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기 유량예측 향상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의 이용
Use of Climate Information for Improving Extended Streamflow Prediction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9 = no.170, 2006년, pp.755 - 766  

이재경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김영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정대일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장기 기후예보는 기후역학모형의 비약적인 발전과 ENSO등의 기후현상에 대한 규명으로, 전세계적으로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어 중장기 유량예측의 중요한 실마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중장기 유량예측 향상을 위하여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기후정보, 즉 월간산업기상정보와 GDAPS(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를 조사하고 그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월간산업기상정보와 GDAPS의 순별 예보에서 모두 초보예측보다 정확하였고 특히 갈수기보다는 홍수기에 정확성이 더 높게 나와 이 기간에는 기후예보로서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기후예보를 이용하여 충주댐 유역에 대하여 유량예측을 수행하였다. 월간산업기상정보에서는 전체 시나리오, 교집합 시나리오, 합집합 시나리오로 나누어 유량예측에 적용하였다. 세 경우 모두 초보예측보다 평균예측점수가 높아 예측으로서 유효하였으며, 특히 홍수기에 교집합 및 합집합 시나리오의 평균예측점수가 전체 시나리오보다 높게 나타났다. GDAPS를 이용한 순별 유량예측의 경우에도 역시 갈수기보다 홍소기에 더 높은 정확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에 보다 정확한 기후예보를 사용하여 기상학적 불확실성을 줄인다면 월 유량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accuracy of climate forecast information has improved from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limatic system, particularly, from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NSO and the improvement in meteorological models, the forecasted climate information is becoming the important clue for streamflow predi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장기 유량예측을 향상을 위해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기후예보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적용 가능한 기후예보로서 월간산업기상정보와 GDAPS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기후예보의 예보형식, 예보기간, 구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각 기후예보에 맞는 정확성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예보정확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기후예보를 이용하여 유량예 측의 개선 가능성을 보이거나 단순한 기후예보의 정확 성을 검증하던 국내 기존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내 중장기 유량예측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후예보를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이들의 정확성을 진단하였으며, 이를 충주댐 유입량예측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 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적합한 기후예보의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후예보란 10일이나 1개월 동안의 평균적인 기상상태에 대한 예보를 의미함을 미리 밝힌다.

가설 설정

  • 앙상블 유량예측은 기상정보를 이용한 확률론적 수 문예측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앙상블 예측은 과거의 기상패턴이 미래에 재현 가능하다는 가정을 기본전제로 한다. 즉, 과거에 발생한 모든 강우 시나리오를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강우-유출 모형에 입력하여 동일한 수의 유출 시나리오를 얻는 기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인식, 허창회 (1992).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 예측.' 한국기상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283-292 

  2. 김영오, 정대일, 김형섭, 이길성 (2001). '앙상블 예측을 통한 물공급전망 개선방안.' 2001년 학술발표회 논문집(1), 한국수자원학회, pp. 304-308 

  3. 신현석, 정상민 (2000). '엘리뇨/라니냐 영향 지수기법의 개발 및 한반도 수자원에의 영향분석.' 2000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27-332 

  4. 정대일, 김영오 (2002a). '앙상블 예측을 이용한 충주댐 월 유입량 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321-331 

  5. 정대일, 김영오 (2002b). '기상확률예보를 이용한 앙상블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 수자원학회, pp. 1150-1160 

  6. 정창삼, 허준행, 배덕효 (2004). '국내유역에 대한 GCM 정보의 확률론적 불확실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137-184 

  7. 한국수자원공사 (2004). 유역통합물관리를 위한 하천 유출량 예측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8. Bradley, A. A. and Schwartz, S. S. (2004). 'Potential impact of climate forecast information on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s made using trace weighting.' 2004 Joint Assembly, AGU, Montreal, Canada, pp. JA223 

  9. Croley II, T. E. (1996). 'Mixing probability meteorology outlooks in operational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2, No.4, pp. 161-168 

  10. Croley II, T. E. (2001). 'Climate-biased storm-frequency estimatio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6, No.4, pp. 275-283 

  11. Croley II. T. E. (2003). 'Weighted-climate parametric hydrologic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8, No.4, pp. 171-180 

  12. Fortin, V, Evora, N., Perreault, L. Trinh, N., Favre, A, and Benoit, H. (2004).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s: From climate scenarios to probabilistic weather predictions.' 2004 Joint Assembly, AGU, Montreal, Canada, pp. JA196- JA197 

  13. Kim, Y. -O., Jeong, D. I., and Kim, H. S. (2001). 'Improving water supply outlooks in Korea with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4, pp. 563-568 

  14. Lou, L., Wood, A. W., Wood, E. F., and Lettenmaierm D. P. (2004). 'An experimental seasonal streamflow prediction system and the streamflow predictability over the Ohio river basin.' 2004 Joint Assembly, AGU, Montreal, Canada, pp. JA223 

  15. Ntelekos, A. A., Ciach, G. J., Georgakakos, K. P., and Krajewski, W. F. (2004). 'Uncertainties in surface runoff forecasts driven by probabilistic quantitative prediction estimates.' 2004 Joint Assembly, AGU. Montreal, Canada, pp. JA222-JA223 

  16. Piechota, T. J., Dracup, J. A., Chiew, F. H. S., and McMahon, T. A. (1998). 'Seasonal streamflow forecasting in eastern Australia and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4, No. 11, pp. 3035-3044 

  17. Piechota, T. J., Dracup, J. A., Chiew, F. H. S., and McMahon, T. A. (2001). 'Development of exceedance probability streamflow forecast.'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6, No.1, pp. 20-28 

  18. Shaake, J. and Larson, L. (1998).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ESP); Progress and research needs.' Preprints Special Symposium on Hydrology, AMS, Boston, MA, USA 

  19. Sharma, A. (2000). 'Seasonal to interannual rainfall probabilistic forecasts for improved water supply management: Part I-A strategy for system predictor identific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39, No. 1-4, pp. 232-239 

  20. Stedinger, J. R. and Kim, Y.-O. (2002). 'Updating ensemble probabilities based on climate forecasts.' Conference o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nd Symposium on Managing the Extreme Floods and Drought, EWRI, ASCE, Roanoke, VA, USA, CD 

  21. Verbunt, M., Walser, A., Montani, A., and Schar, C. (2004). 'Probabilistic runoff forecasting using a limited-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2004 Joint Assembly, AGU, Montreal, Canada, pp. JA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