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좌천동 단열암반층에서 자연구배 추적자시험을 이용한 수리분산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Hydrodynamic Dispersion Using a Natural Gradient Tracer Test in a Fractured Rock at the Jwacheon-dong, Busan City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6 no.3 = no.49, 2006년, pp.245 - 254  

정상용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강동환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김병우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시 좌천동의 단열암반층에서 자연구배 추적자시험으로 브롬이온농도를 관측하여 심도별 단열발달 상태에 따른 수리분산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단열암반층의 유효공극율과 종분산지수를 추정하였다. 수직적인 수리분산특성의 차이는 브롬이온의 농도이력곡선, 관측심도별 브롬이온농도와 시간에 대한 선형회귀분석 및 관측지점별 수리단열특성을 이용하여 규명되었다. 관측공 내 지표면하 18 m(RQD 13%, 평균절리간격 2 cm, TCR 100%) 지점이 주입지점에서의 이격거리가 짧고 단열이 더욱 발달되어 있었기 때문에 25 m(RQD 41%, 평균절리간격 7 cm, TCR 100%) 지점보다 추적자가 빨리 도달하였으며, 초기농도와 최고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최고농도도달 전후의 농도변화에 의하면 추적자가 최고농도도달시까지는 주로 1차 단열을 통해 이송되었고, 최고농도도달 이후에는 2차 단열을 통해 이송되거나 기질확산에 의한 수리 분산이 진행되었다. 선형회귀분석에 의한 지표면하 18 m 지점에서 브롬이온농도의 증가/감소 기울기는 3.46/-1.57이며 지표면하 25 m 지점에서는 3.19/-0.47로서 파쇄가 더 심한 지표면하 18 m 지점에서의 용질이송이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농도이력곡선에서 브롬이온의 농도증가 형태는 가우시안함수로 나타나고, 농도감소 형태는 기질확산에 의한 꼬리효과(tailing effect)로 인해 지수함수로 나타났다. CATTI 코드를 이용하여 추정한 단열암반층의 유효공극율은 10.5%, 종분산지수는 0.85 m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natural gradient tracer test, the characteristics of hydrodynamic dispersion according to each depth of a fractured rock were studied, and the effective porosity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of the fractured rock were estimated. The difference of vertical hydrodynamic dispersion was iden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연구배 추적자시험으로 단열암반층의 수직적인 단열특성에 따른 수리분산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다음의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동환, 2006, 추적자시험을 이용한 단열암반층과 토양 층에서 수리분산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 교, 148p 

  2. 강동환, 정상용, 김병우, 2005, 단공주입양수 추적자시험 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장 주변의 침출수 확산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105-109 

  3. 강병무, 김천수, 배대석, 김경수, 기정석, 1993, 분리열극 개념을 이용한 지하공동주변의 지하수유동분석, 대한 지질공학회, 3(2), pp.125-148 

  4. 김경수, 김천수, 배대석, 김원영, 최영섭, 김중렬, 1998(a), 3차원 단열망모델링을 위한 단열수리인자 도 출, 한국지하수환경학회, 5(2), pp.80-87 

  5. 김경수, 김천수, 배대석, 정지곤, 1998(b), 순산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단열크기 추정방법 고찰, 대한지질공학회, pp.1-12 

  6. 문상호, 함세영, 우남칠, 이철우, 2001, 지하수 추적자, 시그마프레스, 169p 

  7. 박영진, 이강근, 이승구, 1997, 단열교차점에서 유체간섭 에 관한 수치적 고찰, 한국지하수환경학회, 4(3), pp.111-115 

  8. 배대석, 송무영, 김천수, 김경수, 김중렬, 1996, 분리단열 망개념의 지하수유동해석을 위한 단열투수량계수의 정량화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6(1), pp.1-13 

  9. 이진용, 천정용, 이강근, 이민효, 윤정기, 2001, 다공질 천층대수층에서의 추적자 이동 연구, 지질학회지, 37(2), pp.309-316 

  10. 장태우, 강필종, 박석환, 황상구, 이동우, 1983, 부산.가덕도폭,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2p 

  11. 차장환, 배광옥, 이강근, 2003, 파쇄 암반대수층에서 Push-pull Tracer Test의 현장 적용사례, 한국지하수 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p.268-271 

  12. 채병곤, 최영섭, 이대하, 김원영, 이승구, 김중렬, 1997, 유동성 단열 파악을 위한 암반 내 단열특성 규명, 한국지하수환경학회, 4(2), pp.88-99 

  13. 최병렬, 1998, 지하수 유로 조사를 위한 절리계의 응용 지질학적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8(2), pp.131-143 

  14. 한일영, 조성만, 정광필, 1995, 지하 LPG 저장공동의 기밀성평가를 위한 분리열극개념의 지하수유동 및 용질 이동 모형 모의기법 적용, 대한지질공학회, 5(2), pp.155-165 

  15. 함세영, 김형찬, 임정웅, 1998(a), 수직 지질구조에 의해 서 지배되는 암반지하수 유동의 수리적 성질과 그 예, 한국지하수환경학회, 5(2), pp.101-109 

  16. 함세영, 임정웅, 배두종, 최위찬, 1998(b), 균열암반대수 층의 적정채수량 산정의 적용성 연구, 한국지하수환경학회, 5(1), pp.21-29 

  17. Becker, M. W., and Shapiro, A. M., 2000, Tracer transport in fractured crystalline rock: Evidence of nondiffusive breakthrough tai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36(7), pp.1677-1686 

  18. Candace, C. C., Stephen, E. S., and Elizabeth, S., 1993, Variation in aperture estimate ratios from hydraulic and tracer tests in a single fracture, Water Resources Research, 29(9), pp.2975-2982 

  19. Domenico, P. A., and Schwartz, F. W., 1997, Physical and Chemical Hydrogeology, John Wiely & Sons, Inc., 506p 

  20. Gelhar, L. W., Welty Claire, and Rehfeldt Kenneth R., 1992, A critical review of data on field-scale dispersion in aquifers, Water Resources Research, 28(7), pp.1955-1974 

  21. Lapcevic P. A., Novakowski, K. S., and Sudicky, E. A., 1999, The interpretation of a tracer experiment conducted in a single fracture under conditions of natural groundwater flow, Water Resources Research, 35(8), pp.2301-2312 

  22. Larry, D. M., Gillham, R. W., and Cherry, J. A., 1993, Field experiments in fractured clay till; 2. Solute and colloid transport, Water Resources Research, 29(12), pp.3879-3890 

  23. Mckay, L. D., Sanford, W. E., and Strong, J. M., 2000, Field-scale migration of colloidal tracers in a fractured shale saprolite, Groundwater, 38(1), pp.139- 147 

  24. Roy C. S., Bertel Nilsson, Martin Hansen, and Johney Fredericia, 1998, Spatially varying hydraulic and solut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 fractured till determined by field tracer tests, Funnen, Denmarks, Water Resources Research, 34(10), pp.2515-2527 

  25. Sauty, J. P., and Kinzelbach, W., 1992, CATTI: Computer aided tracer test interpretation, International Groundwater Modeling Center, Golden, Colorado 

  26. Sen, Z., 1995, Applied Hydrogeology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CRC Press, Inc., 444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