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해협 코아 퇴적물의 부유성 유공충 군집 특성과 고해양 환경 변화
Planktic Foraminiferal Assemblages of Core Sediments from the Korea Strait and Paleoceanographic Change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4, 2006년, pp.464 - 474  

강소라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본부) ,  임동일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본부) ,  노경찬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본부) ,  정회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최진용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유해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최대 빙하기 이후 대한해협에서의 고해양 환경 변화를 이해하고자 대한해협 외대륙붕에서 채취한 코아 퇴적물에 대한 $^{14}C$ 연대 측정과 함께 부유성 유공충의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다. 코아 퇴적물은 모래 50%, 실트 30%, 점토 20%의 사니질 퇴적상으로 약하게 생물 교란된 모래/니질 교호층리들이 발달하고 있다. 코아 퇴적물의 연대는 최하부에서 약 14 ka이며, 최상부 30 cm에서 약 6 ka로 지난 최대 빙하기에서 현세 중기까지 발달한 퇴적층이다. 코아 퇴적물에서 산출되는 부유성 유공충은 크게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된다. 군집 A는 열대-아열대종인 Globigerinoides ruber group, Globigerinoides conglobatus로 대표되며, 코아의 전 깊이에서 약 10% 이내로 산출되며, 상부 약 30cm에서 증가한다. 군집 B는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대마 난류를 지시하는 Pulleniatina obliquiloculata, Neogloboquadrina dutertrei 등으로 구성되며, 대한해협에 대마 난류의 유입 양상을 보여준다. 군집 C는 Neogloboquadrina incompta, Neogloboquadrina pachyderma 등 한대-아한대성 종들로 구성되며, 코아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군집 D는 Globigerina bulloides, Globigerina quinqueloba 등 연안수를 지시하는 종으로 구성되며, 코아의 중 하부에서 가장 우세 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부유성 유공충 군집분석 특성과 연대 측정 결과에 근거할 때, 최대 빙하기 이후 약 14 ka부터 7 ka까지 대한해협은 중국 대륙 및 한반도에서 기원한 담수의 영향으로 저염수의 특성을 가지는 연안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 시기에 대한해협을 통하여 많은 양의 담수가 동해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해협에 대마 난류의 영향력이 강해지기 시작한 것은 약 8.5 ka 이후로 보이며, 이후 난류의 영향은 더욱 강해져 약 $7{\sim}6ka$를 전후하여 거의 현재와 같은 해양 환경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leoceanography since 14 ka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planktic foraminiferal assemblages of core sediments from the outer shelf of the Korea Strait. Planktic foraminifera in the core sediments can be divided into four assemblages: A, B, C, and D. Assemblage A consists mainly of Globigeri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한해협에서의 고해양학적 연구가 부진한 것은 연구해역이 대부분 매우 조립한 잔류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어 코아 시료의 획득이 어려웠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에서는 대한해협 외대륙붕의 수심 130m에서 채취한 코아 퇴적물을 대상으로 산출되는 부유성 유공충 군집분석을 통하여 LGM 이후의 대한해협 주변해역의 고해양 환경 변화, 특히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대마 난류가 동해로 유입되는 양상과 그 시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 A.W.H., 1977, An ecological, zoo-geographical and taxonomic review of Recent planktonic foraminifera. In Ramsay, A.T.S. (ed.), Ocean Micropaleontology. 1, Academic Press, London, 1-100 

  2.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7 

  3. Ijiri, A., Wang, L., Oba, T., Kawahata, H., Huang, C-Y., and Huang, C-Y., 2005,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past 42,000 year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19, 239-261 

  4.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 (ed.),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ley-Inter Science, New York, 49-67 

  5. Jian, Z., Wang, P., Saito, Y., Wang, J., Pflaumann, U., Oba, T., and Cheng, X., 2000, Holocene variability of the Kuroshio Current in the Okinawa Trough, northwestern Pacific Ocea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84, 305-319 

  6. Keigwin, L.D. and Gobarenko, S.A., 1992, Sea level, surface salinity of the Japan Sea, and the Younger Dryas Event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Quaternary Research, 37, 346-360 

  7. Kim J-M., Kennett, J.P., Park, B-K., Kim D.C., Kim, G.Y., and Roark, E.B., 2000, Paleoceanographic change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East Sea of Korea. Paleoceanography, 15 (2), 254-266 

  8. Lee, E. and Nam, S., 2003, Freshwater supply by Korean rivers to the East Se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 review and new evidence from the Korea Strait region. Geo-Marine Letters, 23, 1-6 

  9. Li, B., Jian, Z., and Wang, P., 1997, Pulleniatina obliquiloculata as a paleoceanographic indicator in the southern Okinawa Trough during the last 20,000 years. Marine Micropaleontology, 32, 59-69 

  10. Matsui, H., Tada, R., and Oba, T., 1998, Low-salinity isolation event in the Japan Sea in response to eustatic sea-level drop during LGM: Reconstruction based on salinity-balance model. The Quaternary Research, 37 (3), 221-233 

  11. Moorely, J.J., Heuser, L.E., and Sarro, T., 1986, Latest Pleistocene and Holocene paleoenvironment of Japan and its marginal sea. 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53, 349-358 

  12. Moriyasu, S., 1972,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Marine Science, 4, 27-33 

  13. Oba, T., Kato, M., Kitazato, H., Koizumi, I., Omura, A., Sakai, T., and Takayama, T., 1991,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85,000 years. Paleoceanography, 6 (4), 499-518 

  14. Oba, T., Murayama, M., Matsumoto, E., and Nakamura, T., 1995, AMS-14C ages of Japan Sea cores from the Oki Ridge. The Quaternary Research, 34 (4), 289-296 

  15. Oda, M. and Takemoto, A., 1992, Planktonic foraminifera and paleoceanography in the domain of the Kuroshio Current around Japan during the Last 20,000 years. The Quaternary Research, 31 (5), 341-357 

  16. Park, S.C. and Yoo, D.G., 1988, Depositional history of Quaternary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Korea Strait). Marine Geology, 79, 65-75 

  17. Park, S.C., Yoo, D.G., Lee, C.W., and Lee, E.I., 2000, Last glacial sea-level changes and paleogeograph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Geo-Marine Letters, 20, 64-71 

  18. Tada, R. and Irino, T., 1999, Land-ocean linkages over orbital and millennial timescales recorded in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apan Sea. Paleoceanography, 14 (2), 236-247 

  19. Takemoto, A. and Oda, M., 1997, New planktoc foraminiferal transfer functions for the Kuroshio-Oyashio Current region off Japan. Paleontological Research, 1 (4), 291-310 

  20. Thompson, P.R., 1981,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during the past 150,000 years: comparison of modern and fossil assemblage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35, 241-279 

  21. Ujiie, H. and Ujiie, Y., 1999, Late Quaternary course changes of the Kuroshio Current in the Ryukyu Arc region, northwestern Pacific Ocean. Marine Micropaleontology, 37, 23-40 

  22. Ujiie, Y., Ujiie, H., Taira, A., Nakamura, T., and Oguri, K.,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urface water in the Kuroshio source region, Pacific Ocean, over the past 21,000 years: evidence from planktonic foraminifera. Marine Micropaleontology, 49, 335-364 

  23. Wang, P., Zhang, J., and Min, Q., 1985, Distribution of foraminifera in surface sediments of the East China Sea. In Wang, P. (ed.), Marine Micropaleontology of China, China Ocean Press, Beijing, 34-69 

  24. Watkins, J.M., Mix, A.C., and Wilson, J., 1998, Living planktic foraminifera in the central tropical Pacific Ocean: articulating the equatorial 'cold tongue' during La Ni?a, 1992. Marine Micropaleontology, 33, 157-174 

  25. Xu, X. and Oda, M., 1999, Surface-water evolution of the eastern East China Sea during the last 36,000 years. Marine Geology, 156, 285-304 

  26. Yoo, D-G., Park, S-C., Sunwoo, D., and Oh, J-H., 2003, Evolution and chronology of late Pleistocene shelfperched lowstand wedges in the Korea Strait.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2, 29-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