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암석 열물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rmal Properties of Rocks from Gyeonggi-do Gangwon-do, Chungchung-do,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0 no.6, 2007년, pp.761 - 769  

박정민 (충남대학교) ,  김형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이영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송무영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총 712개의 암석을 채취하여 열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 화성암의 평균 열전도도는 3.58W/m-K, 변성암은 4.16W/m-K, 퇴적암은 4.53W/m-K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강암과 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열물성 값을 보면 화강암의 열전도도는 2.13-5.8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57W/m-K, 편마암은 2.26-6.6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945W/m-K이다. 화강암의 평균 열확산율$1.43mm^2/sec$, 비열은 0.914J/gK, 편마암의 평균 열확산율은 $1.55mm^2/sec$, 비열은 0.912J/gK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같은 암석의 열전도도 값의 범위가 큰 이유는 암석의 구성광물, 이방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ade 712 thermal property measurements on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 samples from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ung-do, Korea.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ies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are 3.58W/m-K, 4.16W/m-K and 4.53W/m-K, respectively. Thermal con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과 같이 총 712개의 암석시료를 채취하여 Parker et 미.(1961)에 의해 제안된 flash method를 사용하는 Netzsch사의 LFA 447 NanoFlash를 이용하여 암석 열물성 값을 측정하였다. 이 방식은 작은 크기의 시료(직경 1 inch, 두께 3-5 mm의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측정시간, 열확산율의 높은 정확도(±5%)와 재현성(±3%)등의 특징과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이 방식은 작은 크기의 시료(직경 1 inch, 두께 3-5 mm의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측정시간, 열확산율의 높은 정확도(±5%)와 재현성(±3%)등의 특징과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LFA 447 NanoFlash는 열 확산율을 측정하며, 비열은 이미 값이 알려져 있는 표준시료(PAToceimn %06)를 이용하여 LFA 447의 자체 소프트웨어로 비교 분석하여 산출한다. 표준시료는 두께 3.
  • 암석의 열전도도는 같은 암석일지라도 열전도도의 범위가 크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의 열전도도의 산출이 필요하다. 또한 열전도도 이외에 열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공극율, 밀도, 열확산율, 비열을 측정하였으며, 열물성 상호간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 밀도와 공극율을 구하기 위하여 시료를 포화시켜 포화 시료의 무게와 액상에서의 포화 시료 무게를 구하였고, 이를 다시 건조시의 무게를 확인하기 위하여 강제순환건조기에 103OC의 일정한 온도로 24시간 건조시켜 건조시료의 무게를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LFA 447 NanoFlash는 열 확산율을 측정하며, 비열은 이미 값이 알려져 있는 표준시료(PAToceimn %06)를 이용하여 LFA 447의 자체 소프트웨어로 비교 분석하여 산출한다. 표준시료는 두께 3.017 mm, 직경 2538 mm의 디스크 모양이며, 상온에서 밀도는 2.61 g/cn?, 열확산율은 1.926 mm2/sec, 열전도도는 4.

데이터처리

  • 나뉜다. 각각의 그룹에서 암석의 다양한 열 물성(열전도도, 열확산율, 비열, 공극율)과 암석 열전도도의 통계학적 수치(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암석의 열전도도는 구성광물, 공극율, 암석의 미세구조와기하학적인 면(이방성)등에 영향을 받으며, 추가로 압력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Lee and Deining, 1998).
  • 측정된 암석을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3가지 암종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 및 평균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9에 도시하였다. 화성암의 열전도도는 2.

이론/모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Fig. 1과 같이 경기, 강원 및 충청지역의 총 712개의 암석 샘플에 대해 Parker et al(1961)에 의해 제안된 flash method로 열물 성을 측정하였다. 암석의 열전도도는 같은 암석일지라도 열전도도의 범위가 크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의 열전도도의 산출이 필요하다.
  • 직접적으로 열물성을 측정하는 실험기기로는 divided bar, needle probe, half-space device,QTM, flash method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ash method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ardsmore, G. R. and Cull, J. P., (2001) Crustal heat flow: A guide to measurement and modeling, Cam­bridge Univ. Press, 324p 

  2. Birch, E and Clark, H., (1940) The thermal conductivity of rocks and its dependance upon temperature and composition, Am. J. Sci., v.238, no. 8, p. 529-558 

  3. Blackwell, D. D. and Steele, J. L., (1989) Thermal con­ductivity of sedimentary Rocks: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p. 14-34 

  4. Cermak, V. and L. Rybach., (1982) Thermal conductivity and specific heat of minerals and rocks, in Physical properties of rocks, vol. 1-a, Landolt-Bornstein, edited by G. Angenheister, Springer-Verlag, New York p. 305-403 

  5. Cha, J., An. S., Koo, M.-H., Song, Y. and Kim, H. C. (2007) The effect of porosity and water content on thermal conductivity of soils, Journal of KoSSGE., in review 

  6. Clauser, C. and Hueges, E. (1995) Rock physics & phase relations: A handbook of physical contents, in T. J. Ahrens, (ed.), AGU, p. 105-125 

  7. European Renewable Energy Council (2004) Renewable energy scenario to 2040, http://www.erec-renew­ables.org/ 

  8. Herrin J, M. and Deming, D. (1996) Thermal conduc­tivity of U.S. coals, J. Geophy. Res., v. 101, no. B11, p. 25381-25386 

  9. Kappelmeyer, O. and Haenel, R. (1974) Geothermics with special reference to application, Gebruder Born­traeger, 238p 

  10. Kim, H. C. (2004) Interpretation of geothermal anomaly using heat flow and geological data in south Korea, Ph. D, thesis, Chungnam Nat. Univ, 123p 

  11. Lee, Y. and Deming, D. (1998) Evalu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temperature corrections applied in terrestial heat flow studies, J. Geophy. Res., v. 103, no. B2, p. 2447-2454 

  12. Norden, B. and Frster, A. (2006) Thennal conductivity and radiogenic heat production of sedimentary and magmatic rocks in the Northeast German Basin, AAPG Bull., v. 90, no. 6, p. 939-962 

  13. Parker, W. J., Jenkins, R. J., Buter, C. P. and Abbott, G. L. (1961) Flash method of determining thermal diffu­sivity, heat capacity and thermal conductivity, J. Appl. Phys., v. 32, no. 9, p. 1679-1684 

  14. Song, M. Y., Kim, H. C. and Jun, U. S. (1996) The mea­surements of heat transfer on some rock specimens in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17, no. 6, p. 458-464 

  15. Song, Y., Kim, H. C. and Lee, S.-K. (2006) Geotherm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Econ. Environ. Geol., v. 39, no. 4, p. 485-494 

  16. Swan, A. R. H. and Sandilands, M. (1995) Introduction to geological data analysis, Blackwell Science Ltd, 446p 

  17. VDI. (2000) Thermal use of the underground; funda­mentals, approvals, environmental aspects, 157p 

  18. Williams, C. F. and Anderson, R. N. (1990)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Earth's crust: In situ mea­surements from continental and ocean drilling, J. Geophys. Res., v. 95, no. B6, p. 9209-9236 

  19. Woodside, W. H. and Messmer, J. H. (1961) Thennal con­ductivity of porous media: 2. Consolidated rocks, J. Appl. Phys., v. 32, p. 1699-17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