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브로콜리에 있어 이산화염소 처리가 Escherichia coli O157:H7과 Listeria monocytogenes의 균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erved in Foodservice Institu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622 - 1627  

류시현 (배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식소나 외식업소에서 샐러드용 식재료로 많이 제공되는 브로콜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이산화염소의 농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식중독균에 대한 살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브로콜리에 E. coli O157:H7을 접종한 직후의 균수는 5.91 log CFU/g이었고, 멸균수로 1분 처리한 후에는 5.74 log CFU/g로 별다른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5 ppm, 10 ppm, 20 ppm의 이산화염소로 각각 1분, 5분, 10분간 처리한 후의 균수도 멸균수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단지 $0.31{\sim}1.05log\;CFU/g$ 정도만 감소하여 충분한 살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브로콜리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한 직후의 균수는 5.80 log CFU/g이었으나, 멸균수에 1분간 침지한 후에는 5.59 log CFU/g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10 ppm과 20 ppm의 이산화염소로 처리한 후에는 멸균수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균수가 각각 $2.19{\sim}2.48log\;CFU/g$$3.31{\sim}3.87log\;CFU/g$만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접종된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균수는 모두 이산화염소의 처리농도 및 시간과 각각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회귀식은 각각 $Y_1=5.934-0.046X_1-0.028X_2$$Y_2=5.630-0.177X_1-0.043X_2$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95%와 93%이었다. 이산화염소수로 세척한 브로콜리에서의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균수를 예측함에 있어 이산화염소의 처리시간보다는 처리농도가 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5 ppm의 이산화염소는 브로콜리에 부착된 식중독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산화염소를 생채소 세척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척농도를 높여 사용함이 효과적이겠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급식소와 외식업체에서 제공되는 샐러드용 채소에 대한 미생물적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 다양한 채소에 대해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식중독균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아울러 과일이나 채소에 이산화염소 처리 시 산화작용으로 인해 색깔이나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관능검사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on reducing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on broccoli served in foodservice institutions. Broccoli samples inoculated with $10^6$ CFU/mL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treated with chlorine diox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식소나 외식업소에서 샐러드용 식재료로 많이 제공되는 브로콜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이산화염소의 농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식중독균에 대한 살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브로콜리에 E.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식소나 외식업소에서 생식용 및 샐러드용 식재료로 많이 제공되는 브로콜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브로콜리에 이산화염소의 농도 및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 효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식소와 외식업소에서는 채소류의 세척과정 중 부착된 미생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급식소와 외식업소에서는 채소류의 세척과정 중 채소용 세척제나 염소수 등을 이용하여 부착된 미생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급식소나 외식업소에서 제공되는 비가열 채소류와 샐러드에서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들이 검출되었다는 연구결과들이 다수 보고된 바 있으며(5-9), 신선한 브로콜리에서도 Listeria monocytogenes와 Aerimonas hydrophila 등의 식중독균이 분리되고 있다(10-12).
브로콜리의 소비가 증가하는 이유는? 이에 급식소와 외식업소에서도 건강 식재료인 각종 과일 및 채소류를 샐러드로 제공하거나, 가열하지 않고 원재료 그대로 이용하는 조리법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브로콜리는 비타민과 무기질 등의 영양가가 높고(1), 항암작용을 하는 sulforaphane(2-4)을 함유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생식용이나 샐러드용 식재료로써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Listeria monocytogenes가 식품위생상 매우 중요시되는 이유는? 또한 L. monocytogenes는 식품표면에 부착 시 biofilm을 형성하여 세척하여도 잘 제거되지 않으며(16) 일반 병원균이 발육할 수 없는 5oC에서도 증식이 가능하여 식품위생상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급식소나 외식업체에서 가열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공되는 생채소류의 미생물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세척처리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Suwon. p 130 

  2. Zhang Y, Talalay P, Cho CG, Posner GH. 1992. A major inducer of anticarcinogenic protective enzymes from broccoli: Isolation and elucidation of structure. Proc Natl Acad Sci 89: 2399-2403 

  3. Zhang Y, Kensler TW, Cho CG, Posner GH, Talalay P. 1994.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sulforaphane and structurally related synthetic norbornyl isothiocyanates. Proc Natl Acad Sci 91: 3147-3150 

  4. Matusheski NV, Juvik JA, Jeffery EH. 2004. Heating decreases epithiospecifier protein activity and increases sulforaphane formation in broccoli. Phytochemistry 65: 1273-1281 

  5. Park YB, Kang JB, Kim JB, Kim JC.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from salads of fast food restaurants. Korean Soci Sani 20: 23-31 

  6. Kim JS, Bang OK, Chang HC. 2004.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7. Soriano JM, Rico H, Molto JC, Manes J. 2000. Assessment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wash treatments of lettuce served in university restaurants. Int J Food Microbiol 58: 123-128 

  8. Beuchat LR. 1996. Listeria monocytogenes: incidence on vegetables. Food Control 7: 223-228 

  9. Albrecht JA, Hamouz FL, Sumner SS, Melch V. 1994. Microbial evaluation of vegetable ingredients in salad bars. J Food Prot 58: 683-685 

  10. Berrang ME, Brackett RE, Beuchat LR. 1989. Growth of Aeromonas hydrophila on fresh vegetables stored under a controlled atmosphere. Appl Environ Microbiol 55: 2167- 2171 

  11. Callister SM, Agger WA. 1987. Enum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eromonas hydrophila and Aeromonas caviae isolated from grocery store produce. Appl Environ Microbiol 53: 249-253 

  12. Odumeru JA, Mitchell SJ, Alves DM, Lynch JA, Yee AJ, Wang SL, Styliadis S, Farber JM. 1997. Assessment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eady-to-use vegetables for health-care food services. J Food Prot 60: 954-960 

  13. Beuchat LR, Ryu JH. 1997. Produce handling and processing practices. Emerg Infect Dis 3: 459-465 

  14. Francis GA, Thomas C, O'beirne D. 1999.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 34: 1-22 

  15. James JM, Martin JL, David AG. 2006.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Aspen Publisher, Maryland. p 679 

  16. Frank JF, Koffi RA. 1990. Surface-adherent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surfactant sanitizers and heat. J Food Prot 53: 550-554 

  17. Gordon G, Kieffer RG, Rosenblatt DH. 1972. The chemistry of chlorine dioxide. In Progress in Inorganic Chemistry. Lippard SJ, ed. Wiley and Sons, New York. Vol 15, p 202-286 

  18. Benarde MA, Snow WB, Olivieri OP, Davidson B. 1967. Kinetics and mechanism of bacterial disinfection by chlorine dioxide. Appl Microbiol 15: 257-265 

  19. Beuchat LR. 1998. Food safety issues: Surface decontamin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eaten raw: A review. Food Safety Uni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FSF/ FOS/98.2. p 19 

  20. Junli H, Li W, Nanqi R, Fang M, Juli. 1997.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bacteria in water. Wat Res 31: 607-613 

  21.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006. Secondary direct food additives permitted in food for human consumption: Chlorine dioxide. 21 Code of Fed Regulations (CFR) Part 173.300 

  22. Singh N, Singh RK, Bhunia AK, Stroshine RL. 2002.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ozone, and thyme essential oil or a sequential washing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and baby carrots. Lebensm-Wiss U-Technol 35: 720-729 

  23. Carrillo A, Puente ME, Bashan Y. 1996. Application of diluted chlorine dioxide to radish and lettuce nurseries insignificantly reduced plant development. Ecotoxicol Environ Saf 35: 57-66 

  24. Zhang S, Farber JM. 1996. The effects of various disinfectant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vegetables. Food Microbiol 13: 311-321 

  25. Han Y, Linton RH, Nielsen SS, Nelson PE. 2001. Redu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green peppers (Capsicum annuum L.) by gaseous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water washing, and its growth at 7°C. J Food Prot 64: 1730-1738 

  26. Costilow RN, Uebersax MA, Ward PJ. 1984. Use of chlorine dioxide for controlling microorganisms during handling and storage of fresh cucumbers. J Food Sci 49: 396-340 

  27. Reina LD, Fleming HP, Humphries EG. 1995. Micro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hydrocooling water with chlorine dioxide. J Food Prot 58: 541-546 

  28. Singh N, Singh RK, Bhunia AK. 2003. Sequential dis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alfalfa seeds before and during sprouting using aqueous chlorine dioxide, ozonated water and thyme essential oil. Lebensm- Wiss U-Technol 36: 235-243 

  29. Taormina PJ, Beuchat LR. 1999. Comparison of chemical treatments to eliminate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on alfalfa seeds. J Food Prot 62: 318-324 

  30. Wisniewsky MA, Glatz BA, Gleason ML, Reitmeier CA. 2000.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whole fresh apples by treatment with sanitizers. J Food Prot 63: 703- 708 

  31. Rodgers SL, Cash JN, Siddiq M, Ryser ET. 2004. A comparison of different chemical sanitizers for inactivating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solution and on apples, lettuce, strawberries, and cantaloupe. J Food Prot 67: 721-731 

  32. Pao S, Kelsey DF, Khalid MF, Ettinger MR. 2007. Using aqueous chlorine dioxid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omatoes with Salmonella enterica and Erwinia carotovora during fruit washing. J Food Prot 70: 629-634 

  33. Yu K, Newman MC, Archbold DD, Hamilto-Kemp TR. 2001.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strawberry fruit and reduction of the pathogen population by chemical agents. J Food Prot 64: 1334-1340 

  34. Han Y, Selby TL, Schultze KK, Nelson PE, Linton RH. 2004. Decontamination of strawberries using batch and continuous chlorine dioxide gas treatments. J Food Prot 67: 2450-2455 

  35. Lee SY, Costello M, Kang DH. 2004.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gas as a sanitizer of lettuce leaves. J Food Prot 67: 1371-1376 

  36. Youm HJ, Ko JK, Kim MR, Song KB. 2004.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ure cell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14-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