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1세기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교육과정 개발 - 제5차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 학습목표 개정 방향 -
Curriculum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for the 21st Century - The 5th Revision of Preventive Medicine Learning Objectives -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9 no.4, 2006년, pp.293 - 301  

천병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수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entive medicine learning objectives, first developed in 1977 and subsequently supplemented, underwent necessary revision of the contents for the fourth time to create the fifth revision. However, the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have been chang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론은 기존 예방의학 학습목표에는 따로 분류하지 않았던 것이나, 환경과 건강중 임상적인 내용은 학장협의회의 학습 목표에서는 간질성 폐질환(진폐증 관련), 중독(각종 산업중독질환 관련), 내이 질환(소음성난청 관련) 등이 각론 부분에 포함되어있어서 이번 학습목표에서는 따로 각론으로 분류하였다.
  • 이루어졌다. 교육수요 조사는기 작성 된 예방의 학 및 건강증진 학습 목표 조사표를 이용하였다.
  • 실시하였다. 교육수요조사는 2단계로 이루어졌는더], 첫 번째는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의 학습목표별 필요성과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두 번째는 직접 교육 자와 면담 조사를 통해서 의과대학에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학습목표와 내용의 장단점과 필요한 수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학습목표 조사표를 작성하였으며, 아울러 면담 조사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 국가정책 및 사회 환경, 보건의료 환경, 의학교육 환경 등의 3개영 역으로 구분하고 연구에 참여한 교수들을 3개 실무팀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예방의학 학습 목표와 교육 내용에 반영 하여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 만성질환의 역학과 관리' 에서는 기존의 '비감염성 만성질환'이라는 표현을 '만성질환'으로 수정하였는데, 여러 만성질환의 원인 중 일부가 감염성이라는 것으로 밝혀져 비감염성이라는 표현이 부적절하다는 판단에 근거 하였다. 기존의 '위 암', '간암' , '고혈압'과 같은 개개 질병 중심의 학습 목표를 '심혈관계질환', '암'과 같은 공통의 특성을 가진 것들로 하나의 학습 목표로 묶었으며, '손상(자살, 운수사고)'에관한 학습목표를 새로이 추가하였다.
  • 또한 '평균발생률'은 중요한 개념임에도 1999년 학습목표나 학장협의회 학습 목표에 없었으나 이번에는 학습목표로 추가하였다. 또한 기존 학습목표에서 '사산 비의 정의' 나 '평균여명과평균수명의 차이' 와같이 필요성 이 낮다고 평가된 항목은 삭제하였으나, 최근 저줄산 등 인구 보건 문제를 고려하여 인구재생산지표를 학습 목표에 추가하였다.
  • 워크숍을 통하여 검 토 . 보완한 목표를 41 개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과 학회 등에 보내어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수정 .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다.
  • 의사 . 사회, 그리고 각론으로 구분하였다. 건강과 질병, 역학과 그 응용, 환경과 질병 부분은 학장협 의회 학습목표 구분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대항목에 포함되어 있고, 환자 .
  • 연구는 교육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조사와 교육환경의 변화조사, 구체적 교육수요조사 등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진행하였으며, 이들 3개 분야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목표 초안을 작성하였다. 워크숍을 통하여 검 토 .
  • 내 . 외과 전공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각각 내과와 외과 계열에서 수련을 받는 특수한 교육생의 위치로, 실제 병원 생활을 통해서 필요한 내용을 충분히 알고있으므로,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의과대학에서 의 예방의 학 교육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요 조사에 사용한 도구는 의과대학 졸업 반 학생들에게 사용한 도구와 동일하였고, 전국 41개 의과대학 중 10개 대학을 선정하고 각 대학 당 4-6명의 내 .
  • 수요 조사에 사용한 도구는 의과대학 졸업 반 학생들에게 사용한 도구와 동일하였고, 전국 41개 의과대학 중 10개 대학을 선정하고 각 대학 당 4-6명의 내 . 외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 *25. 의료의 질 관리와 병원관리'는 중요성을 인정하여 이번 학습목표에서 새로운 중분류로 따로 독립시켰으며, 새로이 '의료기관관리(갈등관리, 재무관리, 마케팅)'와 '의료의 양, 비용, 질과의 관계' 등 2개 학습 목표를 추가하였다. '26.
  • 의학과4학년(6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에 대한 교육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수요조사는 2단계로 이루어졌는더], 첫 번째는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의 학습목표별 필요성과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두 번째는 직접 교육 자와 면담 조사를 통해서 의과대학에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학습목표와 내용의 장단점과 필요한 수요를 조사하였다.
  • 의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습 목표를 개발하였으며, 2003년 12월에 한국의 과대 학장협의회에서 발간한, 의과대학 학습 목표 2004' 를 기존의 학습목표와 비교 , 분석하여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였다.
  •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주요 국가정책 및 사회환경의 변화,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필요한 학습목표를 개발하였다.
  • 교육수요조사는 2단계로 이루어졌는더], 첫 번째는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의 학습목표별 필요성과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두 번째는 직접 교육 자와 면담 조사를 통해서 의과대학에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학습목표와 내용의 장단점과 필요한 수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학습목표 조사표를 작성하였으며, 아울러 면담 조사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학습목표 조사표는 기존의 1999년 예방의학학습목표, 2003년 학장협의회 에서 발간한 학습목표 등기 존의 관련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이 를서론, 역학, 환경, 관리의 4개 분야로 나누어서 주제별로 묶은 것이다.
  • 이번 연구팀의 기초조사와 개발 과정은 이러한 교육학 이론의 틀 위에서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첫째, 의과대학의 예방의학 교육과정과 학부생, 예방의학과 산업의학과 전공의, 내과와 외과 전공의 등 학습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둘째, 보건의료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내용을 분석하였고, 셋째 워크숍을 통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 전국 41개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의 의견수렴은 작성된 학습목표안에 대한 수정의견을 받는 공식 절차를 2004년 11월과 2006년 1월 두 차례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취합된 의견은 전문분야별로 다시 재검토를 하고, 의학교육전문가의 의 견과 자문을 받아 최종안을 작성하였다. 최종안은 2006년 1월 대한예방의학회 이사회에서 인준을 받아 제5차 학습목표로 수용되었다.
  • 이번 학습 목표에서는 , 6. 질병과사망의 측정' 을 따로 교수 요목으로 분리 하여 학습목표를 정 리하였다. 이 부분은 기존 학장협의회 학습 목표에 없었던 항목이며, 1999년 학습 목표에서는 이 부분과 보건통계가 같이 묶여져 있었으나, 이번 학습목표에서는 보건통계와 구분하였다.
  • 진행하였다. 첫째, 의과대학의 예방의학 교육과정과 학부생, 예방의학과 산업의학과 전공의, 내과와 외과 전공의 등 학습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둘째, 보건의료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내용을 분석하였고, 셋째 워크숍을 통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해석하고, 학습목표의 틀을 짜는 것이 특정 가치 관이나 사조에 치우치지 않도록 그 과정과 중간결과를 모두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몇 차례의 절차를 거치 면서 학습 목표를 다듬었다.
  • 학습목표의 개수가 중요도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역학 연구방법론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동일하게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7. 역학 연구 방법' 의 학습목표를 정 리 하였다. 이러한 원칙은 새로 개정된 학습목표의 기술에서 공통적 으로 적 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받게 되었다. 2003년 9월, 학회 의학과 교육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학회 정보화위원회 , 의과대학장협의회 , 의학전문대학원 연구위원회, 예방의 학교재편찬위 원회에 관여하는 예방의학 및 의학교육 전공 교수 등 총 16명으로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감사의 글 참조).
  • 국내 41개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예방의학 및 건강증진 관련 개설 교과목, 학점, 교육 방법, 교원 현황, 실습현황, 교과과정, 교과과정 개편 계획이나 의지 여부 등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학습목표와 강의요목 (syllabus)을 받았다. 설문은 2004년 5월 - 7 월에 걸쳐서 우편으로 진행되었다.
  • 받았다. 설문은 2004년 5월 - 7 월에 걸쳐서 우편으로 진행되었다.
  • 학습목표 조사표는 기존의 1999년 예방의학학습목표, 2003년 학장협의회 에서 발간한 학습목표 등기 존의 관련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이 를서론, 역학, 환경, 관리의 4개 분야로 나누어서 주제별로 묶은 것이다. 전국 41개 의과대학 중 10개 대학을 선정하고 각 대학당 4-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대한예방의학회. 醫科大學 豫防醫學 學習目標. 1977 

  2.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50주년 기념도록. 1998.p25 

  3. 대한예방의학회. 예방의학 학습목표 4차 개정판. 1999 

  4. Yang JM. Present and future of preventive medicine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Prev Med 1991; 24(2): 146-155 (Korean) 

  5. 조수헌. 학부 의학교육에 있어서 산업의학 및 환경의학교육. 1993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1993: 253-281 

  6. 이정애. 학부 의학교육에서의 보건관리 교육. 1993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 연제집. 1993: 293-303 

  7. Meng KH. The education of preventive medicine in medical college in provision for 21st century. Korean J Prev Med 1994; 27(4): 653-658 (Korean) 

  8. 김용익. 예방의학 서론 학습목표의 개정. 1994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1994: 421-424 

  9. 김용익. 보건관리 분야 학습목표의 개정. 1994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1994: 425-432 

  10. 최보율. 역학분야 학습목표의 개정. 1994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1994: 433-435 

  11. 조수헌. 환경 및 산업보건 분야 학습목표의 개정. 1994년 대한예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1994: 437-440 

  12. 함수곤, 김종식, 권응환, 왕경순,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3, (p37-53) 

  13. 김석우,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3, p39-81 

  14. Kern DE, Thomas PA, Howard DM, Bass EB.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A Six-Step Approach. The Jones-Hopkins University Press 1998. p.8-37 

  15. Pomrehn P, Davis MV, Chen DW, Barker W. Prevention for the 21st century: Setting the context through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0; 75(suppl7): S5-S13 

  16. Allan J, Barwic TA, Cashman S, Cawley JF, Day C, Douglass CW, Evans CH, Garr DR, Maeshiro R, McCarthy RL et al. Clinical prevention and population health -curriculum framework for health professions. Am J Prev Med 2004; 27(5): 417-422 

  17.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Report II. Contemporary Issues in Medicine: Medical Informatics and Population Health: Medical School Objectives Project June 1998 

  18. Dismuke SE, Burns BW, Maranetz CM, Ellerbeck E. Curriculum assessment for prevention topics and the population perspective. Am J Prev Med 2001; 20(4): 286290 

  19. 日本醫師試驗制度硏究會. 醫師國家試驗 出題基準. 平成 13年版(Japanese) 

  20. 전국의과대학장협의회. 의과대학 학습목표 제2판. 2004 

  21. Wynn PA, Aw T-C, Williams NR, Harrington M. Teaching of occupational medicine to undergraduates in UK schools of medicine. Med Educ 2002; 36: 697-701 

  22. Burnstein JM, Levy B. The teaching of occupational health in US medical schools: little improvement in 9 years. Am J Public Health 1994; 84(5): 846-8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