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Course Evalu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0 no.4, 2007년, pp.58 - 77  

김학일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김성숙 ,  권오양 (인하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천 (인하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노경호 (인하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의 강의평가는 수업효과성에 대한 진단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학생이 수강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범위가 확대될 수록 강의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제도 자체에 대한 측정학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결과에 대한 문항반응 유형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 이공계 개설강의 중 471개 과목의 385명 교수에 대한 총 49,127 명 학생의 강의평가 결과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의평가의 유형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전공별 또는 수업유형별로 평가문항 군에서 문항을 선택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둘째, 평가결과점수 상하위 10% 해당하는 강의의 특성을 분석하여 결과활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is one of authentic assessment tool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class evaluation system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 evaluation. Especial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의평가는 궁극적으로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강의의 질을 개선하고 이후의 교수-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은 강의와 낮은 평가를 받은 강의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 둘째, 평가시기는 한학기 1회를 원칙으로 하되 실제로 강의 개선을 위한 피이드백을 수합하기 위하여 강의가 진행되는 학기 중에 한번 더 시행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대부분 대학에서 성적열람 이전에 온라인 평가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시정해야 할 것이다.
  • , 2000)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표준점수는 수업규모와 단과대학 특성 외 강의평가유형에 따른 점수 차이를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따라서 강의평가 결과를 유형에 상관없이 비교하거나 교수를 평가하기 위한 행정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근의 강의평가 결과를 기초로 정교한 검토가 필요하며 점수산출 공식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지 연구해야 할 것이다.
  • 또한, 강의유형별 결과에 대한 분석과 답지반응 유형분석 등은 단순한 기술통계를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써 실제 다른 유형의 평가도구와 학생반응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가점수가 상위 10%와 하위 10%에 해당하는 강의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과의 반응과 비교하였다.
  • 이렇게 다양하게 제기되는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평가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행 강의평가제도의 문제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강의평가제도에 대한 개선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범위는 첫째, 사용되고 있는 강의평가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고, 둘째, 평가도구의 유형별 특성과 평가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강의유형과의 관계를 점검하며, 셋째, 강의평가점수에 따른 집단별 강의에 대한 문항반응유형을 분류함으로써 평가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 즉 도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구인’이 어느 정도 이론적 구조에 부합되는가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 여기서 집단Ⅰ은 수강인원에 의한 분류로 20명 이하, 21~40명, 41~80명, 81~120명, 121명 이상의 5집단으로 구분되고, 집단Ⅱ는 단과대학에 의한 분류로 과목이 개설된 단과대학의 집단 특성을 반영하게 된다. 즉 수강인원과 단과대학에 따른 강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점수를 조정해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강의평가의 기본 목적은?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강의평가의 기본 목적은 교수의 수업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특히 강의평가 결과가 수업효과성에 대한 진단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학생이 수강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대학교육의 전반적인 질적 제고를 위한 긍정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대학교육의 효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강의에 대한 평가로 무엇을 제안하고 있는가? 대학교육의 효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강의에 대한 평가는 학생평가를 기본으로 교수의 자기평가, 포트폴리오, 동료평가, 전문기구의 모니터링 등 다면적 평가를 제안하고 있다(Ory, 2001). 대부분 대학이 강의평가를 하는 목적은 강의의 질 개선을 최우선적으로 두고 있으나 최근 교수 업적평가에 항목을 포함함은 물론 우수교육 교수를 선발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대학도 증가하고 있다(김성열 외, 2001).
국내 대부분 대학이 단일 평가 설문지를 사용하는 것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정연, 2005). 국내 대부분 대학이 수업의 특성이나 전공분야 교수법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단일한 유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길양숙, 김동진(2003). 수업평가 결과와 쟁점.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1(3), 303-323 

  2. 김성숙(1993). 관찰을 통한 교수 평가체계에 대한 측정의 일반화가능도 연구, 교육학 연구, 31(1), 23-40 

  3. 김성숙(2006). e-learning 강의평가 도구의 일반화가능도와 평가활용의 최적화 조건, 교육평가연 구. 19(1), 305-322 

  4. 김성열, 박재완, 김종철, 강현석(2001). 대학 학사과정 강의평가제 실태분석을 통한 교육업적 평 가모형 개발연구. 교육인적 자원부 정책연구, 2001-일-30 

  5. 성태제(2002). 현대 교육평가. 학지사 

  6. 송미섭, 지은림(1994). 강의평가 설문지에 관한 문항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7(2), 263-283 

  7. 이종승(1993). 교수의 강의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발전논총, 14(1), 83-95 

  8. 지은림, 장정아(2006). 대학 교수자를 위한 강의 자가진단도구 개발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 탐색. 교육평가연구, 19(1), 51-71 

  9.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2005). 한국 대학의 강의 평가 실태 분석. 교육행정학 연구. 23(3), pp. 379-403 

  10. AERA, APA, NCME (1985, 1999).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11. Algozzine, B., et. al. (2004). Student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A practice in search of principles. College Teaching, 52(4), 134-141 

  12. Brinko, K. T. (1990). Instructional consultation with feedback in higher education. J. of Higher Education, 61, 65-83 

  13. Broder, J. M., & Dorfman, J. H. (1994). Determinants of teaching quality: What's important to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5, 235-249 

  14. Bukalski, P. J., & Zirpola, D. J. (1993). Guide for nontenured faculty members: Annual evaluation, promotion, and tenure. University Film and Association of Georgia State University 

  15. Cook, S. S. (1989). Improving the quality of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A look at two strategi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0, 31-45 

  16. Feldman, K. A. (1997). Identifying exemplary teachers and teaching : Evidence from student ratings. In R. P. Perry, & J.C. Smart(eds). Effec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Agathon 

  17. Grimes, P. W., Millea, M. J., & Woodruff, T. W. (2004). Grades-Who's to blame?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and locus of control. J. of Economic Education, 35(2) 129-147 

  18. Hoy, W. & Miskel, C.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th ed.). New York: Mcgraw Hill 

  19. Hoyt, D.P. & Palltett, W. H. (1999). Appraising teaching and effectiveness: Beyond student ratings, IDEA paper, 36, IDEA center, Kansas State University, 1-8 

  20. L'Hommedieu, R., Mengers, R. J., & Brinko, K. T. (1990). Methodological explanations for the modest effects of feedback from student rating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232-241 

  21. Marsh, H.W.(1994). Weighting for the right criteria in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ssessment(IDEA) system: global and specific rating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their relation to course objective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86(4), pp. 631-648 

  22. Marsh, H.W., & Roche, L. (1993). The use of students' evaluation and an individually structured intervention to enhance university teaching effectivenes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 217-251 

  23. McGreal, T. L. (1990). The use of rating scales in teacher evaluation: Concerns and recommendations. J.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4, 41-58 

  24. McKeachie, W.J. (1996). Research on college : The historical background. J.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189-200 

  25. McKee, B. G., & Dowaliby, F. J. (1985).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ourse, and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hearing-impaired students' ratings of instruction. Volta- Review, 87, 77-86 

  26. Murray, H. G. (1985). Classroom teaching behaviors related to college teaching effectiveness.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23, 21-34 

  27. Ory, J. C. (2001). Faculty thoughts and concerns about students ratings.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87, 3-15 

  28. Saroyan, A. & Amundsen, C. (2001). Evaluating University Teaching: time to take stock. Assessment & Evaluation on Higher Education, 36(4), 341-353 

  29. Seldin, P. (1993). Rating student ratings of professors. The Education Digest, 70-72 

  30. Shevlin, M., et. al. (2000). The validity of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Love me, love my lectures.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5(4), 397-405 

  31. Smith, R. A., & Cranton, P. A. (1992).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skills and overall effectiveness across instructional setting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3, 747-764 

  32. Spooren, P., Mortelmans, D. (2006). Teacher professionalism and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Will better teachers receive higher ratings and will better students give higher ratings?. Educational Studies, 32(2), 201-214 

  33. Theall, M., Abrami,P.C. & Mets, L.A. (Eds). (2001). The Student Ratings Debate: Are They Valid? How can we best use them? San Francisco: Jossy-Bass 

  34. Wilson, R. C. (1986). Improving faculty teaching-Effective use of student evaluations and consultant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7, 196-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