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목포연안지역의 안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og in the Coastal Area of Mokpo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5 no.7, 2006년, pp.623 - 634  

김도용 (기상청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단) ,  이상득 (목포대학교 환경공학전공) ,  김지영 (목포대학교 환경공학전공) ,  우종택 (목포기상대) ,  오재호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fog at Mokpo as the west coastal area of Jeonnam were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observed fog and meteorological data. Higher frequency of the fog occurrence at Mokpo was showed in spring(32%) and summer(34%) due to the seasonal high atmospheric pr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안개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서남권역인 목포연안지역의 안개예측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안개 및 기상관측자료 분석을 통하여 안개특성을 파악하였다..
  • . 또한, 영산강 하구둑 건설이 목포지역의 안개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연 안지역 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해상으로부터의 해무의 영향에 관련하여 흑산도에서 발생한 해무가 목포연안지역 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 특히 , 서 해 안은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해수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이슬점온도 와의 차이가 커져서 안개발생이 더욱 잦다“37, 26).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발생빈도가 높고 지속시간이 긴 해무의 특성甄22声)을 고려하여 인근해역 보다 먼 바다에서 발생한 해무가 연안지역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검 토하기 위하여 , 목포지역으로부터 서쪽 약 92km지점에 위치한 흑산도에서 .발생한 해무가 목포연안지역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안개 및 기상관측자료를 토대로 한 통계학적 기법에 의하여 유추하여 보았다.
  • 또한, 각 Case에 해당하는 당일과 다음날의 목포지역의 안개발생을 비교 . 검토하여 흑산도의 안개가 목포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서남권역인 목포지역의 안개예측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안개 및 기상관측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안개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목포 지역의 안개는 이동성 고기압이나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에 의해 주로 봄철과 여름철에 집중해서 발생하며, 국지적 특성으로서 북서풍계열 및 남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한 가운데 복사냉각뿐만 아니라 주변해역 및 영산호로부터의 충분한 수증기와 안개의 이류, 전선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연안안개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 후의 안개특성변화를 분석한 결과, 영산호 수면 부근에서의 기온역전층 형성 및 증발 무의 발생 등에 의해 안개발생일수는 증가하였으나, 영산강 하구둑이 용수공급을 위한 담수를 목적으로 건설된 댐이기 때문에 방류수로 인한 수온변화의 영향이 적어서 하구둑 건설이 안개발생일의 기상조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서는 해무 다발지역인 서해 먼 바다에 위치한 흑산도에서 발생한 해무가 목포연안지역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러나 안개는 매우 국지적인 기상현상으로서 인접해상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안개와의 상호 영향관계는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나, 먼 바다에서 발생하는 해무에 의한 영향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George, J. J, 1960, Weather forecasting for aeronautics, Academic Press, 667pp 

  2. Perry, A. H. and L. J. Symons, 1991, Highway meteorology, E & FN Spon, 91-130 

  3. Taylor, G. I., 1917, The formation of fog and mist, Quart. J. Roy. Meteor. Soc., 43, 241-268 

  4. Leipper, D. F., 1994, Fog on the U.S. west coast: A Review, Bull. Amer. Meteor. Soc., 75, 229-240 

  5. Gerber, H. E., 1981, Microstructure of a radiation fog, J. Atmos. Sci., 38, 454-458 

  6. Roach, W. T., R. Brown, S. J. Caughey, J. A. Garland and C. J. Readings, 1976, The physics of radiation fog: I. A field study, Quart. J. Roy. Meteor. Soc., 102, 313-333 

  7. Koziara, M. C, R. J. Renard and W. J. Thompson, 1983, Estimating marine fog probability using a model output statistics scheme, Mon. Wea. Rev., 111, 2333-2340 

  8. Roach, W. T., 1976, On some quasi-periodic oscillations observed during a field investigation of radiation fog, Quart. J. Roy. Meteor. Soc., 102, 355-359 

  9. Fisher, E. L. and P. Caplan, 1963, An experiment in numerical prediction of fog and stratus, J. Atmos. Sci., 20, 425-437 

  10. Guedalia, D. and T. Berget, 1994, Numerical forecasting of radiation fog: Part II. A comparison of model simulation with several observed fog events, Mon. Wea. Rev., 122, 1231-1246 

  11. Musson-Genon, L., 1987, Numerical simulation of a fog event with a one-dimensional boundary layer model, Mon. Wea. Rev., 115, 592-607 

  12. Brown, R. and W. T. Roach, 1976, The physics of radiation fog: II. A numerical study, Quart. J. Roy. Meteor. Soc., 102, 335-354 

  13. 이승호, 허인혜, 2003, 대형 댐 건설이 주변 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주암댐과 충주댐을 사례로, 환경영향평가, 12, 109-120 

  14. 원덕진, 김상윤, 김경익, 민경덕, 2000, 황해상 해무 발생시의 기상 및 해양 요소의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6, 631-642 

  15. 허기영, 하경자, 2004, 한반도 연안 안개의 발생과 연관된 종관 기압계 분류, 한국기상학회지, 40, 541-556 

  16. 이종범, 1981, 춘천지방의 인공호에 의한 안개 및 운량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17, 18-26 

  17. 남재철, 신만용, 윤진일, 1995, 매시기상자료에 의한 안동지역 인공호 주변 안개 발생 판별, 한국기상학회지, 31, 393-398 

  18. 변판수, 2004, 인천공항주변의 해무특성 분석을 통한 시정예보 활용성 연구, 기상연구소 예보관과정 수료논문, 6, 389-417 

  19. 이화운, 이귀옥, 백승주, 김동혁, 2005, 춘천의 안개발생과 관련된 기상특성분석 및 수치모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 303-313 

  20. 서장원, 오희진, 안중배, 윤용훈, 2003, 동해의 해무 예측 시스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8, 121 -131 

  21. 안중배, 남재철, 서장원, 이해진, 2002, 해무 예측 모듈 개발과 울릉도 해무 사례 적용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8, 155-164 

  22. 유근기, 김성우, 2002, 흑산도 부근바다의 안개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2(1), 298-302 

  23. 이승호, 1998, 충주호가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충주와 제천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 33, 165-177 

  24. 김성삼, 이내영, 1970, 한국 안개기후구 설정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6, 1-15 

  25. 안중배, 남재철, 서장원, 이해진, 2002, 한반도 안개 특성 연구, 한국기상학회,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2(1), 616-618 

  26. Seung, Y. H., J. H. Chung and Y. C. Park, 1990,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 Korea: Physical aspects, J Oceanol, Soc. Korea, 25, 84-95 

  27. Byers, H. R., 1959, General meteorology, 3rd Edition, McGraw-Hill, 540pp 

  28. Croft, P. J, R. J. Pfost, J M. Medlin and G. A. Johnson, 1997, Fog forecasting for the southern region: A conceptual model approach, Wea. Forecasting, 12, 545 - 556 

  29. 민경덕 외, 2003,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93-96 

  30. Mass, C. F. and M. D. Albright, 1987, Coastal southerlies and alongshore surge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Evidence of mesoscale topographically trapped response to synoptic forcing, Mon. Wea. Rev., 115, 1707-1738 

  31. 전병일, 김일곤, 이영미, 2002, 낙동강 수계 중의 댐 건설에 의한 주변의 국지기상환경 변화: I. 댐 건설 전 후의 기상변화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 11, 161-168 

  32. 이종범, 봉종헌, 조하만, 1990, 댐 건설에 따른 국지기후의 변화 실태, 기상연구논문집, 7(1), 75-81 

  33. 홍성길, 1982, 안동댐 건설이후 안동지방의 안개 증가, 한국기상학회지, 18, 26-32 

  34. Pagowski, M., I. Gultepe and P. King, 2004, Analysis and modeling of an extremely dense fog event in southern Ontario, J. Appl. Meteor., 43, 3-16 

  35. Hill, G. E., 1988, Fog effect of the Great Salt Lake, J. Appl. Meteor., 27, 778-783 

  36. Eichenlaub, V. L., 1979, Weather and climate of the Great Lakes region, University of Nohre Dam Press, 335pp 

  37. Cho, Y. K., M. O. Kim and B. C. Kim, 2000, Sea fo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 Appl, Meteor., 39, 2473-2479 

  38. Lewis, J M., D. Korain and K. T. Redmond, 2004, Sea fog research in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A historical essay including outlook, Bull. Amer. Meteor. Soc., 85, 395-4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