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동대구역을 사례로 -
Examining Access Mode Choice Behavior of Local Metropolitan High-Speed Rail Station - A Case Study of Dong-Daegu Station -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6 no.4D, 2006년, pp.565 - 571  

김상황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  김갑수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초록

경부고속철도가 2004년 4월에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체계의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광역교통 네트워크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정착단계인 현시점에서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당초 목표치의 60%정도밖에 되지 않아 경부고속철도의 도입효과에 의구심을 던지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이유로 고속철도의 값비싼 운임 등을 들 수 있으나 그에 못지않게 연계교통체계의 중요성을 지적할 수 있다. 문전수송(door-to-door) 서비스를 갖춘 승용차와는 달리 고속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은 출발지에서 역까지의 혹은 역에서 목적지까지의 연계교통서비스에 따라 그 이용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시대에 부응하여 지방대도시 정차역, 특히 동대구역을 중심으로 연계교통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속철도 연게교통수단으로 버스, 지하철, 택시, 승용차, 도보 및 기타로 구분하였고, 모형의 추정결과는 모든 변수들의 파라메타 값이 논리적으로 합당한 부호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근통행시간, 접근통행비용 등이 모두 음(-)의 부호를 가지면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근통행시간과 접근통행비용이 연계교통수단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cess mode choice behavior for KTX Passengers. To fulfill the aims of this study, Dong-Daegu Station was selected as a station for a case study. This study takes place in two stages. These are (i)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ation status before and af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4년 9월에 실시한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시스템 구축을 위한 수요조사의 대상이 된 대구·경북 거주자의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18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이렇게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고속철도를 이용하여 대구-서울 구간을 통행한 경험이 있는 표본(sample)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고속철도 정차역인 동대구역까지 연계교통수단 이용시 선택요인이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고속철도와 타 교통수단을 적절히 연계시켜 고속철도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연계교통수단 이용시 통행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대한 모형을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연계 교통수단인 버스, 지하철, 택시, 승용차(P&R, K&R), 도보 및 기타 교통수단 이용시 통행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계교통수단에 대한 선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계교통수단 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통행자 특성, 통행특성, 교통수단의 특성 등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서울 구간 통행자의 통행특성과 고속철도 이용시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대구 및 경북 거주자의 고속철도 이용 경험이 있는 통행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연계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추정한 후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거주자를 대상으로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 즉 동대구역으로의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고, 모형의 추정결과를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대구역의 연계교통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대구·경북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방 대도시인 대구권역을 사례대상으로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연계교통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에서 동대구 구간은 새마을호를 이용하면 약3시간이 소요되는 거리였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소요시간이 거의 반으로 단축되어 1시간 39분만에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대구·경북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고속철도 이용시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이용시 연계될 수 있는 교통수단의 유형을 5개의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표 1은 5개의 범주들에 대한 각 대안들의 선택빈도를 나타낸다.
  •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시대에 부응하여 지방대도시 정차역, 특히 동대구역을 중심으로 연계교통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가설 설정

  • 2. 고속철도 2단계 개통에 맞추어 대구·경북권에 새로운 정차역(김천·구미역, 경주역)이 추가될 것이다. 따라서 보다 폭넓은 조사를 바탕으로 고속철도 연계교통권역별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의 구축이 고려되어야 한다.
  • 3) 괄호안의 값은 t-통계치임.
  • 한편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대표수단을 이용하는 경우로 가정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속철도 이용시 연계교통수단으로 대부분 버스와 택시에 의한 통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이유는? 하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정착단계인 현시점에서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당초 목표치의 60%정도밖에 되지 않아 경부고속철도의 도입효과에 의구심을 던지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이유로 고속철도의 값비싼 운임 등을 들 수 있으나 그에 못지않게 연계교통체계의 중요성을 지적할 수 있다. 문전수송(door-to-door) 서비스를 갖춘 승용차와는 달리 고속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은 출발지에서 역까지의 혹은 역에서 목적지까지의 연계교통서비스에 따라 그 이용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된 년도는? 경부고속철도가 2004년 4월에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체계의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광역교통 네트워크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정착단계인 현시점에서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당초 목표치의 60%정도밖에 되지 않아 경부고속철도의 도입효과에 의구심을 던지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고속철도 이용자의 연계교통수단 선택시 통행특성은 어떠한가? 1. 성별에 있어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으로서 버스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버스보다는 다른 연계교통수단, 즉 택시나 승용차의 이용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학력자, 고소득자의 경우 통행비용과 상관없이 통행시간이 적게 걸리거나 편리성이 높은 교통수단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이 모두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의 선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속철도 이용분담율을 높이기 위해 역까지의 접근성 향상과 접근비용을 낮추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시사한다.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인 동대구역은 지하철역세권임과 동시에 환승주차장, 버스베이 및 택시베이, 고속버스터미널이 설치되어 있어 고속철도 이용활성화에 대한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속철도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의 합리적인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연계교통수단의 차내시간 및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연계교통수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버스의 정시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버스의 정시성 및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굴곡장대노선의 직선화, 중앙 및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및 확대, BIS 구축 등의 정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구와 주변 지역간의 원활한 연계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간 버스노선을 정기적으로 운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상황, 윤대식, 김갑수(2004) 도시 여가활동의 참여형태 및 요인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2권 제3호 

  2. 문대섭 등(2000) 고속철도 연계교통체계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3. 윤대식, 윤성순(2004) 도시모형론, 제3판, 서울:홍문사 

  4. 이백진, 박영석, 남궁문(2000) 선호의식을 고려한 대중교통수단 선택행동의 실태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0권 제5호 

  5. 이장호, 장수은(2005) 지역간 통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고속철도 이용증대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6. 정헌영, 김정주(2000)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형태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 18권 제5호 

  7. 조남건 등(2003)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국토공간구조의 변화전망 및 대응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8. 하태진, 박제진, 이상하(2002) 고속철도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모형 추정 및 수단전환율의 비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37권 제 6호 

  9. Ben-Akiva, M. and Lerman, S. R.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Cambridge: The MIT Press 

  10. Bhat, C. R. (1998) Analysis of Travel mode and departure time choice for urban shopping trips, Transportation Research-B, Vol. 32, No.6 

  11. Greene, W. H. (1991) LIMDEP User's Manual and Reference Guide. Version 7.0, Bellport: Econometric Software, Inc. 

  12. Juan De Dios Ortuzar (1983) Nested Logit Models for Mixed-Mode Travel in Urban Corridors, Transportation Research-A, Vol. 17A, No.4 

  13. McFadden, D. (1976)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No. 7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