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의 강수 계절성에 관한 연구
On the Study of the Seasonality Precipitatio over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2, 2006년, pp.149 - 158  

윤희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 ,  김희종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윤일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73년에서 2001년 남한의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계절성 강수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남한 63개 관측지점에 대한 계절성 강수지수와 계절성 강수지수의 연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계절성 강수라 함은 연중 특정 몇 달에 집중되는 강수의 집중도를 의미한다. 강수 형태는 여러 원인에 의해 변하며, 여름철에는 국지성 강수가 발생한다. 계절성 강수 지수를 이용하여 남한 지역의 계절성 강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한 지역은 전체적으로 계절성 강수의 특성을 띠고 있는 지역이었으나 1993년 이후 건조한 날씨가 길어지고, 이후 집중호우가 내리는 계절성 강수의 특성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계절성 강수 지수의 연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남한의 62개 관측지점의 계절성 강수 지수는 29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과거($1973{\sim}1982$년)에는 6월, 7월에 집중되던 강수가 최근($1992{\sim}2001$)에는 8월, 9월에 집중되고 있으며, 10월에도 강수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과거($1973{\sim}1982$)에는 계절성 강수 강도 3에 속하는 지역이 많았으나, 1993년 이후부터는 계절성 강수 강도 5와 6에 속하는 관측지점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계절성 강수 강도 5와 6에 속하는 관측지점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남한지역의 강수특성이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다가 이후 특정한 달에 강수가 집중되어 내리는 계절성 강수의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using precipitation data from 1973 to 2001 over South Korea. The Seasonality Index and Annual variation of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were investigated from sixty-three observation stations. The Seasonality Precipitation means the degree of th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한의 63개 관측지점의 29년간 (1973~20이년)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남한의 각 지점별 매년 계절성 강수 지수를 결정하고 이동평균을 사용하여 계절성 강수 지수의 연변화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인식, 1998,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 변동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34(3), 390-396 

  2. 권태영, 오성남, 박상욱, 1998, 한반도 여름 강우의 장기변동과 지역적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4(1), 20-30 

  3. 기상청, 1973-2001, 기상연보 

  4. 기상청, 1995, 장마백서. 동진문화사, 345 p 

  5. 임규호, 서애숙, 이용섭, 1997, 한반도와 주변 해역 강수량 사이의 상호관계. 한국기상학회지, 33(4), 782-795 

  6. 차은정, 최영진, 오재호, 2000, 1997/98년 엘니뇨와 1998년 여름철 이상기상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6(2), 269-284 

  7. 허창희, 강인식, 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1), 38-48 

  8. 황재돈, 박정규, 2000, 1999년 한반도 여름철 호우와 관련된 동아시아 대기순환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6(5), 573-582 

  9. Kanelloupoulou, E.A.,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seasonality in Greece. Weather, 57, 215-219 

  10. Michiels, P., D. Gabriels and R. Hartmann, 1992, Using the seasonal and temporal Precipitation concentration index for characterizing the monthly rainfall distribution in Spain. CATENA, 19, Issue 1, 43-58 

  11. Walsh, R.P.D. and D.M. Lawer, 1981, Rainfall seasonality: Description, spatial patterns and change through time. Weather, 36, 201-208 

  12. Waylen, P.R. and C.N. Caviedes, 1990, Annual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precipitation and Stream flow in the Aconcagua River basin chile. J. Hydrology, 120, Issues 1-4, 79-1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