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Ages and Evolu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5 no.2 = no.44, 2006년, pp.72 - 80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박맹언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한복판에 위치한 울릉도와 독도의 화산암들에 대한 새로운 K-Ar 연대측정으로 독도로부터는 $3.67{\pm}0.40\sim1.89{\pm}0.29Ma$, 그리고 울릉도로부터는 $8.07{\pm}0.39\sim0.51{\pm}0.07Ma$의 결과를 얻었다. 이는 독도와 울릉도 모두 화성활동의 기간이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것보다 연장됨을 나타낸다 울릉도의 화산활동 시작은 지금까지 알려졌던 것보다 훨씬 오래전인 $8.07{\pm}0.39Ma$전까지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으며, 독도의 최후기 조면암 분출 및 관입은 울릉도의 화성활동 시기로 보고되었던 시기와 중첩되는 $1.89{\pm}0.29Ma$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울릉도 화산체의 형성은 주로 2.7Ma 이후에 일어났으며, 독도의 화성활동은 이 시기 이전에 대부분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화산체의 주형성기로 볼 때 독도가 울릉도 이전에 형성되었음을 시사하며, 열점화산활동에 의해 독도 동남부의 해산들로부터 시작하여 독도, 그리고 울릉도로 화산활동이 이어졌다는 해석과 합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new K-Ar ages of volcanic rocks from Ulleung-do and Dok-do island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Korea Sea; $3.67{\pm}0.40\sim1.89{\pm}0.29$ Ma for the Dok-do and $8.07{\pm}0.39\sim0.51{\pm}0.07$ Ma for the Ulleung-do. Such ages reveal that igneous activities of both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는 측정된 연대가 오류일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이 표품의 연령이 확실히 잘못되었다고 의심할 만한 논리적 근거는 희박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8Ma가 이 표품의 연령이라는 전제 하에 그 의미에 대하여 논의한다.
  •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대 측정 결과가 열점 활동을 비롯한 울릉도와 독도의 생성가설을 검증하기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독도와 울릉도에서 층서적 위치를 고려하여 채취한 여러 화산암 표품으로부터 측정한 새로운 K-Ar 연대 결과를 보고하고, 이러한 화산암연대자료를 독도 및 울릉도의 생성모델과 연관시켜 논의한다.
  • 이는 Oki Dozen 섬 역시 동해에 존재했던 울릉도-독도의 경우와 비슷한 근원물질로 구성된 맨틀플룸에서 만들어진 열점 활동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는 울릉도와 독도를 형성시킨 것과 매우 유사한 근원물질로 구성된 플룸이동해의 여러 곳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뒷받침해 준다.
  • 이상에서는 측정된 연대가 오류일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앞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이 표품의 연령이 확실히 잘못되었다고 의심할 만한 논리적 근거는 희박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8Ma가 이 표품의 연령이라는 전제 하에 그 의미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규한, 2000, 독도 알칼리 화산암류의 K-Ar 연대와 Nd- Sr 조성. 지질학회지, 36, 313-324 

  2. 김윤규, 이대성, 1983, 울릉도 북부 알카리 화산암류에 대 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6, 19-36 

  3. 김윤규, 이대성, 이경호, 1987, 독도 화산암의 분별결정작 용. 지질학회지, 23, 67-82 

  4. 김진호, 박수철, 강무희, 김경오, 한현철, 2005, 울릉분지와 동해 해산의 기원과 발달과정에 대한 해양지구물리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8, 643-656 

  5. 김창환, 박찬홍, 유상훈, 민경덕, 심재설, 2005, 중력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 북동부의 독도해산들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41, 523-531 

  6. 민경덕, 김옥준, 윤석규, 이대성, 김규한, 1988, 한국 남부 의 백악기말 이후의 화성활동과 광화작용에 대한 판구조 론 적용성 연구(II). 지질학회지, 24, 특별호, 11-40 

  7. 박찬홍, 김창환, 천종화, 민경덕, 한현철, 박용안, 2002, 해 저지형 및 자기이상 분석에 의한 독도 및 주변 해산 구 조 및 성인 연구.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한국암석학회 제57차 추계공동학술발 표회 초록집, 18 

  8. 송용선, 박계헌, 박맹언, 1999, 울릉도 화산암의 주원소, 희 토류 및 미량원소 지구화학. 암석학회지, 8, 57-70 

  9. 원종관, 이문원, 1984, 울릉도의 화산활동과 암석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20, 296-305 

  10. 이민성, 전용원, 1985,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 들의 tectonic한 환경. 지질학회지, 21, 260-280 

  11. 이종익, 허순도, 유찬민, 김예동, 박찬홍, 허식, 권문상, 박 병권, Keisuke Nagao, 2000, 독도 화산활동의 성인: 열 점 기원에 대한 새로운 고찰.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 표회, 초록집, 96 

  12. 이종익, 허순도, 이미정, 유찬민, 박병권, 김예동, 권문상, Keisuke Nagao, 2002, 독도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징과 지구화학. Ocean and Polar Research, 24, 465-482 

  13. 천종화, 한상준, 정대교, 허식, 박장준, 최동림, 1998, 울릉 분지 북동부 해저수로 주변 퇴적층의 화산재층서. 지질학회지, 34, 192-210 

  14. 황상구, 전영권, 2003,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자원환경지질, 36, 527-536 

  15. Arai, F., Oba, T., Kitazato, H., Horibe, Y. and Machida, H., 1981, Late Quaternary tephrochronology and paleo-oceanography of the sediments of the Japan Sea. The Quaternary Research, 20, 209-23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6. Harumoto, A., 1970, Volcanic rocks and associated rocks of Utsuryoto Island (Japan Sea). Nippon Printing & Publishing Co., Kyoto, 39p 

  17. Kim, K.H., Tanaka, T., Nagao, K. and Jang, S.K., 1999, Nd and Sr isotopes and K-Ar ages of the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Geochem. J., 33, 317-341 

  18. Kim, Y.K., 1985a, Petrology of Ulreung volcanic island, Korea -Part 1. Geology-. J. Mineral. Petrol. Econ. Geol., 80, 128-135.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Y.K., 1985b, Petrology of Ulreung volcanic island, Korea -Part 2. Petrography and bulk chemical composition-. J. Mineral. Petrol. Econ. Geol., 80, 292-30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Y.K., 1986, Magmatic differentiation in the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J. Mineral. Petrol. Econ. Geol., 81, 165-18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1. Kuno, H., 1959, Origin of Cenozoic petrographic provinces of Japan and surrounding areas. Bull. Volcanol., 20, 37- 76 

  22. Machida, H., Arai, F., Lee, B.S., Moriwaki, H. and Furuta, T., 1984, Late Quaternary tephras in Ulreungdo Island, Korea. J. Geography, 93-1, 1-14 

  23. Min, K.D., Kim, O.J., Yun, S., Lee, D.S. and Kim, K.H., 1982,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since late Cretaceous in southern Korea. KOSEF Report, 70p 

  24. Morris, P.A., Itaya, T., Iizumi, S., Kagami, H., Watling, R.J. and Murakami, H., 1997, Age relations and petrology of alkalic igneous rocks from Oki Dozen, Southwest Japan. Geochemical Journal, 31, 135-154 

  25. Nakamura, E., Campbell, I.H. and Sun, S.-s., 1985, The influence of subduction processes on the geochemistry of Japanese alkaline basalts. Nature, 316, 55-58 

  26. Nakamura, E., McCulloch, M.T. and Campbell, I.H., 1990, Chemical geodynamics in the back-arc region of Japan based on the trace element and Sr-Nd isotopic compositions. Tectonophysics, 174, 207-233 

  27. Sohn, Y.K., 1995, Geology of Tok Island, Korea: eruptive and depositional precesses of a shoaling to emergent island volcano. Bull. Volcanol., 56, 660-674 

  28. Sohn, Y.K. and Park, K.H.,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 Geol. Soc. Korea, 30, 242-261 

  29. Tatsumoto, M. and Nakamura, Y., 1991, DUPAL anomaly in the Sea of Japan: Pb, Nd, and Sr isotopic variations at the eastern Eurasian continental margin. Geochim. Cosmochim. Acta, 55, 3697-3708 

  30. Xu, S., Uto, K. and Kim, Y.K., 1998, K-Ar dating of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Geochem. J., 32, 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