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dex by SWAT Model and Drought Monitoring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공학, v.26 no.4B, 2006년, pp.345 - 354  

황태하 ((주)웹솔루스)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김형수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서병하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지역의 경제에 타격을 주며, 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하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준다. 이와 같은 가뭄에 대비하고 가뭄을 관리하기 위해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해 가뭄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Palmer의 가뭄심도(PDSI)가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순환의 고려없이 기후적인 조건만을 이용하는 단점과 한계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기후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준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즉, SWAT 모형을 이용해 토양수(soil water, SW)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적용해 구한 토양수분지수와 PDSI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소양강댐 지점의 일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SWAT모형을 보정하고 검정하여, 장기 일 토양수를 추정하고, SWAT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양수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 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A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결정계수가 0.651로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고, GIS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향상된 해상도를 가지고 가뭄감시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는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해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brings on long term damage in contrast to flood, on economic loss in the region, and on ecologic and environmental disruptions. Drought is one of major natural disasters and gives a painful hardship to human beings. So we have tried to quantify the droughts for reducing drought damage and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식생분포, 토지이용상태, 토양의 성질 및 기상상태를 이용하여 복잡한 유역의 유출량을 모의할 수 있는 준 분포형 장기 유출모형을 이용, 기존의 PDSI의 단점과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추정된 토양수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결핍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를 산정, 가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PDSI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을 그림 2에 나타내었다.
  • 즉,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해 토양수분 결핍비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토양수분지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토양 수분지수를 PDSI와 비교분석함으로써 토양수분지수가 가뭄감시를 위해 이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즉,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해 토양수분 결핍비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토양수분지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토양 수분지수를 PDSI와 비교분석함으로써 토양수분지수가 가뭄감시를 위해 이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lmer의 가뭄심도의 단점은? 그 결과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해 가뭄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Palmer의 가뭄심도(PDSI)가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순환의 고려없이 기후적인 조건만을 이용하는 단점과 한계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기후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준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SWAT 모형을 적용해 구한 토양수분지수를 PDSI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적용해 구한 토양수분지수와 PDSI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소양강댐 지점의 일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SWAT모형을 보정하고 검정하여, 장기 일 토양수를 추정하고, SWAT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양수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 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A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결정계수가 0.651로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고, GIS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향상된 해상도를 가지고 가뭄감시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는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해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가뭄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지역의 경제에 타격을 주며, 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하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준다. 이와 같은 가뭄에 대비하고 가뭄을 관리하기 위해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인주(2000) 가뭄관리를 위한 수문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2) 하천정비기본계획 : 북한강, 소양강, 양구서천, 섬강 

  4. 김상민(1999) 우리나라 주요지점에 대한 가뭄지수 산정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김치영(2001) 가뭄지수에 의한 가뭄관리 의사결정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6. 김형수, 윤용남(1996) 연속지수모형에 의한 기뭄특성의 감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7. 류재희(2000)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8. 박성우 등(1982) 한발기준년 재조정, 농업개발 시험, 서울대 농업개발연구소 

  9. 이동률(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리뇨 영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임경진(2001)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가뭄지표의 산정,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1. 장대원(2004) GIS 기반의 SWAT 모형율 이용한 하천 유출량 모의,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2. Alley, W.H. (1985)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s a measure of hydrologic drought,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1, No. 1, pp. 105-114 

  13. Narasimhan, B. and R. Srinivasan (2002) Development of a soil moisture index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a hydrologic model (SWAT), GIS and remote sensing, 2002 Texas Water Monitoring Congress Plenary Session 

  14.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SDA ARS, Temple, Texas 

  15.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User's Manual Version 2000, USDA ARS, Temple, Texas 

  16. Mckee, T.B., Doesken, N.J., and ki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Eigh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pp. 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