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changes of upper respiratory airway space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2-jaw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s III malocclusion. Method: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selected upper airway landmarks on lateral cephalometric 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의 진단시 술후 기도공간 변화량 예측은, 술후 하악골이 후방으로 이동 하면서 기도공간의 협소화에 따른 코골이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합병증이 예상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악술식의 분류에 따른 양악 수술 전후에 기도공간의 변화를, 술후 6개월간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또한 하악골 후방 이동술후 후방인두부 기도량이 하악평면 위치에서 10mm 이하이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는 상악골 전방이동술을 포함한 양악수술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다9).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시 하악골 후퇴에 따른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된 증상을 고려하여 양악 수술시에 기도 공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인두 부위에서 Holmberg 등13)과 정 등15)은 술후 기도 공간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측정한 술후 비인두(nasopharynx) 부위의 기도공간 (PhW1-PNS)은 모든 군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상악 후방부 상방 이동 및 전체 상방 이동한 군(Group 3)에서는 술후 변화량이 1.
  • 이는 상악수술을 포함한 양악수술이 기도공간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자들을 대상으로 상악술식의 분류에 따른 양악 수술 전후의 상기도 크기 변화를 알아보고 술 후에 야기될 수 있는 인후공간의 협소화와 향후 술 후에 발생 할 수 있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된 증상에 대한 예측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e-Jong Cho, Yeo-Gab Kim : A study on relation of position of hyoid bone and upper airway dimensional change according to chin movement in persons with skeletal class III facial pattern after orthognathic surgery. J of Korean Associacion of Maxillofacial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22 : 343, 2000 

  2. Myung-Kuk Kim : Head and neck anatomy 3 : 171, 1995 

  3. Pae EK, Lowe AA, Sasaki K et al : A cephalometric and electromyographic study of upper airway structures in the upright and supine position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06 : 52, 1994 

  4. Athanasiou AE, Toutountzakis N, Mavreas D et al : Alterations of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depth and their relationship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100 : 259, 1991 

  5. Sang-Han Lee : A study of relapse and position of hyoid bon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J Kor Acad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3 : 8, 1991 

  6. Greco JM, Frohberg U, Van Sickels JE : Long-term airway space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 : 103, 1990 

  7. Riley RW, Powell NB, Guilleminault C : Current surgical concept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J Oral Maxillofac Surg 45 : 149, 1987 

  8. Kwang-Ho Park, Jong-Ki Huh, Jae-Hyung Lim et al : Change of the hyoid bone position and the upper airway dimension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J of Korean Associacion of Maxillofacial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28 : 27, 2005 

  9. Hochban W, Shurmann R, Brandenburg U et al : Mandibular setback fo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hyperplasia-does it provoke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5 : 333, 1996 

  10. DePonte FS, Brunelli A, Marchetti E : Cephalometric study of posterior airway space in patient affected by Class II occlusion and treated with orthognathic surgery. J Craniofac Surg 10 : 252, 1999 

  11. Hochban W, Brandenburg U : Morphology of the viscerocranium in obstructive sleep apnoea syndrome-cephalometric evaluation of 400 patients. J Craniomaxillofac Surg 22 : 205, 1994 

  12. Henriksson C-O, Linder-Aronson S, Westborg B : Roentgenological changes in anteroposterior nasopharyngeal dimensions in 6 to 15 year old. Dentomaxillofac Radiol 4 : 19, 1975 

  13. Holmberg H, Linder-Aronson S : Cephalometric radiographs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capacity of the nasal and nasopharyngeal airway. Am J Orthod 76 : 479, 1979 

  14. Wenzel NA, Williams S, Ritau M : Relationships of changes in craniofacial morphology, head posture, and nasopharyngeal airway size following mandibular osteotom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96 : 138, 1989 

  15. Dong-Hee Chung, Ki-Soo Lee : A study on changes of airway, tongue and hyoid position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Kor J Orthodontics 28 : 487, 1998 

  16. Enacar A, Aksoy AU : Changes in hypopharyngeal airway space and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Int J Adult Orthod Orthognathic Surg 9 : 285, 1994 

  17. Wickwire NA, White RP jr, Proffit WR : The effect of mandibular osteotomy on tongue position. J Oral Surg 30 : 184, 1972 

  18. Takagi Y, Gambe JW, Proffit WR et al : Postual change of the hyoid bone following osteotomy of the mandibl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3 : 688, 19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