병욱, 유철, 김용준, 1994, 경남 함양-마천 지역 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 지구과학회지, 15, 100-114 

  3. 고보균, 박영록, 2004, 경상남도 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관입암의 암석지구화학. 대한지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85 

  4. 김근수, 김종렬, 정규귀, 황진연, 이준동, 1995, 경상북도 경주-감포 일원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Rb-Sr연대. 지구과학회지, 16, 272-279 

  5.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윤선, 1964a, 한국 지질도(1:50,000) 산청도폭 및 설명서, 경상남도, 25 p 

  6. 김옥준, 홍만섭, 윤석규,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이하영, 윤 선, 1964b, 한국지질도(1:50,000) 운봉도폭 및 설명서, 경 상남도 

  7. 김용준, 이창신, 강상원, 1991,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지화학. 지구과학회지, 12, 100-122 

  8. 김정환, 정창식, 손영철, 고희재, 1997, 평창지역의 지질과 선캠브리아 화강암질암의 스트론튬, 니오디미움 및 납 동 위원소 조성. 지질학회지, 33, 27-35 

  9. 김희남, 신인현, 안건상, 박운선, 이창신, 1997, 강진-장흥지 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및 Sr.Nd 동위원소 조성. 지구과학회지, 18, 433-442 

  10. 박계헌, 김동연, 송용선, 2001, 지리산 지역 차노카이트와 함티탄철석 회장암질암의 Sm-Nd 광물연대 및 성인적 관계. 암석학회지, 10, 27-35 

  11. 박계헌, 송용선, 박맹언, 이승구, 류호정, 2000, 동북아시아 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 연대학적 연구: 1. 지리산 지역 변성암의 변성연대. 암석학회지, 9, 29-39 

  12. 박계헌, 이호선, 정창식, 2005, 영남육괴 중부 김천, 성주 및 안의지역 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4, 1-11 

  13. 박계헌, 이호선, 송용선, 정창식, 2006, 영남육괴 함양, 거창 및 영주 화강암-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5, 39-48 

  14. 박영석, 김용준, 권성택, 박재봉, 1993, 거창-고령지역산 화 성암류에 대한 Rb-Sr 동위원소 연구. 지구과학회지, 14, 32-43 

  15. 송용선, 1999, 소백산육괴 서남부 지리산지역의 반상변정질 편마암에서 산출되는 백립암질 포획암. 암석학회지, 8, 34-45 

  16. 송용선, 김동연, 박계헌, 정창식, 김남훈, 2004, 마천 반려 암질 층상관입암.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 발표회 논문집, 36-38 

  17. 신인현, 加加美 寬雄, 1996, 해남-완도지역 Granophyre의 Rb-Sr 등시선 연대와 Sr, Nd 동위원소 조성. 자원환경지질, 29, 151-158 

  18. 신인현, 박천영, 정연중, 2001, 전주지역 엽리상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Sr.Nd 동위원소 조성. 지구과학회지, 22, 1-9 

  19. 윤성효, 1998, 유천화산암 분포지 북부 백악기 채약산화산 암의 암석화학 및 스트론튬 동위원소비 조성. 지질학회지, 34, 161-171 

  20. 윤성효, 고정선, 박광순, 안효찬, 김용일, 유성현, 이동한, 윤기영, 2005, 부산 금정산화강암체의 암석학 및 Rb-Sr 전 암 등시선 연대. 암석학회지, 14, 61-72 

  21.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1981, 소백산육괴(동남부) 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 169-188 

  22. 이호선, 송용선, 박계헌, 정창식, 2005, 영남육괴 중부 지역 일부 화강암의 연대 보고. 대한지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초록집, 111 

  23. 정지곤, 1987, 하동-산청지역에 분포한 회장암질암의 분화. 지질학회지, 23, 216-228 

  24. 정창식, 장호완, 1996, 중부 옥천 변성대의 화성, 변성 및 광화작용과 조구조적 연관성 연구(I): 보은지역 화강암류 의 암석화학과 동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2, 91- 116 

  25.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 구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암석학 회지, 7, 77-97 

  26.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주, 임창복, 2004, 영남육괴 북 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40, 481-499 

  27. 좌용주, 1998, 경상분지 고성지역의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 학적 연구 II. 미량원소 지구화학과 Rb-Sr 방사성 연대. 자원환경지질, 31, 473-483 

  28. 좌용주, 김종선, 김건기, 2005, 우리나라 트라이아스기 화 강암의 스위트/슈퍼스위트 분류. 암석학회지, 14, 226- 236 

  29. 주승환, 1986, 영남육괴의 Rb-Sr 연대측정연구(III), 예천-단양, 무주-거창지역 화강암질편마암류 및 화강암류의 Rb- Sr 연대측정.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86-2-17, 1-18 

  30. 주승환, 김성재, 1985, Rb-Sr 법에 의한 영남육괴연대측정 연구(I), 평해, 분천화강편마암류 및 화강암류. 국토기본 지질조사연구, 연구보고서 85-24, 1-7 

  31. 진명식, 장보안, 1999, 소백산육괴 동북부 영주-춘양지역의 트라이아시기말-쥬라기초 화강암체의 열사 및 그 지구조 적 의의. 지질학회지, 35, 189-200 

  32. Cheong, C.-S., Kwon, S.-T. and Sagong, H., 2002, Geochemical and Sr-Nd-Pb isotopic investigation of Triassic granitoids and basement rocks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young basement in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The Island Arc, 11, 25-44 

  33. Jeong, J.-G., Kim, W.-S. and Seo, B.-M., 1991, Differentiation of the plutonic rocks in Sancheong-gun: trace element modelling for the magamtic differentiation. J. Miner. Soc. Korea, 4, 69-89 

  34.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0, p. 323-338 

  35.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 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The Island Arc, 12, 366-382 

  36.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u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 Gol. Soc. Korea, 26, 341-349 

  37. Kwon, S.T. and Tilton, G.R., 1992, Nd-Sr isotope study of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basement structure and tectonics of East Asia. IGC 29th, Kyoto 3(1), 109 

  38. Kwon, S.-T., Lan, C.-Y. and Lee, T., 1999, Rb-Sr and Sm- Nd isotopic study of the Seoul granitic batholith in middle Korea. Geosciences J., 3, 107-114 

  39. Lee, J.I., Kagami, H. and Nagao, K., 1995, Rb-Sr and K-Ar age determination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cooling history and evolution of granitic magmatism during late Cretaceous. Geochemical J., 29, 363-376 

  40.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 Res., 122, 297-310 

  41. Ludwig, K.R., 1994, ISOPLOT-A plotting regression program for radiogenic isotope data, version 2.71. USGS Open File Report, 91-445 

  42. Ree, J.-H., Kwon, S.-H., Park, Y., Kwon, S.-T. and Park, S.- H., 2001, Pretectonic and posttectonic emplacements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20, 850-867 

  43. Sagong, H., Kwon, S.-T., Cheong, C.-S. and Choi, S.H., 2001,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ies of the Cretaceous igneous rocks in the Yeongdo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magmatism in pull-apart basin. Geosciences J., 5, 191-201 

  44. Sagong, H., Ke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 2004TC001720 

  45. Shin, S.-C. and Nishimura, S., 1993, Thermal and uplift histories of Mesozoic granites in southeast Korea: new fission track evidence. J. Petrol. Soc. Korea, 2, 104-121 

  46.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p. 243-258 

  47.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Geochem. J., 30, 231- 2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