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속력과 동작의 부드러움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Speed and Smoothness of Movement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6 no.1, 2006년, pp.11 - 17  

탁계래 (건국대학교) ,  한영민 (건국대학교) ,  최진승 (건국대학교) ,  이정한 (건국대학교) ,  임영태 (건국대학교) ,  전재훈 (건국대학교) ,  박상균 () ,  박승하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moothness of movement during various walking speeds. Based on the maximum smoothness theory (or the minimum jerk theory), we hypothesized that the walking speed at the maximum smoothness (or minimum normalized jerk) is the same as that at the minimum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대 스무드 니스 이론과 최소저크이론에 기초를 두어 최소저크가발생하는 보행속력에서 에너지 소비가 가장 작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하여 트레드밀에서의 다양한 보행 속력의 변화에 따른 보행시의 부드러움을 정규저크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소저크이론에 따르면 동작의 끝점인 뒤꿈치에서의 저크만 고려하면 되지만 인체의 에너지 소비량은 무게중심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무게중심과 뒤꿈치에서의 저크의 변화를 통하여 부드러움을 정량화하고 최적 보행 속력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하여 트레드밀에서의 다양한 보행 속력의 변화에 따른 보행시의 부드러움을 정규저크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소저크이론에 따르면 동작의 끝점인 뒤꿈치에서의 저크만 고려하면 되지만 인체의 에너지 소비량은 무게중심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무게중심과 뒤꿈치에서의 저크의 변화를 통하여 부드러움을 정량화하고 최적 보행 속력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속도 가속도 저크를 구하기 위해 일차7 이차, 및 삼차미분은 차분방정식 (finite difference equation)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특히 미분 시에 발생하는 오차의 확대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미분이 먼저냐 잡음제거를 위한 필터링이 먼저냐 하는 순서는 Giakas와 Baltzopoulos(1997)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저크의 계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각 보행 속력 실험에서 한 걸^{stride)을 입각기(stance phase)와 유각기(swing phase)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위의 논문들의 대부분은 피험자가 선호하는 보행 속력을 이용한 실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스무드 니스 이론과 최소저크이론에 기초를 두어 최소저크가발생하는 보행속력에서 에너지 소비가 가장 작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가정을 검정하기 위하여 트레드밀에서의 다양한 보행 속력의 변화에 따른 보행시의 부드러움을 정규저크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arrier, D. (1984). The energetic paradox of human running and hominid evolution. Current Anthropology; 25, 483-495. 

  2. Cavagna, G. & Thys, H. & Kaneko, M. (1976). Mechanical work and efficiency in level walking and running,. Journal of Physiology; 262, 639-657. 

  3. Corcoran, P. & Brengelmann, G. (1970). Oxygen uptake in normal and handicapped subjects, in relation to speed of walking beside velocity- controled cart. Arch Phys Med Rehabil; 51, 78-87. 

  4. Giakas, G. & Baltzopoulos, V. (1997). Optimal digital filtering requires a different cut-off frequency strateg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higher derivatives. Journal of Biomechanics; 30, 851-855. 

  5. Hreljac,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smoothness and performance during the practice of a lower limb obstacle avoidance task, Biological Cybernetics; 68, 375-379. 

  6. Hreljac, A. & Martin, P. E.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smoothness and economy during walking,. Biological Cybernetics; 69, 213-218. 

  7. Hreljac, A. & Marshall, R. N. (2000). Algorithms to determine event timing during normal walking using kinematic data. Journal of Biomechanics; 33, 783-786. 

  8. Hreljac, A. (2000). Stride smoothness evaluation of runners and other athletes. Gait & Posture; 11, 199-206. 

  9. Minetti, A. (1998). A model equation for the prediction of mechanical internal work of terrestrial locomotion. Journal of Biomechanics; 31, 463-468. 

  10. Rose, J. & Gamble, J. & Burgos, A. & Medeiros, J. & Haskell, W. (1990). Energy expenditure index of activity for normal children and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2, 333-340. 

  11. Saibene, F. & Minetti, A. (2003). Biomechan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legged locomotion in humans. Eur. J. Appl. Physiol; 88, 297-316. 

  12. Viviani, P. & Flash, T. (1995). Minimum-jerk, two-thirds power law, and isochrony: converging approaches to movement plan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1, 32-53. 

  13. Wells, R. P. & Winter, D. A. (1980). Assessment of signal and noise in the kinematics of normal, pathological and sporting gaits. Proceedings of the special conference of the Canadian Society for Biomechanics (CSB); Human Locomotion I, 92-93. 

  14. Zarrugh, M. & Todd, F. & Ralston, H. (1974). Optimization of energy expenditure during level walking. Eur. J. Appl. Physiol; 33, 293-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