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지분할시상골절단술 후 혀의 위치, 기도의 폭경, 하악각 및 구강용적의 변화
CHANGES IN TONGUE POSITION, AIRWAY WIDTH, GONIAL ANGLE, LOWER FACIAL HEIGH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3 no.2, 2007년, pp.109 - 113  

이규홍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치과교정과) ,  황용인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치과교정과) ,  김윤지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치과교정과) ,  천세환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치과교정과) ,  김형욱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구강외과) ,  박준우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구강외과) ,  이건주 (샘 치과의원) ,  박양호 (한림대학교 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치과교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combin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reduces oral volume and influences tongue and other surrounding tissue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st-operative tongue position and airway dimen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교정치료와 하악지분할시상골절단술의 복합적인 치료를 받은 하악전돌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혀의 위치 및 기도의 폭경 차이를 분석하고 하악골의 수평, 수직적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하악전 돌증 환자의 치료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ackens G: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orthognathic surgery. Rev Belge Med Dent 2002;57:32-36zH4 

  2. McNeil RW, Proffit WR, White RP: Cephalometric prediction for orthodontic surgery. Angle Orthod 1972;42:154-64 

  3. Kajikawa Y: Change in soft tissue profile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J Oral Surg 1979;37:167-74 

  4. Trauner D, Richard S, Obwegeser A, Hugo L: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nd retrognathism with consideration of genioplasty. J Oral Surg 1957;10:787-792 

  5. Dal Pont G: Retromolar osteotomy for correction of prognathism. J Oral Surg 1961;19:42-47 

  6. Lew KKK: Changes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anterior mandibular subapical osteotomy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Int J Adult Orthod Orthognath Surg 1993;8:123-128 

  7. Yoo E, Murakami S, Takada K, Fuchihata H, Sakuda M: Tongue volume in human female adul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J Dent Res 1996;75(12):1957-1962 

  8. 김명국. 머리 및 목해부학, 3판 재개정판, 1995 

  9. Stepovich, ML: Acephalometric positional study of the hyoid bone. Am J Orthod 1965;51:882 

  10. Bibby, RE. and Preston CB: The hyoid triangle. Am J Orthod 1981;80:92-97 

  11. 장영일: 설골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87;17:7- 13 

  12. Adamidis, IP and Spyropoulos MN: Hyoid bone position and orientation in class1 and class3 malocclusions. Am J Orthod 1992;101:308- 312 

  13. Takagi Y, Proffit WR: Postural change of the hyoid bone following osteotomy of the mandible. Oral surgery oral Med and Oral Pathilogy 1967;23:688-692 

  14. Wickwire NA, White RP jr and Proffit WR: The effect of mandibular osteotomy on tongue position. J O Surg 1972;30:184-90 

  15. 이대경, 김수경: 하악전돌증 악교정수술 후 상기도 변화에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9;27:1143-1152 

  16. 김효영, 최현구, 김은경, 김정기: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골 후 퇴수술이 기도공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97;27(5):733-741 

  17. Enacar A, Aksoy AU: Changes in hypopharyngeal airway space and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Int J Adult Orthod Orthognathic Surg 1994;9:285-290 

  18. Athanasiou AE, nick T, Dimitrios M, Martin R, Ann W: Alteration of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depth and their relationship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1991;100:259-265 

  19. 최재용, 이상철: 하악전돌증 환자의 악교정수술 후 상기도 형태 및 설골 위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희치대논문집 1993;15:729- 742 

  20. 강석훈, 김태준, 신효근: 하악전돌증 환자에 있어서 악교정 수술 전후의 gonial angle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1998;24:193-197 

  21. 권영호, 장현중, 이상한: 하악전돌증 환자의 악교정 수술 후 gonial angle 변화에 관한 임상적 분석.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0;22:1-6 

  22. 양동규, 양원식, 김종원: 악교정수술 후 두부경조직의 계측학적 변화.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1982;8:47-55 

  23. 조병욱, 이용찬, 고백진, 조원표: 악교정수술을 받은 악안면기형 환자의 skeletal pattern의 변화에 과한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990;12:1-6 

  24. Masaki F, Tohru F, Akiyoshi H: Comparative study of mandibular stability after sagittal split osteotomies:biocortical versus monocortical osteosynthesis. Cleft Palate Craniofac J 2000;37(6):551-5 

  25. Glender H, Philip K: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for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long-term result. J Oral Maxillofac Surg 2005;63(11):158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