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배달급식과 무료 회합급식 이용 노인의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s Who Participated in MOW and Free Congregate Meal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1, 2007년, pp.1399 - 1408  

정은정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  심유진 (연세대학교 의료원 국민고혈압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강북 N구의 저소득 재가노인 가정배달급식대상자 45명과 무료 회합급식 이용자 81명 대상으로 건강상태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녀 모두 배달급식군(남자 77.3세, 여자 78.5세)이 회합급식군(남자 73.7세, 여자 74.2세)보다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체질량 지수 역시 남녀 모두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남자노인의 경우 배달급식군이 회합급식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 학력은 무학 및 초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고, 90% 이상이 임대 아파트에 거주하여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가족형태와 수입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활비 조달방법은 두 집단 모두 정부보조금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회합급식군은 자력 또는 자녀의 도움도 23.4%나 차지하였다(p<0.05). 음주, 흡연, 수면시간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배달급식군은 거의 운동을 하지 않은 반면 회합급식군은 38.3%가 일주일에 3번 이상 운동을 하였다(p<0.01). 뇌졸중(p<0.01), 호흡기질환(p<0.05) 및 외로움(p<0.05)의 비율은 배달급식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ADL과 IADL의 점수는 배달급식군에서 회합급식군보다 매우 낮았으며(p<0.0001), 영양의 균형을 생각하며 식사하는 빈도(p<0.05), 과일(p<0.01), 육 어류(p<0.01), 해조류(p<0.05)의 섭취 빈도와 식습관 점수 (p<0.0001)도 배달급식군에서 낮았다. 배달급식군과 회합급식군 모두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RI 또는 AI 이하였다. 남녀 모두 배달급식군의 열량과 대부분의 열량영양소 섭취량은 회합급식군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고 단백질섭취량은 여자노인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칼슘, 칼륨,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비타민 C, 엽산의 섭취 량은 RI 또는 AI의 50%에도 미치지 못하여 회합급식군보다도 매우 불량한 영양섭취상태였다. 특히 여자노인은 회합급식군과의 차이가 남자노인보다 더욱 심각하여 영양상태가 매우 열악하였다. 배달급식군의 영양소 섭취부족 대상자 비율은 무려 42.2%로 회합급식군보다 매우 높았다(p<0.0001). 따라서 배달급식군의 영양소 섭취량은 전반적으로 영양불량의 문제를 지닌 일반노인은 물론 무료회합급식 이용 노인들의 평균섭취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매우 저조한 영양상태를 보여 경제력, 육체적 활동 및 건강상태 등이 매우 열악한 이들 집단에 대한 질 좋은 영양서비스의 제공이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히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자 특히 배달급식 대상자의 경우 모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적은 수의 연구대상자의 결과를 보고한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가정배달급식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45 home-living elderly people receiving free Meals on Wheels (MOW) (13 men, 32 women) and 81 low income class elderly people receiving free congregate meals (CM) (10 men, 71 women) served in Seoul.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를 회합급식의한 형태인 복지관급식을 제공받는 노인들과 비교 분석하여, 가정 배달급식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배달급식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영양과 건강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회합급식의한 형태인 복지관급식을 제공받는 노인들과 비교 분석하여, 가정 배달급식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보건복지부. 2006. 보건복지통계연보 

  2. Koo J, Park YJ, Kim JK, Lee EH, Yoon HY, Son SM.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s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II.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 Nutr 1: 215-227 

  3. Son SM, Park YJ, Koo J, Kim SB, Lee KS, Yoon HY.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s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IV. The effect of meal service on mineral status and clinical symptoms. Korean J Comm Nutr 1: 395-404 

  4. Han KH, Choi MS, Park JS. 2004. Psycho-social, nutritional status and meal service utility patterns by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participated in meal service. Korean J Comm Nutr 9: 615-628 

  5.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18-1027 

  6. Lee JW, Kim KA, Lee MS. 1999. Nutritional intakes status of the elderly taking free congregate lunch meals compared to the middle-income class elderly. Korean J Comm Nutr 3: 594-608 

  7. Han KH. 1999. Nutritional status and life style factors in elderly people. Korean J Comm Nutr 4: 279-298 

  8. Vailas LI, Nitzke SA, Becker M, Gast J. 1998. Risk indicators for malnutrition are associated inversely with quality of life for participants in meals programs for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98: 548-553 

  9. Yang IS. 1999. Food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Issue and trends. Korean J Comm Nutr 4: 260-278 

  10. Yoon HS. 2004. A study on home care service in Korea. J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14: 119-134 

  11. History of MOW. 1999. http://207.154.15.119/hist4.htm 

  12. Asp EH, Darling ME. 1988. Home-delivered meals: food quality, nutrient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J Am Diet Assoc 88: 55-59 

  13. Stevens DA, Grivetti LE, Mcdonald RB. 1992. Nutrient intake of urban and rural elderly receiving home-delivered meals. J Am Diet Assoc 92: 714-718 

  14. Chae IS, Yang IS, Lee HY, Park MK. 2000. Evaluation of home-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with low income class. J Korean Diet Assoc 6: 57-70 

  15. 변재관, 이윤경. 1999. 결식노인을 위한 급식서비스 정책 방 안. 노인복지연구 3: 31-43 

  16. 보건복지부. 2006. 2006년 노인보건복지사업 안내 

  17. Choi BS, Kwon SY, Seo JY, Lee IS, Lee HJ. 2005.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meal service satisfaction of elderly at the local community center: free and reduced meal service charge. Korean J Comm Nutr 10: 303-310 

  18. 결식아동 울리는 부실 급식-실태와 문제점. 국민일보, 2005년 1월 13일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 Lee KY, Lee YC, Kim SY, Park GS. 1980. Nutrition survey of college freshmen. Korean J Nutr 13: 73-83 

  21. Choi JH, Kim MH, Cho MS, Lee HS, Kim HY. 2002.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 by BMI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5: 480-488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The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S III)-Illness of adults 

  24. Kim KM, Kwon JS. 2004.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II.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Food & Nutr 17: 420-428 

  25. Park JK, Son SM. 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ent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J Comm Nutr 8: 716-725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7. Son SM, Chun YN. 2004.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nutrition indicators in elderly residing in low income area of the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7-113 

  28. Lee L. 2002.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intake and health statu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 Nutr 35: 124-136 

  29. 이윤나, 이해정, 이행신, 장영애, 김초일. 2006. 독거노인의 영 양실태와 개선 방안.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1: 401-411 

  30. Yang IS, Chae IS, Lee JM. 1998.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Nutr 31: 1498-1507 

  31. Gollub EA, Weddke DO. 2004. Improvements in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of life among frail homebound older adults receiving home-delivered breakfast and lunch. J Am Diet Assoc 104: 1227-1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