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Stainless Steel 기판의 에폭시 평탄막 연구
Epoxy Planarization Films for the Stainless Steel Substrates for Flexible Display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6, 2007년, pp.526 - 531  

홍용택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 공학부) ,  정승준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 공학부) ,  최지원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대학 화학공학.영상정보소재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stainless steel(SS) 기판의 평탄막 재료로서 유기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에폭시 레진을 연구한 첫 결과를 보고한다. 유기 에폭시로는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를, 하이브리드 에폭시는 실세스퀴옥산이 포함된 octa(dimethylsiloxypropylglycidylether) silsesquioxane(OG)를 선택하였다. 경화제로는 diaminodiphenylmethane(DDM)을 에폭시와 1 : 2 당량비로 사용하였으며 두 물질 모두 SS 기판위에 어려움 없이 코팅이 되었다. TGA로 살펴본 열 안정성 분석은 순수한 물질이나 경화된 필름이나 모두 OG가 DGEBA 보다 안정하며 AFM에 의한 필름 표면의 관찰은 필름이 충분히 두꺼운 경우$(>\;1\;{\mu})\;1{\sim}2\;nm$ 정도의 표면 거칠기 값을 갖는 평탄한 면이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이 필름들은 $0{\sim}10000$ 초에 걸치는 시간 동안 100 V와 $100^{\circ}C$의 외부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도 일정한 유전 상수(${\sim}3.5$), 정전 용량 및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 절연 특성이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ports the first results of a series of planarization film study for the stainless steel (SS) substrates for flexible displays.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octa(dimethylsiloxypropylglycidylether) silsesquioxane (OG) were chosen for the organic and the hybrid epoxies re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S 기판용 평탄막으로서의 에폭시 레진의 가능성을 연구한 첫 결과를 보고하였다. PCB 기판 등에 이미 절연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DGEBA 및 이와 구조적 유사성을 가진 OG는 좋은 표면을 갖는 수 um의 필름 형성이 용이하며 열과 전압의 외부 스트레스에도 안정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또 디스플레이 기판은 회로나 백라이트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온도가 많이 상승(50~70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전압과 온도 스트레스에 대한 물질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가혹 조건에서 물질의 절연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즉 전압은 100 V, 온도는 100 ℃의 외부 스트레스를 일정시간 평탄막에 가한 뒤 물질의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 가를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레진을 SS 기판의 평탄막으로 연구하였다. 유기 재료로는 PCB 기판 등에 흔히 사용되는 에폭시를,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는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한 에폭시를 선택하였다.
  • 평탄막 필름의 정전 용량/절연 특성 평가. 일단 DGEBA/DDM과 OG/DDM 필름의 열 안정성과 표면 거칠기 특성이 파악되었으므로 다음으로는 이 필름들의 절연 특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구조에서는 유리 기판 위에 메탈 배선이 형성되므로 SS 기판의 경우는 평탄막 바로 위에 금속 배선이 형성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 M. Mofatt, MRS Bulletin, 21, 31 (1996) 

  2. G. Gustafsson, Y. Cao, G. M. Treacy, F. Klavetter, N. Colaneri, and A. J. Heeger, Nature, 357,477 (1992) 

  3. A. J. Heeger and J. Long Jr., Opt. Photon. News, 7, 23 (1996) 

  4. G. Gu, P. E. Burrows, S. Venkatesh, and S. R. Forrest, Opt. Lett., 22, 172 (1992) 

  5. P. M. Smith, P. G. Carey, and T. W. Sigmon, Appl. Phys. Lett., 70, 342 (1997) 

  6. M. Wu, X. Bo, J. C. Sturm, and S. Wagner, IEEE T. Electron. Dev., 49, 1993 (2002) 

  7. M. Wu, K. Pangal, J. C. Sturm, and S. Wagner, Appl. Phys. Lett., 75, 2244 (1999) 

  8. T. Serikawa and F. Ornata, IEEE Electr. Device L., 20, 574 (1999) 

  9. R. S. Howell, M. Stewart, S. V. Karnik, S. K. Saha, and M. Hatalis, IEEE Electr. Device L., 21, 70 (2000) 

  10. T. Afentakis, M. Gatalis, A. T. Voutsas, and J. Hartzell, IEEE T. Electron. Dev., 53, 815 (2006) 

  11. C. C. Wu, S. D. Theiss, G. Gu, M. H. Lu, J. C. Strum, S. Wagner, and S. R. Forrest, IEEE Electr. Device L., 18, 609 (1997) 

  12. D. Jin, J. Jeong, H. Shin, M. Kim, T. Ahn, S. Kwon, J. Kwack, T. Kim, Y. Mo, and H. Chung, SID 06 DIGEST, 1855 (2006) 

  13. J. Cheon, J. Choi, J. Hun, and J. Jang, IEEE T. Electron. Dev., 53, 1273 (2006) 

  14. A. Chwang, R. Hewitt, K. Urbanik, J. Silvernail, K. Raian, and M. Hack, SID 06 DIGEST, 1858 (2006) 

  15. J. Chang, J. Wu, C. Huang, Y. Chen, L. Wang, Y. Luo, I. Peng, T. Wong, M. Wang, and J. Chang, Euro Display, 133 (2005) 

  16. F. Templier, B. Aventurier, M. Moreau, A. Mortillaro, R. Ternplier, and A. Passero, EuroDisplay, 414 (2005) 

  17. S. D. Theiss and S. Wagner, IEEE Electr. Device L., 17, 578 (1996) 

  18. Z. Suo, E. Y. Ma, H. Gleskova, and S. Wagner, Appl. Phys. Lett., 74, 1177 (1999) 

  19. T. Chang, P. Liu, T. Tasi, F. Yeh, T. Tseng, M. Tsai, B. Chen, Y. Yang, and S. Sze, Jpn. J. Appl. Phys., 40, 3143 (2001) 

  20. C. Maddalon, K. Barla, E. Denis, E. Lous, E. Perrin, S. Lis, C. Lair, and E. Dehan, Microelectron. Eng., 50, 33 (2000) 

  21. T. Chang, T. Chang, P. Liu, T. Chang, and F. Yeh, Thin Solids Films, 498, 70 (2006) 

  22. P. Liu, T. Chang, M. Huang, Y. Yang, Y. Mor, M. S. Tsai, H. Chung, J. Hou, and S. M. Sze, J. Electrochem. Soc., 147, 4313 (2000) 

  23. H. Lee, C. L. Soles, D. W. Liu, B. J. Bauer, E. K. Lin, and W. L. Wu, J. Appl. Phys., 95, 2355 (2004) 

  24. A. Sellinger and R. M. Laine, Chem. Mater., 8, 1592 (1996) 

  25. J. Choi, J. Hareup, A. F. Yee, Q. Zhu, and R. M. Laine, J. Am. Chem. Soc., 123,11420 (2001) 

  26. A. Boudefel and P. Gonon, J. Mater. Sci: Mater. Electron., 17, 205 (2006) 

  27. L. Zong, S. Zhou, N. Sgriccia, and M. C. Hawley, Polym. Eng. Sci, 45, 1576 (2005) 

  28. R. Schwodiauer, G. S. Neugschwandtner, S. Bauer-Gogonea, and S. Bauer, Appl. Phys. Lett., 75, 3998 (1999) 

  29. R. Sehwodiauer, G. S. Neugschwandtner, S. Bauer-Gogonea, and S. Bauer, Appl. Phys. Lett., 76, 261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