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경간 연속 교량 구조물의 지진응답 평가를 위한 개선된 모드별 비탄성 정적 해석법에 관한 연구
Improved Modal Pushover Analysis of Multi-span Continuous Bridge Structure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구조공학, 원자력공학, 콘크리트공학, v.26 no.3A, 2006년, pp.497 - 512  

곽효경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  홍성진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  김영상 (국립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모든 진동모드를 고려하는 모드별 비탄성 정적 해석법을 바탕으로 하여 다경간 연속 교량 구조물의 내진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동일한 항복 후 기울기비와 근사 탄성변형 형상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여 비탄성 구조계에 모드별 중첩이론을 직접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던 기존의 간섭 효과를 소거시켰다. 나아가 앞서 언급한 두 가지 개념과 적절한 분포하중을 정적 해석에 사용함으로써 더욱 간편한 해석 과정을 통하여 모든 종류의 교량 구조물에 대한 동적 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과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의 교량 모델에 대한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과 간편화된 비선형 정적 해석의 변위예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simple but effective analysis procedure to estimate seismic capacities of multi-span continuous bridge structures is proposed on the basis of modal pushover analysis considering all the dynamic modes of structure.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roposed method eliminates the coup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자유도 교량의 지진에 의한 거동에서 교축 방향의 거동은 개념적으로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강한 상부 구조계에 의해 그 거동이 단자유도 구조계와 다르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교량의 지진시 거동은 교축 직각 방향으로의 비탄성 거동에 의해 지배를 받게된다. 따라서, 대상 예제교량의 경우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축 직각 방향의 횡방향 거동에 대해 그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모든 진동모드를 고려하여 구조물의 지진 응답을 예측하는 기존 MPA의 장점은 변함없이 유지하면서도, 이론적인 모순이나 제한 조건 없이 성능-기반설계의 본 취지에 걸맞은 간편한 해석 과정을 통해서 다경간 연속 교량 구조물의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역량곡선을 결정할 수 있는 개선된 모드별 비탄성 정적 해석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4개의 예제교량에 대한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시된 해석방법의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 }를 사용하여 정적 해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진동모드 수만큼의 정적해석이 요구되고, 경우에 따라서 단조증가하지 않는 교각 거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한번의 정적 해석만으로도 항상 단조증가하는 각 모드별 역량곡선을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분포하중 {P}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 논문에서는 다경간 연속 교량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역량요구곡선법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역량 곡선을 결정하는 개선된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교량 구조물의 역량 곡선을 결정하기 위한 기존 해석 방법들의 단점과 제한 사항을 확인하였고,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해석방법과 함께 시간이력 해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MPA는 탄성 구조계의 모드형상 {φn}이 항복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간섭효과(coupling effect)를 무시하여 비탄성 단자유도계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모드별로 항복 후 변화하는 강성의 비율(an)이 다르기 때문에(그림 3(a)참조) 모드형상 {φ}가 변화하게 되고, 항복전 탄성 모드형상 {φn}을 토대로 유도한 단자유도계 운동방정식은 진동모드들간의 간섭효과 때문에 항복 후에는 더이상 성립할 수 없게 된다.
  • 개선된 모드별 비탄성 정적 해석법(IMPA)과 모드별 비탄성 정적 해석법(MPA)의 검증을 위하여 7개의 인공지진을 사용하여 대칭 교량인 B12와 비대칭 교량인 B22의 거동예측의 오차를 비교해 보았다. MPA의 역량곡선이 단조증가하지 않는다는 의미(α = 음의 값으로 그림 11(b)와 11(f) 참조)는 해당하는 모드의 단자유도계가 더 이상 힘을 받지 못하는 상태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역량곡선에 대해 항복후 완전소성 상태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α=0)함으로써 MPA도 교량의 형태에 상관없이 해석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 교량 B32와 B42의 형상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된 교량 모델 4가지 중 B12, B22 및 B32의 형상을 그림 8에 나타내었다. 교대 및 교각과 상부 거더와의 연결은 핀으로 가정하였고, 구조계의 자중은 2.3 tonf/m3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구조계의 비선형 거동은 교각에 집중되는 관계로 교각의 극한 저항력 산정을 위해 교각단면에서 주철근은SD40인 D29의 상용철근 198개를 등간격으로 배치 하였으며 교량의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의 단면 형상은 그림 7에서 살펴볼 수 있다.
  • 또한 빌딩 구조물과 달리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정적해석을 수행할 때, 탄성상태에서는 교각들의 변위 형상 비율이 일정하지만 한 교각이 최초로 항복한 이후에는 교각들의 변위형상의 비율이 항복전과 달라지게 된다. 그런데 식 (6)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항복 후에도 교량 전체의 고유 진동 모드 형상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이 논문에서는 비탄성 정적 해석(pushover analysis)을 수행 한 결과를 보정하여 각 교각의 변위 형상이 항복 전 형상의 비율로 유지되도록 가정하였다.
  • 따라서, n차 모드의 유효지진 하중 {peff,n(t)}이 가해질 때의 다자유도 구조계의 운동방정식은 [m]{ü}+[c]{ü}+{fs}=-{sng(t)이며, 이 관계식은 탄성 구조계에 상응하는 고유 진동주기와 모드형상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비탄성 구조계의 변위를 탄성 구조계의 모드형상 {φn}을 사용하여 비탄성 단자유도 구조계의 변위 Dn(t)로 전개시키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무엇이 이루어져야만 하는가? 과다하중을 동반한 지진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탄성범위를 넘어 비선형 거동을 나타내게 되는데, 특히, 구조물의 주요 부재(primary members)에서 유발되는 큰 변형은 구조물 전체의 붕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중이력에 따른 구조물의 정확한 지진 변형 및 합리적인 내진 성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근자에 들어 많은 설계 규준들(ATC, 1996; ATC, 1997)에서는 성능기반설계법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ATC-40 보고서와 FEMA-273 보고서등에서는 성능기반설계의 한 방법인 역량스펙트럼법에 기반을 둔 간편화된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다자유도 구조물의 역량곡선을 결정하는 방법 중 등가단자유도법은 무엇인가? 다자유도 구조물의 역량곡선을 결정하는 방법 중에는 등가단자유도법과 개선된단자유도법 그리고 모드별 비탄성 정적해석법이 가장 널리 쓰여지고 있다. 먼저 등가단자유도법(Equivalent Single Degree Of Freedom; ESDOF)은 그림 2(a)와 같이 균일한 등분포 하중(uniformly distributed load)을 구조물에 작용시켜 발생하는 탄성변형 형상을 하나의 대표적인 진동모드형상으로 가정하고 이를 토대로 다자유도 구조계를 등가의 단자유도계로 변환함으로써 교량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산정하는 방법을 말한다(송종걸, 2004). ESDOF를 사용할 경우 대칭 교량구조물이나 상부 구조계의 강성이 강한 비대칭 교량 구조물의 지진 응답은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지만, 상부 구조계의 강성이 약한 비대칭 교량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과다하중을 동반한 지진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경우 어떻게 되는가? 과다하중을 동반한 지진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탄성범위를 넘어 비선형 거동을 나타내게 되는데, 특히, 구조물의 주요 부재(primary members)에서 유발되는 큰 변형은 구조물 전체의 붕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중이력에 따른 구조물의 정확한 지진 변형 및 합리적인 내진 성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송종걸(2004) 역량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한 다자유도 교량의 비탄성 지진응답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3A호, pp. 541-550 

  2. Applied Technology Council (1996)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concrete buildings, ATC 40, Redwood City, CA 

  3. Applied Technology Council (1997) NEHRP guidelines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273); and NHERP commentary on the guidelines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274), ATC-33, Redwood City, CA 

  4. Bozorgnia, Y. and Bertero, V.V. (2004) Earthquake engineering from engineering seismology to performance-based engineering, CRC Press, Boca Raton at Florida 

  5. Chopra, A.K. and Goel, R.K. (1999) Capacity-demand-diagram methods for estimating seismic deformation of inelastic structures: SDF systems, Report No. PEER-1999/02, Pacific Earthquak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6. Chopra, A.K. and Goel, R.K. (2002) A modal pushover analysis procedure for estimating seismic demands for building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1, pp. 561-582 

  7. Krawinkler, H. and Seneviratna, G.D.P.K. (1998) Pros and cons of a pushover analysis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Engineering Structures, Vol. 20, No. 4-6, pp. 452-464 

  8. Miranda, E. and Bertero, V.V. (1994) Evaluation of strength reduction factors for earthquake-resistant design, Earthquake Spectra, Vol. 10, pp. 357-379 

  9. Nassar, A.A. and Krawinkler, H. (1991) Seismic demands for SDOF and MDOF systems, Report No.95, John A. Blume Earthquake Engineering Center, Stanford University, CA 

  10. Takeda, T., Sozen, M.A., and Nielsen, N.N. (1970) Reinforced concrete response to simulated earthquake,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Vol. 96, No. ST-12, pp. 2557-2573 

  11. Usanmi, T., Lu, Z., Ge, H., and Kono, T. (2004)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arch bridges against major earthquakes. Part 1: Dynamic analysis approach,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3, pp. 1337-1354 

  12. Usanmi, T., Lu Z., Ge, H., and Kono, T. (2004)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arch bridges against major earthquakes. Part 2: Simplified verification procedure,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3, pp. 1355-1372 

  13. Zheng, Y., Usanmi, T., and Ge, H. (2003) Seismic response prediction of multi-span bridges through pushover analysi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2, pp. 1259-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