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배경 : 기관지 결핵은 폐결핵의 특이한 형태로, 폐결핵은 과거 50년에 비해서 줄어들고 있지만 기관지 결핵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남아 있다. 저자들은 폐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서 기관지 결핵의 동반율과 임상 증상, 흉부 방사선 소견, 기관지경 분류 소견에 따른 발생 빈도, 발생 위치, 항결핵 치료 시작 후 기관지경을 추적 검사한 환자들에서 기관지내의 협착과 같은 합병증의 동반 빈도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내과에서 활동성 폐결핵을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되면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병변이 있는 곳에서 기관지 세척솔 또는 기관지 점막생검술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는 총 699명이였다. 이중 458명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51%인 234명에서 기관지 결핵이 동반하였다. 남자는 40.3%, 여자는 66.3%에서 기관지 결핵이 동반되었으며 20대 여성에서 기관지 결핵이 제일 많이 동반하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 객담, 발열 등의 비 특이적 증상이었고 기관지내시경상 기관지 결핵의 아형중 부종-충혈형(36.8%)이 제일 흔히 관찰되었다. 흉부 방사선 소견으로는 반상 침윤을 보이는 경우가 제일 많았고 우 폐가 좌 폐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단일 부위로는 좌 상엽에서 제일 호발하였다. 58명에서 추적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하였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큰 후유증 없이 잘 나았다. 그러나 8명에서 기관 및 주 기관지에 협착이 남았고 6명은 잔유병변이 남아 있어서 치료를 연장 하였다. 결 론 : 폐결핵 환자에서 기관지 결핵의 병발은 여전히 높으며 젊은 여성에서 만성적인 기침이 지속될 때 기관지 결핵을 의심해서 기관지 내시경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치료 도중에 기관지 내시경의 추적검사를 통해 후유증의 정도와 치료 종결의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e incid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has been reducing, but endobronchial tuberculosis continues to be a signigicant heath problem. We performed prospectively bronchoscopy in patients diagnos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order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endobronchial tubercul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8명의 환자 중 6명은 치료 종결 시에 시행한 기관지 내시경 소견 상 기관지 내에 잔유 병변이 남아 있었다. 3명은 부종이 있었고 2명은 과립형 결절, 1명은 종양형의 병변이 남아 있어서 치료를 3개월간 연장하였고 이들은 3개월 후에 기관지 내시경을 추적 관찰한 후 병변이 없어짐을 확인한 후 치료를 종결하였다.
  • 기관지 결핵을 보인 234명의 환자들을 정4등이 제시한 일곱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 기관지 결핵의 기관지경 소견은 정등4의 방법에 따라 건락성 괴사형(Active caseating type), 섬유성 협착성(Fibrostenotic type), 부종 충혈형(Edematous-Hyperemic type), 종양형(Tumorous type), 궤양형(Ulcerative type), 과립형(Granular type) 및 비 특이성 기관지염형(Nonspecific bronchitis type)의 일곱 가지 아형으로 분류하였다.
  • 기관지경 검사 상 기관, 주 기관지, 엽 기관지 내에 건락성 괴사, 협착, 부종, 염증 및 종괴 등의 가시 병변이 있으면서 동시에 객담 또는 기관지 세척액의 미생물학적 검사상 항산균 도말 또는 배양 검사 상 항산균 양성이거나 동시에 시행한 조직 생검에서 건락성 괴사 및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관찰되는 경우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을 하였다. 엽 기관지 이하 부위는 임상적으로 크게 문제가 안 될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제외했다.
  • 그러나 아직은 폐결핵 환자에서 기관지 결핵의 동반율과 기관지 결핵의 후유증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불충분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폐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서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기관지 결핵의 발생 빈도, 임상 양상, 흉부 방사선 소견, 기관지경 분류 소견에 따른 발생 빈도, 발생 위치, 항 결핵 치료 시작 후 기관지경을 추적 검사한 환자들에서 기관지내의 협착과 같은 합병증의 동반 빈도를 조사하였다.
  • 저자들은 폐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서 기관지 결핵의 동반율과 임상 증상, 흉부 방사선 소견, 기관지경 분류 소견에 따른 발생 빈도, 발생 위치, 항결핵 치료 시작 후 기관지경을 추적 검사한 환자들에서 기관지내의 협착과 같은 합병증의 동반 빈도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 치료는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 pyrazinamide 4제를 6개월 동안 치료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나 고령이면서 전신 쇄약감이 심한 환자는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 3제를 9개월간 치료를 하였다.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내과에서 활동성 폐결핵을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되면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병변이 있는 곳에서 기관지 세척솔 또는 기관지 점막 생검술을 시행하였다.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내과에서 객담 양성 또는 객담 음성이었으나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CT)에서 활동성 폐 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되면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병변이 있는 곳에서 기관지 세척술과 기관지 점막 생검술을 시행하였다.
  • 환자들은 항 결핵제로 치료하는 도중에 매달 일반 혈액 검사, 간 기능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고 폐 기능 검사는 진단 당시와 치료 2~3개월, 치료 종료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기관지 결핵이 있는 234명의 환자 중 타 병원으로 전원 한 경우(78명), 중도에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43명), 추적 기관지경 검사를 거부한 경우나 시행하지 않은 경우(55명) 등176명을 제외한 58명(24.

대상 데이터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내과에서 객담 양성 또는 객담 음성이었으나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CT)에서 활동성 폐 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되면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병변이 있는 곳에서 기관지 세척술과 기관지 점막 생검술을 시행하였다.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내과에서 활동성 폐결핵을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되거나 진단이 되면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병변이 있는 곳에서 기관지 세척솔 또는 기관지 점막 생검술을 시행하였다.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는 총 699명이였다. 남자는 409명이었고 여자는 290명이 새로 폐결핵을 진단을 받았고 각 연령별 발생 분포를 보면 20대와 70대에서의 폐결핵 환자가 각각 125명(17.
  • 기관지 결핵이 있는 234명의 환자 중 58명에서 추적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관지 내의 병변은 대부분의 경우에 잘 나았으나 8명(13.
  • 6%)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발생율이 높았다. 이 중 심한 호흡 곤란이 있는 경우(85명), 전신 상태가 매우 불량한 경우(68명), 환자가 거부한 경우(41명), 그리고 검사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47명) 등 총 241명을 제외한 458명(65%)에서 기관지경이 이루어졌다. 기관지 결핵의 소견을 보인 환자는 모두 234명(51%)이었고 이 중 남자는 108/268명(40.
  • 8%)에서 추적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처음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한 시기와 추적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한 시점을 보면 5명에서 항 결핵 치료 시작 후 3개월 이내에 검사를 하였고 나머지 53명의 환자에서는 치료 종료 시점인 6개월 또는 9개월 전후로 이루어 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illiams DJ, York EL, Nobert EJ, Sproule BJ. Endobronchial tuberculosis presenting as asthma. Chest 1988;93:836-8 

  2. Matthews JI, Matarese SL, Carpenter JL. Endobronchial tuberculosis simulating lung cancer. Chest 1984;86:642-4 

  3. Chung HS, Han SK, Shim YS, Kim KY, Han YC, Kim WS, et al. Balloon dilatation of bronchial stenosis in endobronchial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1991;38:236-44 

  4. Chung HS, Lee JH, Han SK, Shim YS, Kim KY, Han YC, et al. Classifica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by the bronchoscopic features. Tuberc Respir Dis 1991;38:108-15 

  5. WHO. Global tuberculosis control: surveillance, planning, financing: WHO report 2004 

  6. Lew WJ. Tuberculosis surveillance system in Korea. Tuberc Respir Dis 2000;48:298-307 

  7. Lee JH, Park SS, Lee DH, Shin DH Yang SC, Yoo BM. Endobronchial tuberculosis: clinical and bronchoscopic features in 121 cases. Chest 1992;102:990-4 

  8. Kim SY, Suhr JW, Shin KS, Jeong SS, Park SG, Kim AK, et al.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1996;43:138-46 

  9. Park EJ, Kim MO, Yang SC, Sohn JW, Yoon HJ, Shin DH, et al. Clinical and bronchoscopic features of 280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1990-2001. Korean J Med 2003;64:284-92 

  10. Ahn CM, Kim HJ, Hwang ES, Kim SK, Lee WY. A clinical study of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Tuberc Respir Dis. 1991;38:340-6 

  11. Hirata S. Tracheobrochial tuberculosis observed from the chest X-ray findings and its pathogenesis. Kekkaku 1989;64:319-27 

  12. Jokinen K, Palva T, Nuutinen J. Bronchial findings in pulmonary tuberculosis. Clin Otolaryngol Allied Sci 1977;2:139-48 

  13. Song JH, Han SK, Heo IM. Clinical study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1985;32:276-82 

  14. Chung HS, Lee JH. Bronchoscopic assessment of the evolu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Chest 2000;117:385-92 

  15. Toppet M, Malfroot A, Derde MP, Toppet V, Spehl M, Dad I. Corticosteroid in primary tuberculosis with bronchial obstruction. Arch Dis Chil 1990;65:1222-6 

  16. Chan HS, Pang JA. Effect of corticosteroid on deteriora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during chemotherapy. Chest 1989;96:119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