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모형을 이용한 고전압(22.9[kV]) 감전사고 모의 실험
Experiments to Simulate an Electric Shock Accident of a high Voltage using a Human Body Model 원문보기

照明·電氣設備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20 no.6, 2006년, pp.63 - 68  

노영수 (숭실대학교 전기제어시스템공학부) ,  장태준 (숭실대학교) ,  곽희로 (숭실대학교 전기제어시스템공학부)

초록

22,900[V] 전압에서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의 감전사고에 대한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22,900[V] 전압의 감전사고의 메커니즘을 실증하기 위해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모의 감전사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모의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인체모형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감전 상황과 관계없이 일단 감전사고가 발생하면 인체에 치명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atistical data regarding electric shock accidents have been analyzed to examine the electric shock accidents occurred at the voltage of 22,900[V], In order to demonstrate the mechanism of the 22,900[V] electric shock accident, a number of experiments to simulate electric shock accidents 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계에 의하면 감전사고의 대부분은 220[V]와 22, 900[V]의 전압에서 발생되었으며 22, 900[V] 전압의 감전사고자는 주로 전기기술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별로 감전사고자의 통계자료를 조사하고 22, 900[V] 전압에서 감전 위험성을 실증하기 위하여 제작된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감전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인체저항에 대한 IEEE와 IEC 60479의 규정을 고려하여 그림 3과 같이 손과 손 (A-B)을 l, 000[Q]을 기준으로 하고 신발저항을 5, 000[Q]으로 가정하여 인체모형을 제작하였다. 대지 저항은 도로면에 인접한 곳의 대지 저항률인 1~ 353[Qm] 중 200[Q]을 선택하였다[6].
  • 한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2, 900[V] 전압의 감전사고는 통전 경로와 관계없이 인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감전 조건에서 감전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이때의 인체 저항을 간단한 전기회로로 모의한 인체모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전기안전공사 '감전사고 발생 총괄' 1995-2002 

  2. 이두현 외 5인 '전기안전공학' 1995, 동아, p19-21 

  3. 최충석 외 5인, '전기화재공학', 동화기술, pp.73-115, 2001 

  4. IEEE Std. 80, IEEE 'Guide for Safety in AC Substation Grounding', 1986 

  5. CE IEC 60479 'Body Fluid Determinations using Multiple Impedance Measurements', IEEE, 1989 

  6. 한국전기안전공사 '지질별접지시공의최적화방안연구', 1998, pp.53 

  7. 최민주, 이경성, '의공학', 청구문화사, pp.38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