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릉분지 시추 퇴적물에서 안정 Pb 동위원소를 이용한 Pb의 기원 추정
Sources Identification of Anthropogenic Pb in Ulleung Basin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East/Japan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2 no.4, 2007년, pp.315 - 327  

최만식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우준식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동선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울릉분지 퇴적물에서 오염 기원 Pb의 근원지 및 이동 경로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5년 4개의 박스형 시추퇴적물(30cm 길이)을 채취하였고 연대별 Pb 농도 및 Pb 동위원소 비율을 MC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1M HCl 용출 부분의 Pb 농도 및 동위원소 비율($^{207}Pb/^{206}Pb$$^{208}Pb/^{206}Pb$)은 1930년 전 약 300년 동안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으나 그 후로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농도가 거의 2배 수준, 동위원소 비율은 3.41% 및 1.70% 증가한 값을 보였고 잔류 부분의 Pb 농도는 지난 400년 동안 거의 유사하였다. 오염 Pb의 축적률은 심해분지해역에서 1990년대 이후 $3.1-3.5mg/m^2/yr$ 범위로 대기로부터의 총 강하량과 유사하였고 대륙사면에서는 퇴적물 축적률에 비례하는 정도 이상으로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오염 기원 Pb의 축적률과 동위원소 비율의 시 공간적인 변화 그리고 오염 기원 Pb의 동위원소 비율과 가능한 오염원 물질의 동위원소 비율의 비교를 통하여 울릉분지에 축적되는 오염 기원 Pb의 근원지와 이동 경로를 설명할 수 있었다. 즉, 1930년대부터 중국 및 한국의 석탄 연소에 의해 오염 Pb의 축적이 이루어졌으며 여기에 유연 휘발류 사용으로 1990년대 초반까지 대기로부터의 강하량이 증가하여 오염 Pb 축적률이 계속 증가하였으며 수입 광상(호주 Broken Hill)의 비율 또한 점차 증가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 및 중국의 유연 휘발류 사용 금지 및 중국의 석탄 사용 급증에 의해 심해분지 해역에서는 그 이전과 매우 유사한 오염 Pb의 축적률을 보였으나, 대륙사면 해역에서는 1990년대 이후부터 급증한 국지적 오염원의 영향으로 급격한 오염 Pb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b and stable Pb isotopes accumulated in Ulleung Basin core sediments (4) using MC ICP/MS in order to identify the sources of anthropogenic Pb in the East/Japan Sea. Leached (1M HCl) Pb concentration and isotope ratios ($^{207}Pb/^{206}P...

주제어

참고문헌 (54)

  1. 김영일, 홍기훈, 김석현, 정창수, 김경련, 김창준, 최기영, 김유진, 2006. 동해병 배출해역에서의 퇴적물 중 중금속 분포 특성. 2006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요약집. 352 p 

  2. 윤 호, 1998. 서울 대기분진 화학조성의 시간변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pp 

  3. 이동수, 이용근, 허주원, 이상일, 손동헌, 김만구, 1994. 서울대기중 Pb 농도의 연도별 변화(1984-1993).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 170-174 

  4. 이희일, 2006. 황사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BSPM373-00-1826-5, 107 pp 

  5. 최만식, 박은주, 1999. 제주도 대기 분진 중 미량 금속의 농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 727-738 

  6. 최만식, 신형선, 이창복, 2003. DGT를 이용한 새로운 연안 오염 모니터링 방법 개발.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 연구보고서. R01-2001-00084, 84pp 

  7. 최만식, 정창식, 신형선, 임태선, 2001. 다검출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신속하고 정밀한 Pb동위원소분석. 한국암석학회지, 10(3): 157-171 

  8. 최만식, 정창식, 한정희, 박계헌, 2006. 동해 남부 해역 퇴적물에서 Pb 동위원소를 이용한 Pb의 기원 추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9(1): 63-74 

  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광산물 수급현황. http://rik.kigam.re.kr 

  10. 해양수산부, 2002. 하수슬러지 해양투기금지 계획 및 전망. 폐기물자원화, 10(3): 13-16 

  11. 해양투기종합관리시스템, 2007. http://www.oceandumping.re.kr 

  12. Akimoto, H., O. Toshimasa. J.-i. Kurokawa. and N. Horii, 2006. Verifica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China during 1996-2003 by using satellite observational data. Atmos. Environ., 40: 7663-7667 

  13. Bollhofer, A. and K. J. R. Rosman, 2001. Isotopic source signatures for atmospheric lead: The Northern Hemisphere. Geochim. Cosmochim. Acta., 65(11): 1724-1740 

  14. Bollhofer, A., A. Mangini. A. Lenhard, M. Wessels. F. Giovanoli and B. Schwarz, 1994. High-resolution $^{210}Pb$ dating of Lake Constance sediments: Stable lead in Lake Constance. Environ. Geol., 24: 267-274 

  15. Boutron, C.F., J.-P. Canndelone. and S. Hong, 1994. Past and recent changes in the large-scale tropospheric cycles of lead and otherheavy metals as documented in Antarctic and Greenland snow and ice: A review. Geochim. Cosmochim. Acta, 58: 3217-3225 

  16. Boyle, E.A., R.M. Sherrell. and M.P. Bacon, 1994. Lead variability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Ocean and central Greenland ice:for the search for decadal trends in anthropogenicemissions. Geochim. Cosmochim. Acta, 58: 3227-3238 

  17. BP p.l.c., 2007.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7. www.bp.com 

  18. Cha, H.J., M.S. Choi. C.-B. Lee and Shin. D.-H., 2007.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J. Asian Ear. Sci., 29: 685-697 

  19. Chester, R., 1999. Marine Geochemistry. 2nd ed. Blackwell Science Ltd. UK. 506pp 

  20. Choi, M.S., and Yi. H.-I, 2004. Sources identification of metal pollutants in marine aerosols collected at Jeju Islands using trace metals and stable Pb isotopes. ISMY-IV proceedings. p. 87 

  21. Choi, M.S., 1998.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the riverine, atmospheric and marine environment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unpublished 

  22. Choi, M.S., H.-I. Yi. S.Y. Yang. C.-B. Lee. and H.-J. Cha, 2007. Identification of Pb sources in Yellow Sea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Mar. Chem. 107(2): 255-274 

  23. Choi, J.Y., and Y.A. Park, 1993. Distributions and textural characters of the bottom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ves of Korea. J. Kor. Oceanol. Soc., 28: 259?271 

  24. Cooper, J.A., P.H. Reynolds. and J.R. Richards, 1969. Double-spike calibration of the Broken Hill standard lead. Earth Planet. Sci. Lett., 6: 467-478 

  25. Cummings, G.L., and J.R. Richards, 1975. Ore lead isotope ratios in a continuously changing Earth. Earth Planet. Sci. Lett., 28: 155-171 

  26. Dickin, A.P., 1995. Radiogenic Isotope Geology. Camb. Uni Press., 452p 

  27. Flegal, A.R., K.J.R. Rosman. and M.D. Stephenson, 1987. Isotope Systematics of contaminant Leads in Monterey Bay. Environ. Sci. Technol., 21: 1075-1079 

  28. Grousset, F.E., C.R. Quetael. B. Thomas. O.F.X Donald. C.E. Lambert. F. Guilard. and A. Monaco, 1995. Anthropogenic vs. lithogenic origins of trace elements(As, Cd, Pb, Rb, Sb, Sc, Sn Zn) in water column particles: northwestern Mediterranean Sea. Mar. Chem., 48: 291-310 

  29. Hamelin, B., F. Grousset. and E.R. Sholkovitz, 1990. Pb isotopes in surficial pelagic sediments from the North Atlantic. Geochim. Cosmochim. Acta, 54: 37-47 

  30. Hamilton, E.I., and R.J. Clifton, 1979. Isotopic abundances of lead in estuarine sediments, Swansea Bay, Bristol Channel. Est. Coast. Mar. Sci., 8: 271-278 

  31. Hinrichs, J., O. Dewllwig. and H.-J. Reumsack, 2002. Lead in sediments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of the German Bright: natural versus anthropogenic origin. Appl. Geochem., 17: 621-632 

  32. Hong, G.H., S.H. Kim. C.S Chung. D.J. Kang. D.H. Shin. H.J. Lee. S.J. Han. 1997. $^{210}Pb$ -derived sediment accumulation rate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Sea of Japan). Geo-mar. Lett., 17: 126?132 

  33. Kang, S.-G., M.S. Choi. I.-S. Oh. D.A. Wright. and C.-H. Koh, 1999. Assessment of metal pollution in Onsan Bay, Korea using Asian periwinkle Littorina brevicula as a biomonitor. Sci. Tot. Environ., 234: 127-137 

  34. Kim, K.H., 2007. Airborne lead concentration levels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91 and 2004. Atmos. Environ., 41: 809-824 

  35. Kim, K.J., Y.H. Seung, 1999. Formation and movement of the ESIW as modeled by MICOM. J. Oceanol., 55: 369?382 

  36. Kim, K.T., H.S Shin. C.R Lim. Y.-G. Cho. G.H. Hong. S.H. Kim. D.B. Yang. and M.S. Choi, 2000. Geochemistry of Pb in surface sediments of the Yellow Sea: Contents and speciation. J. Kor. Oceanol. Soc. 35(4): 178-191 

  37. Kober, B., M. Wessels. A. Bollhfer. and A. Mangini, 1999. Pb isotopes in sediments of Lake Constance, central Europe constrain the heavy metal pathways and the pollution history of the catchment, the lake and the regional atmosphere. Geochim. Cosmochim. Acta, 63: 1293-1303 

  38. Lee, T., J.-H. Hyun, J.S. Mok and D. Kim, 2007. Organic carbon accumulation and sulfate reduction rates in slope and basin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Japan Sea. Geo-Mar. Lett., in press 

  39. Mukai, H., N. Furuta. T. Fujii. Y. Ambe. K. Sakamoto. and T. Hashimoto, 1993. Characterization of sources of lead in the urban air of the Asia using ratios of stable lead isotopes. Environ. Sci. Technol., 27: 1347-1356 

  40. Mukai, H., T. Machida. A. Tanaka. Y. P. Vera. and M. Uematsu. 2001a. Lead isotope ratios in the urban air of eastern and central Russia. Atmos. Environ., 35: 2783-2793 

  41. Mukai, H., A. Tanaka. T. Fujii. and M. Nakao, 1994. Lead isotope ratios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s tracers of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around Japan. J. Geophy. Res., 99(D2): 3717-3726 

  42. Mukai, H., A. Tanaka. T. Fujii. Y. Zeng. Y. Hong. J. Tang. S. Guo. H. Xue. Z. Sun. J. Zhou. D. Xue. J. Zhao. G. Zhai. J. Gu. and P. Zhai, 2001b.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ulfur and Lead Isotope Ratios in the Atmosphere at Several Chinese Urban Sites. Environ. Sci. Technol. 35: 1064-1071 

  43. Nriagu, J.O. and J.M. Pacyna, 1988. Quantitative assessment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air. Nature, 333: 134-139 

  44. Petit, D., J.P Mennessier. and L. Lambert, 1984. Stble lead isotope in pond sediments as tracers of past and present atmospheric lead pollution in Belgium. Atmos. Environ., 18: 1189-1193 

  45. Riston, P.I., B.K. Esser. S. Niemeyer. and A.R. Flegal, 1994. Lead isotopic determination of historical sources of lead to Lake Erie, North America. Geochim. Cosmochim. Acta, 58: 3297-3305 

  46. Shimamura, T., S. Iijima. M. Iwashita. M. Hattori and Y. Takaku, 2007. Lead isotopes in rainfall collected by a sequential sampler in suburban Tokyo. Atmos. Environ., 41: 3797-3805 

  47. Shirahata, H., R.W. Elias. and C.C. Patterson, 1980. Chronological variations in concentrations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anthropogenic atmospheric lead in sediments of a remote subalphine pond. Geochim. Cosmochim. Acta, 44: 149-162 

  48. Shotyk, W., D. Weiss. P.G. Appleby. A.K. Cheburkin. R. Frei. M. Gloor. J.D. Kramers. S. Reese. and W.O. Van Der Knaa, 1998. History of atmospheric lead deposition since 12,370 $^{14}C$ yr BP from a peat bog, Jura mountains, Switzerland. Science, 281: 1635-1640 

  49. Todt, W., R.A. Cliff. A. Hanser. and A.W. Hofmann, 1996. Evaluation of a $^{202}Pb-^{205}Pb$ double spike for high-precision lead isotope analysis. In 'Earth Processes: Reading the Isotopic Code' ed. By Bsu, A.R. and Hart, S.R., Am. Geophy. Union p. 429-437 

  50. Turekian, K.K., 1977. The fate of metals in the oceans. Geochim. Cosmochim., Acta, 41: 1139-1144 

  51. Veron, A., P. Flament. M. L. Bertho. L. Alleman. R. Flegal. and B. Hamelin, 1999. Isotopic evidence of pollutant lead sources in Northwestern France. Atmos. Environ., 33: 3377-3388 

  52. Wang, J., P. Guo. X. Li. J. Zhu. T. Reinert. J. Heitmann. D. Spemann. J. Vogt. R. H. Flagmeyer. and J. Butz, 2000. Source Identification of lead pollution in the atmosphere of Shanghai City by analyzing single aerosol particles (SAP). Environ. Sci. Technol., 34: 1900-1905 

  53. Wang, W., X. L. Zhao. D. Guo. X. Tian. and F. Adams, 2006. Effectiveness of leaded petrol phase-out in tianjin, China based on the aerosol lead concentration and isotope abundance ratio. Sci. Total Environ., 364: 175-187 

  54. Zheng, J., M. Tang. Y. Shibata. A. Tanaka. Y. Li. G. Zhang. Y. Zhang. and Z. Shan, 2004. Characteristics of lead isotope ratios and elemental concentrations in PM10 fraction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in Shanghai after the phase-out of leaded gasoline. Atmos. Environ., 38: 1191-12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