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 어류 종조성의 변화
Change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Saemangeum Reservoir after the Construction of Dike in 2006-2007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2 no.3, 2007년, pp.191 - 199  

이태원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황학빈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황선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 방조제 4공구 물막이 완공 후인 2006년 4월부터 2007년 2월 사이 새만금호에서 계절별로 otter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물막이 공사 중인 2001-2002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35종, 8,960 마리, 53,084.4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기수 및 내만어종인 전어(Konosirus punctatus), 풀망둑(Synechogobius hasta)과 돛양태(Repomucenus lunatus), 회유종인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가 우점하여 이 5종이 전체 개체수의 95%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와 채집량은 서해의 다른 연안역에서와 같이 봄과 가을에는 주거종이 주를 이루었다. 여름에는 회유종이 대량 출현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가장 높았으며, 겨울에는 2종만이 채집되었고 생체량도 가장 낮았다. 물막이 공사 후 기수 및 내만성인 전어의 양이 크게 증가 하였고, 일시적으로 새만금호에 몰려온 멸치나 삼치와 같은 외해 부어류들이 좁아진 새만금호 해수역에 밀집되어 otter trawl에 일시적으로 대량 채집되어 소수종의 우점도가 높아졌다. 물막이 공사 이전 대량 채집되었던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젓뱅어(Neosalanx jordani), 쉬쉬망둑(Chaeturichthys stigmatias) 등은 거의 채집되지 않았다. 어류 밀도는 물막이 공사 중인 2001-2002년에는 $1,149\;inds./10,000m^2,\;12,644g/10,000m^2$에 비하여, 물막이 공사 후인 2006-2007년에는 $7,467\;inds./10,000m^2,\;44,237g/10,000m^2$로, 개체수밀도는 6배 이상, 생체량 밀도는 3배 이상 높았다. 연간 종풍도지수(R)와 종다양성지수(H')는 2001-2002년에 R=0.0160, H'=2.47에 비하여 2006-2007년에는 R=0.0038, H'=1.11로 낮아졌다. 물막이 공사 후 새만금호의 해수역이 줄어들고 수질이 변하면서 어류 서식에 부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종풍도 지수와 종다양성지수가 낮아지고, 소수 기회종의 우점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Saemangeum Reservoir was determin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pril 2006 to February 2007 after the dike construction, and compared with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in 2001-2002. A total of 35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여름 조사는 본 조사는 7월에 2002년에는 8월에 수행하였으나 서해 연안에서 7월과 8월의 어류 종조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조사시기로 보고 비교하였다. 2001-2002년 채집에서는 각 계절 4개의 정점에서 otter trawl을 30분씩 예인하여 채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각 계절 2개의 정점에서만 30분씩 채집하여 계절 비교에서는 2회 채집면적인 3, 000 m2로, 연간 비교에서는 채집면적 10, 000 m2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간종풍도는 Margalef (1958)의 종풍도지수(R)을 출현종수(S)와 총출현 개체 수(n)로부터 계산하였다.
  • (1984), Nakabo(1993)와 김 등(2005)을 이용하였다. Wilcoxon의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각 계절의 종조성의 정점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p>0.05) 각 계절의 자료는 2개 정점의 자료를 합한 3, 000 m2로 정리하였다. 각 계절의 자료는 개체 수를 대상으로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H')를 계산하였다 (Shannon and Weaver, 1949).
  • 채집에 이용된 소형 otter trawle 길이 6 m, 예인 때 망 폭이 2 m, 날개그물(wing net)과 자루그물(cod end)의 망목은 각각 25 mm, 16 mm였으며, 끌줄은 약 120 m 정도였다. 조사정점에서 1.5 km/hr의 속도로 30분씩 예인하였으며, 각 정점 1회 채집면적은 약 1,500 m2에 해당된다.
  • 물막이 공사 이전 어류 종조성 변화와 비교하기 위해서, 같은 방법으로 2001-2002년 계절별로 조사한 이 등(2003)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여름 조사는 본 조사는 7월에 2002년에는 8월에 수행하였으나 서해 연안에서 7월과 8월의 어류 종조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조사시기로 보고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마무리 직후부터 계절별로 otter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계절 변동을 파악하고,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같은 방법으로 수집 분석한 종조성 자료(이 등, 2003)와 비교하여 물막이 공사 이후 환경 변화에 따른 어류 종조성 변동을 분석하였다.
  • 본 조사의 새만금 해역은 수심이 얕고 낮에 otter trawl 을 예인하여 여러 종류의 부어류들이 채집되었다. 부어류는 종에 따라 otter trawl 어획 비율이 저어류와 비슷한 종도 있고, 차이가 있는 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각 종의 어획률이 알려져 있지 않아 어획률을 고려하지 않고 종조성을 계산하였으며, 일부 우점부어류는 otter trawl과 set net의 채집량을 비교하여 어구에 대한 선택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2001-2002년 계절별로 조사한 이 등(2003)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여름 조사는 본 조사는 7월에 2002년에는 8월에 수행하였으나 서해 연안에서 7월과 8월의 어류 종조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조사시기로 보고 비교하였다. 2001-2002년 채집에서는 각 계절 4개의 정점에서 otter trawl을 30분씩 예인하여 채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각 계절 2개의 정점에서만 30분씩 채집하여 계절 비교에서는 2회 채집면적인 3, 000 m2로, 연간 비교에서는 채집면적 10, 000 m2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 채집된 재료는 냉장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종별로 개체수와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각 어체의 체장은 1 mm까지, 체중은 0.

대상 데이터

  • 생물이 무리 지어 분포할 때, 채집 면적을 증가시키면 신뢰도가 증가된다(Lenarz and Adams, 1980). 본 연구에서는 이 등(2003)과 같은 해역에서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나 이 등(2003)의 4개 정점 중 본 조사에서는 2 정점에서만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해역은 저어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저질 등이 유사하고, 어류의 분포 범위에 비하여 정점간의 거리가 가까워 정점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연안의 부어류들은 낮에는 저층에 머물다가 밤에 수층에서 먹이를 섭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낮에만 otter trawl 채집을 하였을 경우 부어류의 비율이 높아지고, 수심이 얕은 곳일수록 부어류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허와 곽, 1998; 허와 안, 2000). 본 조사의 새만금 해역은 수심이 얕고 낮에 otter trawl 을 예인하여 여러 종류의 부어류들이 채집되었다. 부어류는 종에 따라 otter trawl 어획 비율이 저어류와 비슷한 종도 있고, 차이가 있는 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각 종의 어획률이 알려져 있지 않아 어획률을 고려하지 않고 종조성을 계산하였으며, 일부 우점부어류는 otter trawl과 set net의 채집량을 비교하여 어구에 대한 선택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마무리 후인 2006년 4월, 7월과 11월 및 2007년 2월에 새만금 방조제 내부 해역에 2개의 정점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Fig. 1). 정점 1(St.
  • 조사기간 동안 총 35종, 8, 960 마리, 53, 084.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Table 1). 채집된 어류 가운데, 조간대 부근 천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망둑어과 어류(Gobiidae)가 7종으로 가장 많았고, 연안에 주로 사는 돛양태과 어류(Callionymidae)가 4종, 회유성 부어류인 청어목 어류(Clupeiformes)이 4종 채집되었다.
  • 2)는 동진강 하구 역이었던 곳이다. 채집에 이용된 소형 otter trawle 길이 6 m, 예인 때 망 폭이 2 m, 날개그물(wing net)과 자루그물(cod end)의 망목은 각각 25 mm, 16 mm였으며, 끌줄은 약 120 m 정도였다. 각 조사정점에서 1.

이론/모형

  • 종의 동정에는 정(1977), Masuda et al.(1984), Nakabo(1993)와 김 등(2005)을 이용하였다. Wilcoxon의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각 계절의 종조성의 정점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p>0.
  • 05) 각 계절의 자료는 2개 정점의 자료를 합한 3, 000 m2로 정리하였다. 각 계절의 자료는 개체 수를 대상으로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H')를 계산하였다 (Shannon and Weaver, 1949).
  • 2001-2002년 채집에서는 각 계절 4개의 정점에서 otter trawl을 30분씩 예인하여 채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각 계절 2개의 정점에서만 30분씩 채집하여 계절 비교에서는 2회 채집면적인 3, 000 m2로, 연간 비교에서는 채집면적 10, 000 m2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간종풍도는 Margalef (1958)의 종풍도지수(R)을 출현종수(S)와 총출현 개체 수(n)로부터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군산대학교. 2006. 새만금 수역 수질환경조사 및 관리 방안 연구 (III) 보고서,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326 pp 

  2. 김영태, 정용훈, 채윤주, 이충원, 김소영, 최강원, 양재삼, 2006a. 메조코즘을 이용한 갯벌의 담수화 과정 중 수질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49-67 

  3.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 pp 

  4. 김종만, 유재명, 허형택, 차성식, 1985. 울산만 및 그 주변해역의 치자어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7: 15-22 

  5. 김진삼, 김강주, 한찬, 황갑수, 박성민, 이상호, 오창환, 박은규, 2006a.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한 추적자 시험: 만경강 유역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82-91 

  6.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2006b.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조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37-48 

  7. 김태림, 박석광, 2006. 조간대 갯벌 영상 관측 고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109-115 

  8. 농어촌진흥공사, 1998. 새만금간척 종합개발. 농어촌진흥공사 새만금 사업단. pp. 1-9 

  9. 서승원, 조완희, 유경선. 2006a. 새만금호 수문 개방에 따른 내측의 혼합 수송 및 외해역의 방류 영향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8: 43-52 

  10. 서승원, 조완희, 이화영, 2006b. 새만금호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한 수문 운영 방안 모의.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97-108 

  11. 안순모, 이재학, 우한준, 구본주, 이형곤, 유재원, 제종길, 2006. 새만금 방조제 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Polar Res., 28: 369-383 

  12. 우한준, 최재웅, 안순모, 권수재, 구본주, 2006. 새만금 갯벌의 퇴적 환경 변화. Ocean Polar Res., 28: 361-368 

  13.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 129-139 

  14. 유재명, 김성, 이은경, 이종수, 1992. 진해만의 부유성 어란과 치자어 분포. 해양연구, 14: 77-87 

  15.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16.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 438-445 

  17.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18. 이태원, 1998.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1: 654-664 

  19. 이태원, 문형태. 2002. 부안 채석강 해빈 천해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화. 한국어류학회지, 14: 53-60 

  20. 이태원, 문형태, 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2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298-305 

  21. 이태원, 문형태, 최신석, 199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2. 대천 해빈 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 79-90 

  22. 이태원, 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 67-79 

  23. 임양재, 이태원, 1990. 천수만 망둑어과(Family Gobiidae) 어류의 게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 182-202 

  24.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25. 정해진, 유영두, 김재성,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2, 1999년도 여름-가을 종속영양성 와편모류와 섬모충류의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 140-147 

  26. 차성식, 박광재, 1994. 만경 동진강 하구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양상. 한국해양학회지, 26: 47-58 

  27. 차성식, 유재명, 김종만, 1990. 황해동부 연안역의 자치어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해양학회지, 25: 96-105 

  28. 허성회, 곽성남, 1998.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11-23 

  29. 허성회, 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1. 소형기선저인망에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30. 황선완, 2006. 금강과 만경강 하구 어류의 출현 양상과 서식처 이용.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5 pp 

  31. 황학빈, 이태원, 1999.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1: 52-61 

  32. Allen, L.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Fish. Bull. U. S., 80: 769-790 

  33. Allen, L.G. and M.H. Horn, 1975. Abundance, diversity and seasonality of fishes in Colorado Lagoon, Alamitos Bay, California. Estuarine Coastal Mar. Sci., 3: 371-380 

  34. Horn, M.H. 1980. Die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diversity ofshallow-water fish populations in Morro Bay. California. Fish. Bull. U. S., 78: 759-770 

  35. Lee, T.W., 1983. Age composition and reproducticve period of shad, Konosirus punctatus, in Cheonsu Bay. J. Oceanol. Soc. Korea., 18: 161-168 

  36.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37. Lenarz, W.H. and P.B. Adams, 1980. Some statistical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of trawl surveys for rockfish (Scorpaenidae). Fish. Bull. U. S., 78: 659-674 

  38. Livingston, R.J., 1976. Diurnal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organisms in a north Florida estuary. Estuarine Coastal Mar. Sci., 4: 373-400 

  39.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40.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eno and T. Yoshino (eds),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Japan, Text and Plates, 437 pp.+370 plates 

  41. McErlean, A.J., S.G. O'Connor, J.A. Mihursky and C.I. Gibson, 1973. Abundance, diversity and seasonal patterns of estuarine fish populations. Estuarine Coastal Mar. Sci., 1: 19-36 

  42.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477 pp 

  43.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117 pp 

  44. Taylor, C.C., 1953. Nature of variability in trawl catches. Fish. Bull. U. S., 76: 617-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