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지준점 망조정 성과를 활용한 최적 국가 좌표계 변환 모델 결정
Optimal National Coordinate System Transform Model using National Control Point Network Adjustment Result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5 no.6 pt.2, 2007년, pp.613 - 623  

송동섭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장은석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태우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서로 다른 측지기준계인 동경측지계와 세계측지계간의 좌표 변환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Bursa-Wolf 모델, Molodensky-Badekas 모델 및 Veis 모델을 이용하여 7변환 계수를 결정하였다. 또한 동경데이텀으로부터 세계측지계로 변환하기 위한 다중회귀식 방법도 적용하였다. 공통점 중에서 비상사성인 과대 오차인 점을 분석하고 제거하여 935점의 국가기준점 성과를 변환 계수 결정을 위한 공통점으로 이용하였다. 각 모델별로 결정한 변환 계수를 적용하여 상사 변환에 의한 3, 4등 삼각점 9,917점에 대한 좌표변환을 수행하였으며 변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Bursa-Wolf 모델과 Molodensky-Badekas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한 변환 계수가 Veis 모델에 비하여 더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중회귀식에 의한 변환 정확도는 상사 변환 모델보다는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변환 계수의 추정 정밀도와 변환 정확도 및 변환 잔차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국가 좌표변환 모델은 Molodensky-Badekas 모델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based on two different systems between local geodetic datum(tokyo datum) and international geocentric datum(new Korea geodetic datum). For this purpose, three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seven parameters as follows: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망조정연구 사업의 결과로 획득 한 국가삼각점의 세계측지 계 성과와 기존 동경측지 계성과를 이용하여 3개의 7-변환계 수 모델을 응용하고, 다중회귀식을 결정하여 동경측지계로부터 세계측지계로의 변환을 위한 최적합한 변환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최종적으로 과대오차를 소거한 공통점 중에서 좌표 변환 계수 결정에 이용한 삼각점을 제외한 3, 4등 삼각점에 대하여 각 모델별로 결정한 변환 계수를 적용하여 변환정확도를 평가하고, 변환모델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측지계 전환에 있어서 최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현재 고시된 변환 계수 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준묵, 박운용, 이용창(1994), Geoid 기준설정이 타원체간 좌표변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측량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69-76 

  2. 국토지리정보원 (2003), 수치지도 좌표계 전환에 관한 연구 II 

  3. 국토지리정보원 (2006), 국가기준점 망조정에 관한 연구 

  4. 윤홍식, 김대경, 송동섭(2004), 최적 좌표변환파라미터 결정을 위한 좌표변환 모델의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3D호, pp, 455-461 

  5. 윤홍식, 조재명, 송동섭, 김명호, 조흥묵 (2004), 수치지도 좌표계 변환 도구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제22권, 제1호, pp. 29-36 

  6. Appelbaum, L. T. (1982), Geodetic datum transformation by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Geodetic Symposium on Satellite Doppler Positioning, New Mexico State University, Physical Science Laboratory, Las Cruces, New Mexico, USA, 8-12 February 

  7. Badekas, J. (1969), Investigation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world geodetic system. Report 124, Department of Geodetic Scienc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8. Bursa, M. (1962), The theor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nonparallelism of the minor axis of the reference ellipsoid and the inertial polar axis of the Earth, and the planes of the initial astronomic and geodetic meridians from the observation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s, Studia Geophysica et Geodetica Vol. 6, pp. 209-214 

  9. DMA (1987), Supplement to Department of Defense World Geodetic System 1984 Technical Report: Part I - Methods, Techniques, and Data used in WGS84 development. DMA TR 8350.2-A, first edition, December 1 

  10. Harvey, B. R. (1986), Transformation of 3D coordinates. The Australian Surveyor, Vol. 33, No.2, pp. 105-125 

  11. LlNZ (1997), Recommended transformation parameters from WGS84 to NZGD49, Geodetic System Technical Report 

  12. Logan W. R. (1955), The Rejection of Outlying Observations, Survey Review, Vol. 97, No. 133 

  13. Moritz, H. (1972), Advanced Least Squares Methods, Reports of the Department of Geodetic Science, No.75,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14. Wolf, H. (1963), Geometric connection and re-orientation of three-dimensional triangulation nets, Bulletin Geodesique Vol. 68, pp. 165-169 

  15. Wolfrum, O. (1992), Merging terrestrial and satellite networks by a ten-parameter transformation model, Manuscripta Geodaetica, Vol. 17, No.4, pp 210-214 

  16. Veis, G. (1960), Geodetic uses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Astrophysics, Vol. 3, No.9, pp. 9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