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한국대지 코어퇴적물의 특성과 $^{87}Sr/^{86}Sr$ 초기비를 이용한 퇴적시기 규명
Sedimentary Characters of the Core Sediments and Their Stratigraphy Using $^{87}Sr/^{86}Sr$ Ratio in the Korea Plateau,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2 no.4, 2007년, pp.328 - 336  

김진경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우경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윤석훈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석봉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특성연구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한국대지의 정상부 해저산 사면에서 획득한 코어퇴적물의 퇴적상 분석, 입도와 구성성분 분석, $^{87}Sr/^{86}Sr$ 초기비를 이용한 연대측정을 통하여, 세 단계에 걸친 코어퇴적물의 퇴적과정을 해석하였다. 코어의 하부 구간인 Unit I-a (코어깊이 $465{\sim}587cm$)는 주로 폭풍파에 의해 재동된 천해성 탄산염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매패류와 부유성 유공충$^{87}Sr/^{86}Sr$ 초기비를 분석한 결과, 퇴적물의 생성시기가 약 $13{\sim}15Ma$(마이오세 중기)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이 지역 일대가 폭풍파의 영향을 받는 천해환경이었음을 의미한다. Unit I-b (코어깊이 431$\sim$465 cm)는 저탁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매패류와 부유성 유공충의 생성연대는 각각 약 $11{\sim}14Ma$, 약 $6{\sim}13Ma$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11 Ma까지는 이 지역 일대가 천해환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그 이후로는 침강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유성 유공충은 11 Ma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퇴적물 내에 공급되었으며, 이렇게 생성된 퇴적물들은 연안이나 사면과 같은 근해역에 퇴적되어 있다가 6 Ma 경에 저탁류에 의해 사면 아래로 재동되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Unit II (코어깊이 $0{\sim}431cm$)는 주로 원양성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유성 유공충의 생성연대가 약 1 Ma로 분석되어, 이로부터 Unit I-b와 Unit II 사이에 약 5 Ma 정도의 결층(hiatus)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Unit II가 퇴적되었던 1 Ma 경에는 이 지역 일대가 충분히 침강하여 현재와 같이 수심 600 m 이상의 심해저환경을 이루고 있었으나, 때때로 주변의 급경사의 사면으로부터 암설류나 저탁류에 의해 조립질 천해퇴적물이나 화산쇄설물 등이 재동되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iston core (587 cm long) was recovered from the upper slope of a seamount in the Korea Plateau. Three episodes of sedimentation were identified based on sedimentary facies, grain size distribution, carbonate constituents and initial $^{87}Sr/^{86}Sr$ ratio of carbonates. The lower part...

주제어

참고문헌 (28)

  1. Aigner, T., 1985. Storm Depositional Systems.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s, Springer-Verlag, 3: 174 pp 

  2. Bahk, J.J., Chough, S.K., Jeong, K.S. and Han, S.J., 2001. Sedimentary records of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East Sea (Sea of Japan). Global and Planetary Change, 28: 241-253 

  3. Burke, W.H., Denison, R.E., Hetherington, E.A., Koepnick, R.B., Nelson, N.F. and Otto, J.B., 1982. Variation of seawater $^{87}Sr/^{86}Sr$ throughout Phanerozoic time. Geology, 10: 516-519 

  4. Crusius, J., Pedersen, T.F. and Calvert, S.E., 1999. A 36kyr geochemical record from the Sea of Japan of organic matter flux variations and changes in intermediate water oxygen concentrations. Paleoceanography, 14: 248-259 

  5. Denison, R.E., Koepnick, R.B., Burke, W.H. and Hetherington, E.A., 1998. Construction of the Cambrian and Ordovician seawater $^{87}Sr/^{86}Sr$ curve. Chemical Geology, 152: 325-340 

  6. Denison, R.E., Koepnick, R.B., Burke, W.H., Hetherington, E.A. and Fletcher, A., 1997. Construction of the Silurian and Devonian seawater $^{87}Sr/^{86}Sr$ curve. Chemical Geology, 140: 109-121 

  7. DePaolo, D.J. and Ingram, B.L. 1985. High-resolution stratigraphy with strontium isotopes. Science, 227: 938-941 

  8. Gorbarenko, S.A., 1993. Reasons for freshening of surface water mass in Sea of Japan during Last Glaciation determined from ratios of oxygen isotopes in plankton foraminifera. Oceanology, 33: 359-364 

  9. Gorbarenko, S.A. and Southon, J.R., 2000. Detailed Japan Sea paleoceanography during the last 25kyr: constraints from AMS dating and $\delta^{18}O$ of planktonic foraminifer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56: 177-193 

  10. Hess, J., Bender, M.L. and Schilling, J.-G., 1986. Evolution of the ratio of strontium-87 to strontium-86 in seawater from Cretaceous to present. Science, 231: 979-984 

  11. Hodell, D.A., Mueller, P.A., McKenzie, J.A. and Mead, G.A., 1989. Strontium isotope strati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late Neogene ocea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92: 165-178 

  12. Howarth, R.J. and McArthur, J.M., 1997. Statistics for strontium isotope stratigraphy: A robust LOWESS fit to the marine Sr-isotope curve for 0 to 206 Ma, with look-up table for derivation of numeric age. The Journal of Geology, 105: 441-456 

  13. Keigwin, L.D. and Gorbarenko, S.A., 1992. Sea level, surface salinity of the Japan Sea, and the Younger dryas event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Quaternary Research, 37: 346-360 

  14. Kim, J.-M., Kennett, J.P., Park, B.-K., Kim, D.C., Kim, G.Y. and Roark, E.B., 2000. Paleoceanographic change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East Sea of Korea. Paleoceanography, 15: 254-266 

  15. Koepnick, R.B., Denison, R.E., Burke, W.H., Hetherington, E.A. and Dahl, D.A., 1990. Construction of the Triassic and Jurassic portion of the Phanerozoin curve of seawater $^{87}Sr/^{86}Sr$ . Chemical Geology, 80: 327-349 

  16. Koepnick, R.B., Burke, W.H., Denison, R.E., Hetherington, E.A., Nelson, H.F., Otto, J.B. and Waite, L.E., 1985. Construction of the seawater $^{87}Sr/^{86}Sr$ curve for the Cenozoic and Cretaceous: supporting data. Chemical Geology, 58: 55-81 

  17. Lee, E. and Nam, S., 2003. Freshwater supply by Korean rivers to the East Se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 review and new evidence from the Korea Strait region. Geo-Marine Letters, 23: 1-6 

  18. Lee, E. and Nam, S., 2004. Low sea surface salinity in the East Se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review on freshwater supply. Geosciences Journal, 8: 43-49 

  19. Lee, K.E. and Kim, K.-R., 2002. Past sea surface temperature of the East Sea inferred from alken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7: 27-34 

  20. Lee, S.H. and Chough, S.K., 2001, High-resolution (2-7 kHz) acoustic and geometric characters of submarine creep deposits in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Sedimentology, 48: 629-644 

  21. Lee, S.H., Chough, S.K., Back, G.G. and Kim, Y.B., 2002. Chip (2-7 kHz) echo characters of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styles of mass movement and sediment gravity flow. Marine Geology, 184: 227-247 

  22. Oba, T., Kato, M., Kitazato, H., Koizumi, I., Omura, A., Sakai, T. and Takayama, T., 1991.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85,000 years. Paleoceanography, 6: 499-518 

  23. Park, B.-K., Shin, I.C. and Han S.-J., 1997. East Sea (Japan Sea) Climate Event during the Younger Dryas and Last Deglaciation. Ocean Research, 19: 257-264 

  24. Tada, T., 1994. Paleoceanographic evolution of the Japan S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08: 487-508 

  25. Tada, R., Irino, T. and Koizumi, I., 1999. Land-ocean linkages over orbital and millennial timescales recorded in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apan Sea. Paleoceanography, 14: 236-247 

  26. Tamaki, K., 1988. Geological structure of the Japan S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Bulletin of Geological Survey of Japan, 39: 269-365 

  27. Tamaki, Y. and Kimura, N., 1991. Backarc extension versus continental breakup: petrological aspects for active rifting. Tectonophysics, 197: 127-137 

  28. Yoon, S.H. and Chough, S.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 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